5. 블라드 드라큘라의 어린 시절
블라드 드라큘라는 어떤 의미에서든 간에 15세기 역사에서 주역급 인물이라곤 할 수 없다. 사실 왈라키아의 궁정에서는 역사상의 기록을 별로 남기지 않았고, 그에 대한 기록은 대부분은 동시대의 유럽과 오스만 양측에서 타인이 기록한 것이다. 이런 사정 때문에 그에 대한 평가는 누가 어떻게 기록했는지에 대해서 천차만별이다. 더구나 그에 대해서 중요한 몇몇 내용은 기록이 누락되어 있기도 하다.
그의 탄생을 둘러싼 이야기도 그러한데, 정확한 생일은 확실치 않다. 다만 출생 시기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그의 아버지가 용기사단에 입단한 1431년이고, 탄생 장소는 트랜실바니아의 시기쇼아라였다. 시기쇼아라는 블라드 드라큘(블라드 2세, 드라큘라의 아버지)의 망명 정권의 본부 같은 장소로 당시에는 매우 잘 요새화된 성이 존재했다.
블라드 2세는 적어도 1435년까지 여기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고 당연히 그의 어린 아들인 미르세아(Mircea, 1428년에 태어난 블라드 드라큘라의 형), 블라드(블라드 드라큘라), 라두(Radu the handsome, 라두 미남공, 1435년생)는 이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을 것이다.
장남인 미르세아의 어머니가 누구인지는 확실치 않다. 사실 블라드와 라두의 어머니 역시 분명치 않은 부분이 있는데, 가장 가능성있는 사람은 몰다비아 공작 알렉산드루(Alexander the Good, 혹은 Alexander I of Moldavia)의 딸인 크네아즈나 공주(Princess Cneajna of Moldavia)일 가능성이 높다. 이 시기 블라드 2세가 알렉산드루 1세의 사위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다만 블라드 2세는 다른 첩들도 있었기 때문에 약간 명확하지 않은 부분도 존재한다.
아무튼 시기쇼아라 시절은 1436년 블라드 2세가 형의 뒤를 이어 왈라키아 공이 되면서 마무리하게 된다. 발칸 반도는 유럽의 화약고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사실 블라드 2세가 즉위했던 그 시점이 이 명칭에 딱 맞는 시절이었다. 오스만 제국의 무라드 2세는 세르비아를 야금야금 집어먹으면서 사실상 헝가리 왕국의 남쪽 국경과 왈라키아의 남쪽 국경까지 도달했다.
이 시점에서 헝가리 왕국은(앞서 이야기 했듯이 당시의 헝가리 왕국은 크로아티아와 루마니아 일부 등을 포함해서 지금보다 훨씬 큰 국가였다) 당연히 오스만 제국의 북진을 저지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게 된다.
사실 1440년에 헝가리 귀족들이 폴란드 국왕 브와디스와프 3세 바르넨치크(Władysław III Warneńczyk)를 국왕으로 옹립한 것도 (바로 이전 포스트 참조) 바로 오스만 제국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였다. 헝가리 - 폴란드 동군 연합(같은 국왕을 모시는 두 개 이상의 국가 연합)이 들어선다면 오스만 제국의 북진을 막기 수월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폴란드 귀족들은 헝가리와 힘을 합칠 생각이 없었으나 적어도 헝가리 귀족들의 희망은 그랬다)
한편 왈라키아의 상황은 이와 달랐다. 왈라키아는 이미 헝가리의 일부처럼 되어버린 트랜실바니아와는 달리 독립을 추구하고 있었다. 하지만 당시 헝가리는 강대국이었으므로 부득이 왈라키아공은 헝가리 왕을 상위 군주로 모셨다. 그런데 오스만 제국이 북상하자 어쩔 수 없이 오스만 제국에도 조공을 바치는 신세가 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블라드 2세는 어느 쪽을 택하기가 매우 애매한 상황에서 여기 붙었다 저기 붙었다하는 박쥐 같은 외교를 펼칠 수밖에 없었다. 그가 비록 이미 용기사단에 입단해서 황제와 기독교 세계를 지키기로 맹세하긴 했지만, 사실 이것도 왈라키아의 군주 자리를 둘러싼 내분에서 지지를 얻기 위한 방편이었던 것이다. 맹세를 지킨다든지 하는 일은 솔직히 그와 같은 약소국의 군주에게는 사치스런 일이었다.
6. 오스만 제국의 북상
블라드 2세가 왈라키아의 군주가 되던 시절, 오스만 제국의 술탄은 무라드 2세(Murad II)였다. 술탄 메흐메트 2세(Mehmed II) 아버지인 무라드 2세는 아나톨리아 지역과 발칸 지역 모두에서 연거푸 승리를 거둬 유럽 국가들에 큰 위협으로 부상했다.
(술탄 무라드 2세의 초상화. )
1440년에는 현재 세르비아 수도인 베오그라드(Belgrade)가 오스만 군에 의해 포위당했다. 당시 발칸 반도는 세르비아계 소국들로 분열되어 있었고 베오그라드는 헝가리 왕국의 남쪽 국경에 해당했다. 비록 베오그라드를 지켜내긴 했지만 이 지역까지 오스만 제국이 치고 올라온 사건은 1439년 국왕 알브레히트 2세(Albert the Magnanimous)가 죽은 후 혼란에 빠진 헝가리 왕국과 기독교 사회에 큰 위협으로 생각되었다.
이 혼란의 시기에 블라드 2세는 무라드 2세에게 충성을 바치기로 결정한다. 선제 지기문스트가 승하한 직후인 1437년, 블라드 2세는 오스만 투르크와 조약을 맺고 매년 10000 두카트의 조공을 바치는 조건에 합의했다. 이는 물론 오스만 제국의 팽창에서 살아남기 위한 약소국의 비애였다. 기독교를 수호하는 용기사단의 맹세를 지키기에는 그와 그의 조국이 너무 위험했다.
한편 앞서 설명했듯이 1440년 초반, 헝가리의 야노스 훈야디는 오스만 제국의 북진을 막아내며 헝가리의 영웅은 물론 기독교 사회의 백기사(white night)로 명성을 드높이고 있었다. 1441년 훈야디는 현재 세르비아의 스메데레보(Smederevo)에서 이사크 파샤(Ishak Pasha)가 이끄는 오스만 군을 격파하고, 1442년 3월 22일에는 트랜실바니아에서 메지드 베이(Mezid Bey)가 이끄는 오스만 군을 궤멸시켰다.
훈야디는 오스만 제국을 압박하면서 공동의 방어 전선을 만들 목적으로 트랜실바니아 남쪽에 있는 (앞서 언급했듯이 훈야디는 트랜실바니아 공이다) 왈라키아의 블라드 2세에 압박을 가했다. 그에게 공개적으로 용기사단의 맹세를 지킬 것을 요구했지만 어느 쪽 편도 들기 어려운 블라드 2세는 1442년 왈라키아를 통과하는 오스만 군대를 그대로 통과시켰다.
사실 그가 오스만 제국의 신하라면 오스만 군대에 합류해야 했고, 반대로 용기사단의 일원이며 헝가리 국왕의 신하라면 오스만 제국과 싸워야 했다. 하지만 어느 한쪽 편을 들면 반드시 반대쪽의 보복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그는 애매하게 중립을 취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1442년, 오스만 군대는 앞서 이야기했듯이 훈야디에 의해 궤멸되었지만, 이 사건 이후 블라드 2세는 양쪽 모두에게 의심의 대상이 된다. 당연히 블라드 2세의 충성심을 의심한 술탄 무라드 2세는 블라드 2세를 수도 에디르네의 궁정으로 소환했는데, 아버지의 부재 동안 미르세아 2세가 왈라키아의 군주가 되어 그 자리를 대신했다.
한편 훈야디는 블라드 2세와 미르세아 2세 대신 친 헝가리파를 왈라키아 군주로 세우기 위한 계획을 세운다. 그가 내세운 대항마는 단 2세(Dan II)의 아들인 바사라브 2세(Basarab II)로 물론 드라큘파와 반대파인 단파 (다네스티) 계열의 군주이다.
1443년 왈라키아에 침공한 훈야디는 미르세아 2세를 몰아내고 그 자리에 바사라브 2세를 앉혔다. 이와 같은 행동은 왈라키아 입장에서는 외세의 간섭이지만, 헝가리와 훈야디의 입장에서는 자국을 방어하기 위한 애국적인 행동이었다. 아무튼 외세에 의해 세워진 바사라브 2세는 오래 자리를 지키지는 못했다.
술탄에게 자신의 충성심을 보여주러 간 블라드 2세는 오스만 제국의 지원을 받아 자신의 지위를 다시 탈환했다. 하지만 사실 블라드 2세의 자리는 매우 불안했다. 만약 헝가리가 다시 세력을 팽창하게 되면 아무래도 자신은 무사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오스만 제국 역시 믿을 수 없기는 마찬가지였다. 더구나 자신은 용기사단의 일원이고 자신을 비롯해 왈라키아인들 역시 기독교인들이기 때문에 오스만에 조공과 군사를 바치면서 다른 기독교 국가들과 싸운다는 것도 꽤 부담되는 일이었다.
이렇게 아버지가 고생하는 동안 차남인 블라드와 삼남인 라두는 약소국의 왕자로 태어난 탓으로 볼모로 보내지게 된다. 1442년, 술탄의 궁정으로 간 두 형제는 한동안 자신의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한다. 1448년 왈라키아로 돌아올 때까지 미래의 블라드 드라큘라 (블라드 3세)는 감수성이 예민할 사춘기 시절을 부모와 떨어져 볼모 생활을 해야 했다. 아마도 이 때 겪은 일이 그가 나중에 보인 잔인성과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것은 무리가 아닐 것이다.
한편 1443-1444년에는 어쩌면 이들의 운명을 바꿀 수도 있었던 큰 사건이 발생했으니 앞서 설명한 바르나 십자군이다.
다음 이야기 : http://blog.naver.com/jjy0501/220259685965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