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살아 있는 식물 세포에서 셀룰로오스의 합성 과정을 직접 포착하다.

  ( Artistic rendering of cellulose regenerating on a plant protoplast cell surface with zoomed out view. Cellulose is synthesized by plasma membrane-bound enzyme complexes (green) and assembles into a microfibril network (brown), forming the main scaffold for the cell wall. Credit: Ehsan Faridi/ Inmywork Studio/ Chundawat, Lee and Lam Labs) ​ ​ 셀룰로오스(cellulose)는 식물의 가장 중요한 발명품입니다. 이 질기고 단단한 고분자 물질 덕분에 식물은 튼튼한 세포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덕분에 식물은 단단한 줄기와 튼튼한 나무가 될 수 있고 거대한 크기로 자랄 수 있습니다. 또 셀룰로오스는 식이 섬유의 주 성분으로 우리가 매일 섭취하는 중요한 영양소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직접 소화시키지는 못하지만, 이를 분해하는 장내 미생물의 주요 먹이가 됩니다. 그리고 이 미생물들은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과학자들은 셀룰로오스의 합성 과정에 대해서 오랬동안 연구해왔습니다. 하지만 이 분자가 합성되는 과정을 직접 목격한 적은 없었습니다. 뉴저지 뉴브런스윅의 럿거스 대학 (Rutgers University-New Brunswick)의 연구팀은 최신 이미징 기술을 이용해 24시간 동안 연속으로 셀룰로오스 분자의 합성 과정을 관측했습니다. ​ ​ (동영상) 럿거스 대학의 시시르 춘다왓 교수 (Shishir Chundawat, an associate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chemical Engineering in the Rutgers School of Engineering) 연구팀은 셀룰로오스의 합성 과정이 각각...
최근 글

우주 이야기 1508 - 증발해서 사라지는 작은 암석형 행성

  ( A disintegrating planet orbits a giant star. "The extent of the tail is gargantuan, stretching up to 9 million kilometers long," says Marc Hon, a postdoc in MIT's Kavli Institute for Astrophysics and Space Research. Credit: Jose-Luis Olivares, MIT ) ​ 우리 지구는 모항성에서 적당한 거리에서 에너지를 받아 생명이 넘치는 행성이 됐습니다. 하지만 우주에는 행성이 별에 너무 가까운 거리에 있어서 증발하거나 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 지금까지 관측된 증발하는 행성은 대개 목성형 가스 행성인 경우가 많았지만, 사실 작은 암석형 행성도 예외는 아닐 것입니다. MIT의 박사 후 연구자인 마크 혼 (Marc Hon, a postdoc in MIT's Kavli Institute for Astrophysics and Space Research)과 동료들은 나사의 행성 사냥꾼 TESS 데이터를 이용해 증발해 사라지는 암석형 행성을 포착하는데 성공했습니다. ​ 연구팀은 TESS 데이터를 통해 페르세우스 자리 방향으로 지구에서 14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 BD+05 4868 Ab를 찾아냈습니다. 그런데 데이터를 분석해보니 행성이 별 앞을 지날 때 밝기가 한 번에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 BD+05 4868 Ab의 공전 주기는 30.5시간에 불과하고 공전 궤도도 수성보다 20배나 별에 더 가까운 거리였습니다. 따라서 표면 온도는 섭씨 1600도 이상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 이 온도에서는 암석이 녹아 마그마 같은 상태가 되며 일부는 증발해 행성의 표면을 벗어날 수 있습니다. 특히 중력이 약한 작은 암석 행성에서는 더욱 그럴 것입니다. 과학자들은 이 행성의 질량이 수성과 달 중간 정도에 불과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18A 다음 로드맵을 업데이트 한 인텔

  (출처: 인텔) ​ ​ 인텔 파운드리가 로드맵을 업데이트 했습니다. 신임 CEO인 립 부탄은 캘리포니아 산호세에서 개최된 인텔 파운드리 다이렉트 2025 ( Intel Foundry Direct 2025 ) 항사에서 리스크 생산에 들어간 18A 노드가 순조럽게 진행 중이며 2026년에는 이를 개량한 18A-P, 그리고 2028년에는 18A-PT로 진화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이번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18A는 인텔 3와 비교해서 15%의 전력 대비 성능 향상과 30%의 밀도 증가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18A-P는 밀도는 동일하지만 와트 당 성능비에서 8%까지 향상이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18A는 올해 말 출시 예정인 팬서 레이크에 들어갈 예정이고 2026년 이후 나오는 18A - P/PT는 아직 미정입니다. 흥미로운 부분은 18A-PT의 경우 Foveros Direct 3D과 하이브리드 본딩 연결을 이용해 칩을 수직으로 쌓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AMD의 3D V 캐시 같은 시도를 할 것인지 주목되는 부분입니다. ​ 새로운 내용이 공개된 14A의 경우 최초의 High-NA EUV 리소그래피 장치를 이용한 공정으로 18A와 비교시 15-20% 정도의 전력 대 성능 향상을 기대하고 있으며 30%의 밀도 증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상당히 야심찬 목표인데, 출시 시기는 아마도 2027년 이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 14A에서 흥미로운 부분은 2세대 리본펫 (RibbonFET 2) 기술이 적용된다는 점과 함께 후면전력공급 (BSPDN) 기술인 파워 비아를 업그레이드한 파워 다이렉트 (PowerDirect)라는 기술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이 기술이 뭐가 다른지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인텔에 의하면 전력을 좀 더 직접적으로 트랜지스터에 공급해 효율을 높일 것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2028년 이전에 14A의 개량형인 14A-E가 나올 것이라고 합니다. ​ 마지막으로 재미있는 이야기는 성숙 노드인 12nm, 16nm에 대한 것입니다. 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