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스페이스 X 및 테슬라 모터스의 CEO 인 엘런 머스크는 일종의 폭탄 선언을 했습니다. 그것은 최고 760 mph (1,220 km/h), 평균 598 mph (962 km/h) 에 달하는 초고속 열차를 만들겠다는 사업 구상을 발표한 것입니다. 하이퍼루프(Hyperloop) 라고 명명된 이 구상은 발표 시점부터 화제를 불러일으켰는데 동시에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하이퍼루프 컨셉 )
(하이퍼루프 AMTV)
(하이퍼루프 공개, CNN)
하이퍼루프 컨셉의 기본은 바로 공기 저항을 줄이는데 있습니다. 현존하는 고속철도나 자기 부상 열차는 사실 지금보다 더 속도를 낼 수 있지만 공기 저항으로 인해 낼 수 있는 속도에 한계를 지니고 있습니다. 사실 이 점은 자동차나 항공기도 마찬가지겠지만 말이죠. 하이퍼루트는 동체 앞쪽에 있는 터빈이 공기를 흡수해 전방의 공기 저항을 줄이며 이 공기는 동체 아래로 이동해 동체를 0.5 - 1.3 mm 정도 띄우게 됩니다. 저항을 극도로 감소시킨 디자인 덕분에 속도를 음속에 가깝게 가속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하이퍼루프의 컨셉. 전방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터빈이 있고 승객은 중간 부분에 탑승, 뒤에는 배터리가 있으며 아래로는 공기를 뿜어내 동체를 띄우는 방식http://en.wikipedia.org/wiki/Hyperloop#mediaviewer/File:Hyperloop_capsule.svg )
이와 같은 디자인의 열차는 현재까지 실제로 운용중이거나 혹은 축소/ 실물 스케일로 테스트 된 바 없으며 현재까지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유일한 테스트 결과라고 합니다. 따라서 성공 여부는 (비용이라는 문제는 제외하고 생각해도 기술적 성공 여부 문제) 아직 확신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캘리포니아 대학 (UCLA) 의 크레이크 호짓 교수 (Professor Craig Hodgetts) 는 이를 정신나간 (insane) 계획이라고 부르면서도 최초의 실물 크기 프로토타입을 만들기 위해 대학원생 25명을 모집했다고 합니다. 더 재미있는 사실은 지원한 대학원생 중 상당수가 중국 유학생이라는 점입니다. 중국인들이 이 계획에 특히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빠른 속도로 공해없이 대량의 인원을 수송할 수 있기 때문인데, 확실히 중국 같은 나라에서 도입될 수 있다면 가장 좋은 적용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하이퍼루프의 컨셉 )
비록 하이퍼루프의 컨셉이 실제로 가능한 것으로 밝혀지더라도 앞으로 넘어야할 숙제는 산더미 같습니다. 우선 안전성 문제가 가장 큰 이슈가 될 것입니다. 초고속으로 좁은 터널 안쪽을 달리는 만큼 조그만 사고나 튜브 안쪽의 이물질도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동체가 매우 얕은 높이로 뜬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동전만한 물체조차 큰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문제가 다 해결될 수 있다고 해도 비용 문제는 또 다른 큰 산입니다. 이 하이퍼루프는 이물질에 대한 대비 및 공기역학적인 효과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서 좁은 튜브속을 이동합니다. 이 튜브 안쪽에는 낮은 기압의 공기로 채워지게 됩니다. 그런데 이런 튜브를 건설하는 일은 엄청난 비용을 요구합니다.
최초 제안은 샌프란시스코만과 LA 지역을 연결하는 570 km 구간 건설 (이 구간을 35분에 주파 가능) 에 승객용 버전의 경우 60억 달러, 승객/차량 버전에 75 억 달러를 예상했지만 실제로 토지 보상 비용 및 기타 개발 비용들을 포함하면 이보다 훨씬 많은 비용이 들어가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기술적으로는 가능하다고 해도 실제 건설로 이어질지는 미지수이지만 기술적으로 가능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미국이 아니라도 몇몇 국가에서 큰 흥미를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최근 교통량 폭증으로 고통을 겪는 중국 같은 신흥국에서 이상적인 교통 수단이 될 수도 있겠죠.
과연 실제 작동 가능한 프로토타입이 개발될 수 있을 지 궁금한데, 첫 번째 프로토타입은 2015년 6월에 공개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참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