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우 원숭이 (Lemur : 리머) 는 영장목 여우 원숭이과 (리머과) 에 속하는 영장류로 가장 원시적인 형태의 영장류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 외모는 여우 + 원숭이 같기도 하고 작은 것들은 쥐 + 원숭이 같기도 한 꽤 귀엽고 작은 영장류들이지만 본래 인간이 마다가스카르 (Madagascar) 도달하기 전까지는 최대 160 - 200 kg 까지 몸무게가 나가는 (수컷 고릴라 수준) 의 대형 여우 원숭이도 존재했습니다.
여우 원숭이는 마다가스카르 섬과 코모로 섬에서만 서식하는데 사실 주로는 마다가스카르 섬에 서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우 원숭이의 조상은 6200 - 6500 만년전 마다가스카르 섬으로 건너와 여기서 독자적으로 진화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한 때 이 섬에서 아주 다양하게 적응 방산해서 쥐만한 크기에서 고릴라 만한 것까지 서식했습니다. 그러나 2000 년 전쯤 인간이 이 섬에 건너오면서 여우 원숭이의 서식지는 크게 감소했고 현재는 섬 면적의 10% 정도 되는 보존 구역에서만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종류는 다양해서 현재 볼 수 있는 여우 원숭이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영장류인 베르테 부인쥐 리머 Madame Berthe's mouse lemur (Microcebus berthae) - 몸무게 30 g/ 몸길이 10 cm 정도 - 를 비롯해 거의 100 종에 가까운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여우 원숭이는 대부분 야행성인데다 몸집이 작고 나무에 살기 때문에 의외로 존재 자체는 이전부터 알려져 왔어도 상당수의 종들이 최근에 발견된 것 들입니다. 그리고 최근에도 새로운 종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마인츠 대학 (University of Mainz) 및 안타나나리보 대학 (University of Antananarivo) 의 과학자들은 마다가스카르 남부에서 여우 원숭이의 생태를 조사하던 중 이전에 몰랐던 새로운 종을 또 다시 발견했다고 보고 했습니다. 이 종의 이름은 Cheirogaleus lavasoensis 라고 정해졌습니다.
(새로 발견된 여우 원숭이 Cheirogaleus lavasoensis
본래 연구팀이 찾으려고 했던 것은 난쟁이 리머 dwarf lemurs (Cheirogaleus) 에 속하는 다른 종이었습니다. 연구를 이끌고 있는 마인츠 대학의 안드레 합케 박사 (Dr. Andreas Hapke of the Institute of Anthropology at Johannes Gutenberg University Mainz (JGU)) 는 유전자 검사를 통해 자신들이 찾은 것이 같은 속에 속하는 완전히 신종의 여우 원숭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이를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에 보고 했습니다.
현재 마다가스카르는 지구의 여러 다른 국가와 마찬가지로 늘어나는 인구와 토지에 대한 수요로 인해 야생동물이 설 자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새로 발견된 C. lavasoensis 역시 매우 희귀종으로 현재 50 개체 정도 밖에 없는 멸종 위기종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최근에 발견되는 신종 포유류는 대부분 희귀종으로 멸종 위기종이기도 합니다.
한편 본래 찾으려고 했던 다른 난쟁이 여우 원숭이인 Cheirogaleus crossleyi 의 행방은 확실치 않은 상태입니다. 이들이 이미 멸종되지 않았기를 바랄 뿐이겠죠. 단지 여우 원숭이 뿐만이 아니겠지만 세계적으로 야생동물들의 설자리는 점점 감소하고 있습니다. 국립 공원이나 자연 보호 구역이 최후의 보루 역할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세계 각지의 가난한 국가에서는 보호보다는 개발에 대한 욕구가 크고 불법 농업/수렵이 계속 되고 있어 희귀종이든 아니든 야생 동물의 미래는 어둡기만 한 것이 사실입니다.
참고
Journal Reference:
- Dana Thiele, Emilienne Razafimahatratra, Andreas Hapke. Discrepant partitioning of genetic diversity in mouse lemurs and dwarf lemurs – biological reality or taxonomic bia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2013; DOI:10.1016/j.ympev.2013.07.019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