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적세 (Pleistocene) 초기 인 200 만년전, 아프리카에 서식하던 호미닌 (Hominin : 사람속을 포함하는 인간과 유연관계인 동물들) 중 하나였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 Australopithecus sediba 는 2008 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요하네스 버그 근방에서 발굴되었습니다. 이 화석을 발견한 것은 고인류학자 리 버거 (Lee Berger) 의 아들인 매튜 (Mathew) 였는데 당시 9 살난 꼬마였습니다. 이글을 쓰는 시점까지Au. sediba 의 화석은 6 개체에서 나온 220 개의 조각들입니다.
A. sediba 가 주목을 받은 이유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속 (genus Australopithecus) 와 사람속 (genus Homo) 사이의 전이종 (transitional species) 이라는 견해가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 (Australopithecus africanus) 와 호모 하빌리스 (Homo habilis) 의 중간 종이라는 견해가 제기되면서 결국 사람속 전체의 조상이 아닌가 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그 중요성 때문에 이와 연관된 다수의 논문이 Science 에 연속으로 올라오기도 했죠.
조엘 아이리쉬 (Joel D. Irish, professor of natural sciences at Liverpool John Moores University) 가 이끄는 연구팀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와 여러 멸종 호미닌들, 침팬치, 고릴라의 치아를 분석했습니다. 여기에는 340 개의 화석에서 나온 4571 개의 표본과 44 마리의 고릴라/침팬치에서 나온 표본이 사용되었습니다.
치아는 서로 다른 유연종을 비교하기에 매우 적합한 표본으로 널리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들의 연구 결과는 최초 나왔던 연구 결과와 비슷하게 이들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속 (특히 아프리카누스) 와 초기 호모속의 특징을 공유한 전이종이라는 결과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이외에 발목, 두개골, 골반, 척추 등 다른 골격의 특징 역시 전이종의 모습을 하고 있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가 인류 진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리란 주장이 지지를 얻고 있습니다.
(인간,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 침팬치 (왼쪽에서 오른쪽 순) 의 골격 비교. A team of scientists has pieced together how the hominid Australopithecus sediba (Au. sediba) walked, chewed, and moved nearly two million years ago. The image shows Au. sediba, center (white), compared to the skeleton of a modern human, left, and a chimpanzee, right. (Credit: Photo by Lee Berger, courtesy of the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의 가장 잘 보존된 표본인 MH1 의 경우 대략 키가 1.27 미터 였습니다. 이 개체는 청소년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거의 성체와 몸집이 비슷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뇌 용적의 경우 A. africanus 의 상위 그룹과 초기 호모속의 하위 그룹에 속하는 420 ml/cc 정도였습니다. Au. sebida 가 직립 보행을 할 수 있었던 것은 확실합니다. 다만 최신 연구에 의하면 잘 뛰지는 못했던 것 같다고 합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를 최초 보고했던 리 버거 교수 (Prof Lee Berger of Wits University ) 와 취리히 대학의 페터 슈미트 (Peter Schmid) 는 다리와 흉곽의 골격을 분석한 결과 이들이 직립 보행을 했던 것은 확실하지만 현대인처럼 두발로 뛰는 능력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현생 인류와는 달리 원뿔형으로 나온 Au. sebida 의 흉곽은 달리면서 팔을 내미는데 거추장스러운 구조였으며 현생 인류처럼 장거리를 뛰거나 걷는데 적합한 구조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일부 특징들은 기존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보다 이족 보행에 적합하게 진화했습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의 골격 복원 Reconstruction of Au. sediba. (Credit: Lee Berger; University of Witwatersrand) )
반면 팔의 구조를 감안하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는 능숙하게 나무를 탔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점은 호모 속보다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속에 더 가까운 특징이지만 이들의 척추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속보다는 호모 속을 닮은 그야말로 두 속이 혼재된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전이종은 인류 진화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더 가치가 있습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가 호모 사피엔스를 비롯한 전체 호모속에 조상인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아직도 연구가 필요하며 과학자들의 의견이 어느 정도 일치를 보기 위해서는 다소 시간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새로운 화석의 발굴과 연구가 인류가 속해있는 호미닌들의 진화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이런 연구를 통해 결국 '우리는 무엇에서 부터 비롯되었는가 ?' 라는 꽤 철학적인 주제에 대한 해답의 일부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
Journal Reference:
- J. D. Irish, D. Guatelli-Steinberg, S. S. Legge, D. J. de Ruiter, L. R. Berger. Dental Morphology and the Phylogenetic "Place" of Australopithecus sediba. Science, 2013; 340 (6129): 1233062 DOI: 10.1126/science.1233062
- P. Schmid, S. E. Churchill, S. Nalla, E. Weissen, K. J. Carlson, D. J. de Ruiter, L. R. Berger. Mosaic Morphology in the Thorax of Australopithecus sediba. Science, 2013; 340 (6129): 1234598 DOI: 10.1126/science.1234598
- S. A. Williams, K. R. Ostrofsky, N. Frater, S. E. Churchill, P. Schmid, L. R. Berger. The Vertebral Column of Australopithecus sediba. Science, 2013; 340 (6129): 1232996 DOI: 10.1126/science.1232996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