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년 7월 PLOS ONE 에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뎅기열 (Dengue Fever) 를 옮기는 흰줄숲모기 (Aedes albopictus) 가 뎅기열의 유행 지역인 베트남에서 한국의 제주도까지 살아남이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다행히 뎅기열 바이러스 자체가 발견된 것은 아니지만 결국 한국 역시 언젠가는 뎅기열이 확산되지 않겠는가 하는 우려가 생길 수 밖에 없는 소식입니다.
뎅기열의 확산에 대해서는 이미 이전 포스트 ( http://jjy0501.blogspot.kr/2012/08/blog-post_3989.html 참조) 에서 다룬 적이 있습니다. 과거 미국에서도 뎅기열 하면 먼 외국의 이야기로 치부했으나 점차 뎅기열 유행지역이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슬슬 카리브해를 넘어 마침내 미국에 상륙 2005 년 텍사스, 2009 - 2010 년 사이 플로리다에서 미국내 발병 사례들이 보고 되었습니다.
뎅기열은 뎅기 바이러스 (Dengue virus) 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Aedes 속에 속하는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질환입니다. 따라서 모기 박멸과 회피가 질병 예방에 중요합니다. 이미 전세게 25 억 인구가 뎅기열 유행지역에 살고 있으며 매년 5000 만명에서 1 억명이 감염되며 12500 에서 25000 명 정도가 이로 인해 매년 사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상세한 내용은 이전 포스트 참조)
뎅기열 자체는 대부분 발열과 근육통 같은 증상을 일으킨 후 대부분 호전되나 일부 감염자에서는 심각한 문제를 만들어 입원이나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를 옮기는 흰줄숲모기 (Aedes albopictus) 를 비롯한 Aedes 속 모기는 워낙 흔해서 한번 토착화되면 상당히 골치아픈 일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경우 대부분 면역이 없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겠죠.
(뎅기열을 전파하는 대표적인 모기인 흰줄숲모기 (Aedes albopictus) 뎅기열은 물론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West Nile Virus), 황열 (Yellow fever) 등 여러 감염성 질환을 매개하는 곤충임. Credit : James Gathany/CDC )
제주의대의 이근화 교수와 그 동료들이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2010 년 4월에서 2011 년 3월까지 제주도 7 개 지역에서 감염병 매개 모기를 채집한 결과 서귀포시 복목동에서 잡힌 흰줄숲모기의 유전자 염기서열이 국내나 일본 등에 서식하는 모기와는 달랐다고 합니다. 이 모기는 같은 흰줄숲모기라도 뎅기열 유행 지역인 베트남에서 서식하는 것과 동일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것이 시사하는 바는 베트남의 흰줄숲모기가 공항이나 항구를 통해 제주도에 들어와 살아남았을 가능성입니다. 사실 최근 뎅기열은 물론이고 다양한 감염 질환이 널리 확산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바로 교통의 발달과 항공/해상 수송의 증가입니다. 실제 연구팀의 조사에서도 제주 공항 및 제주항에서 많은 모기를 채집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이와 같은 매개 곤충의 확산의 또 다른 이유는 바로 지구 온난화입니다. 지난 41 년간 (즉 1970 년에서 2012 년) 사이 제주도의 평균 기온은 세계 평균을 훨씬 뛰어넘는 섭씨 1.7 도에 달했습니다. 이렇게 기온이 따뜻해지면 외국에서 유입된 매개 곤충들이 오랫동안 살아남아 토착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것이 남미에서 북미 대륙으로 무려 수천 km 에 걸쳐 뎅기열이 북상한 이유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다행히 이번 연구는 물론이고 보건 당국의 보고에 의하면 아직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뎅기열 환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뎅기 바이러스를 지닌 모기가 장기간 생존하면서 바이러스를 전파하게 되면 이제는 국내에서 서식하던 모기들도 숙주를 흡혈하는 과정에서 바이러스를 획득, 결국 한국 역시 뎅기열 유행 지역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점점 여름이 길어지고 고온 다습해지는 환경이 여러 열대 질환을 매개하는 곤충이 서식하기 딱 좋은 환경이 되고 있습니다. 외국의 사례를 보더라도 점차 열대 감염성 질환들이 북상하는 것이 하나의 추세이기 때문에 불행히 한국 역시 뎅기열 유행 가능성에서 100% 안심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참고
Journal Reference
1. Su Hyun Lee , Kwang Woo Nam , Ji Yeon Jeong et al.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Globalization on Mosquito Vectors: Evidence from Jeju Island, South Korea on the Potential for Asian Tiger Mosquito (Aedes albopictus) Influxes and Survival from Vietnam Rather Than Japan. 2013. PLOS ONE doi:10.1371/journal.pone
http://www.plosone.org/article/info%3Adoi%2F10.1371%2Fjournal.pone.006851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1&aid=0006397515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