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지구 온난화 정체기는 없었다?


 이전에 포스팅한 내용과 제목이 같은데 사실 비슷한 내용입니다. 지구 온난화 정체기(Global warming hiatus)라는 용어는 2000년 대 이후 지구 기온 상승이 다소 주춤했던 상황을 의미합니다. 이는 지구 대기에서 온실 가스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과 달랐기 때문에 이를 해석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가설 가운데 하나는 바다가 더 많은 열을 흡수했다는 것이죠.
 하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아예 정체기 자체가 없었다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지구 기온 상승은 주기적인 변동이 있을 수 있으며 통계적으로 봤을 때 이정도 차이는 본래 있을 수 있다는 것이죠. 이를 두고 논쟁이 오갔는데, 실제로는 온난화 정체기가 없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연구가 저널 Science에 발표되었습니다. ( http://blog.naver.com/jjy0501/220381355217 참조)
 당시 NOAA 의 연구자들은 일부 관측 데이터의 에러를 수정한 새로운 온도 변화 그래프를 발표했고 이 내용으로 보면 온난화 정체기는 뚜렸하게 나타나는 수준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A NOAA analysis using updated global surface temperature data disputes the existence of a 21st century global warming slowdown. The new analysis suggests no discernable decrease in the rate of warming betwee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a period marked by manmade warming, and the first fifteen years of the 21st century, a period dubbed a global warming “hiatus.”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the hiatus was an illusion, an artifact of earlier analyses. Credit: NOAA's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스탠포드 대학의 발라 라자라트남 교수(Bala Rajaratnam, an assistant professor of statistics and of Earth system science)와 그의 동료들은 수정된 데이터와 수정되기 전 데이터 모두를 사용해서 실제로 정체기라고 불릴 만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증했습니다. 이들은 subsampling이라는 새로운 기법으로 데이터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지구 온난화 정체기라고 부를 만한 것이 없다(there never was a hiatus, a pause or a slowdown in global warming)고 결론을 내렸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저널 Climate Change에 발표되었습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1998년에서 2013년 사이 바다가 더 많은 열을 저장했다는 것도 사실인 것 같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해서 앞으로 과학적 논의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어쩌면 이 두 가지 사실은 서로 대립되는 내용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바다 깊숙이의 해수 온도가 올라가고 지구 온도가 계속 올라간다는 것은 지구 대기 중 온실가스가 증가하면서 지구 표면 온도가 올라가는 것과 대치되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더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앞으로의 연구가 중요할 것으로 보이지만, 결국 큰 결론은 변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것은 지구 온도가 상승했고 지금도 상승 중이라는 것이죠.
 참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

사막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온실 Ecodome

 지구 기후가 변해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비가 더 많이 내리지만 반대로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도 생기고 있습니다. 일부 아프리카 개도국에서는 이에 더해서 인구 증가로 인해 식량과 물이 모두 크게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막 온실입니다.   사막에 온실을 건설한다는 아이디어는 이상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사막 온실이 식물재배를 위해서 시도되고 있습니다. 사막 온실의 아이디어는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사막 환경에서 작물을 재배함과 동시에 물이 증발해서 사라지는 것을 막는데 그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사막화가 진행 중인 에티오피아의 곤다르 대학( University of Gondar's Faculty of Agriculture )의 연구자들은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장치를 결합한 독특한 사막 온실을 공개했습니다. 이들은 이를 에코돔( Ecodome )이라고 명명했는데, 아직 프로토타입을 건설한 것은 아니지만 그 컨셉을 공개하고 개발에 착수했다고 합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사막에 건설된 온실안에서 작물을 키움니다. 이 작물은 광합성을 하면서 수증기를 밖으로 내보네게 되지만, 온실 때문에 이 수증기를 달아나지 못하고 갖히게 됩니다. 밤이 되면 이 수증기는 다시 응결됩니다. 그리고 동시에 에코돔의 가장 위에 있는 부분이 열리면서 여기로 찬 공기가 들어와 외부 공기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에코돔 내부로 들어옵니다. 그렇게 얻은 물은 식수는 물론 식물 재배 모두에 사용 가능합니다.  (에코돔의 컨셉.  출처 : Roots Up)   (동영상)   이 컨셉은 마치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담수 장치를 합쳐놓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도 잘 작동할지는 직접 테스트를 해봐야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