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HIV 의 감염 경로
HIV 는 사실 매우 외부 환경에 약한 바이러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점은 HIV 를 소독할 때도 중요하고 HIV 의 전파의 역학적 특징에도 중요합니다. HIV 는 섭씨 55 - 60 도 정도에서 30 분 정도면 불활성화 되며 물론 끓는 물에서는 수분만에 쉽게 파괴됩니다. 또 화학적으로도 불안정해서 흔히 소독제나 표백제로 사용되는 치아 염소산이나 70% 알코올, 10% 베타딘 등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외부 환경에서는 오래 지속될 수 없으며 이런 이유로 혈액과 체액 속에서도 바이러스 입자가 존재하지만 공기 감염이나 단순한 신체 접촉으론 감염될 수 없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대부분 전파는 성접촉이나 주산기 감염 (엄마에서 아기에게 전파), 혈액 전파 (수혈 등), 감염된 주사기등에 의한 전파 등입니다.
어떤 경우든 HIV 가 체내로 어느 정도는 들어가야 감염이 일어납니다. HIV 는 생각보다 쉽게 감염이 되지 않는 바이러스로 통상적인 성관계를 통해서도 사실 잘 감염이 되는 편은 아닙니다. 각 경우에 감염되는 비율을 대략적으로 추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수혈 : 90%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임신, 출산, 모유 수유 과정에서 수직 감염 : 25%
최적의 치료를 하는 경우 임신, 출산, 모유 수유 과정에서 수직 감염 : 1-2 %
주사기 바늘을 재사용하는 경우 (대개 약물 중독자에서) : 0.67%
감염된 주사기 바늘에 찔리는 경우 : 0.3%
성접촉 : < 1.7% 이하 (정상 적인 남녀간의 성 접촉의 경우 선진국에서 남녀가 감염될 확율은 0.05% (남), 0.1% (여) 정도)
주로는 성관계를 통해 전파되는 경우와 어머니에서 아기로 수직 감염되는 경우가 가장 흔하지만 생각보다 1회 성접촉을 통해서 전파되는 가능성이 아주 높지는 않습니다. 다만 성접촉이 꽤 널리 일어나다 보니 가장 중요한 전파 경로가 되었을 뿐이죠.
HIV 는 혈액, 정액, 질분비액, 모유에는 높은 농도로 존재할 수 있어서 수혈이나 성접촉, 출산, 모유 수유등이 주요한 전파루트로 작용합니다. 반면 침, 눈물, 땀, 소변, 대변으로 전파된 경우는 보고된 바가 없습니다. 여기에는 HIV 가 아주 낮은 농도로 존재할 뿐이기 때문이죠. 따라서 수인성 전염병처럼 감염되거나 환자와의 가벼운 접촉 등으로는 가능성이 없는 것입니다. 또 모기에 의한 감염 사례도 보고된 바 없습니다.
4. 급성 HIV 감염 (급성 HIV 증후군)
일단 HIV 가 인체내로 들어오게 되면 급성 HIV 감염 (Acute HIV Infection) 시기를 거쳐 만성 잠복기에 이르게 되며 이 시기 이후에 오랜세월에 걸쳐 면역이 약해지면 AIDS 라고 부를 수 있는 병리 상태에 이르게 됩니다.
초기 HIV 감염에서 일단 HIV 가 체내에 들어오게 되면 그 타겟으로 삼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CD4 라는 물질을 표면에 가지고 있는 세포들입니다. 인체에서 대표적인 타겟은 CD4+ helper T cell 과 Macrophage 입니다. 실제로 바이러스가 세포 안으로 들어갈 대는 CD4 뿐만이 아니라 다른 Chemokine coreceptor 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은
HIV 의 gp 120 의 V1 region 과 표적 세포의 CD4 가 결합
-> confirmational change
-> HIV 의 gp 120 의 V3 region 과 coreceptor (CCR5 or CXCR4) 가 결합
-> HIV 의 gp 41 이 표적 세포 표면의 fusion domain 과 융합
-> HIV 의 내부 물질 (RNA + 효소들) 이 표적 세포 내로 들어가 증식
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타겟으로 삼는 숙주 세포에서 병리 기전에 가장 중요한 역활을 하는 것은 CD4 + T cell 로 결국 에이즈 환자는 CD4+ helper T cell 이 크게 줄어들어 이 면역 세포가 담당하는 면역 기능 ( 이 세포는 림프세포 가운데 하나로 B 세포에 항원의 침입을 알려 항체를 만드는 기능 및 킬러 (killer) T 세포가 항원을 인지하고 공격 파괴하는 것을 도움) 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아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CD4 + T cell 은 HIV 감염에 매우 취약해 초기의 급성 HIV 증후군 수주간 혈액내 수치가 거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하지만 HIV 에 감염된 후 쉽게 사멸하므로 HIV 를 장기간 보존하는 기능은 하지 않습니다.
아무튼 HIV 가 우리 몸속에 들어와 본격적인 감염을 일으키는 초기의 급성 HIV 감염 기간에 HIV 의 증식 속도는 매우 빠릅니다. HIV 세포에 감염된 후 증식되어 다른 세포로 방출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5 일 정도에 불과하고 한 사이클당 바이러스는 수백 수천배 증식할 수 있습니다. HIV RNA 의 혈액내 수치는 이 시기 폭발적으로 증가해서 1 ㎣ 당 1000만 카피 까지 증가할 수 있습니다. 감염된 CD4+ T 세포를 제거하는 일은 다른 면역 세포인 CD8+ T 세포입니다.
( HIV 의 감염 기간동안 HIV RNA 의 농도와 CD4+ T 세포의 수의 변화. 초기 감염기에는 수주만에 급격하게 바이러스 RNA 수치가 증가하고 CD4+ T 세포의 수는 급격히 감소했다가 다시 회복 http://en.wikipedia.org/wiki/File:Hiv-timecourse_copy.svg )
이 시기에 이러한 급격한 바이러스 증식에 의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급성 HIV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전체 감염자에서 다 나타는 것은 아니고 30 - 60% 정도에서만 나타나게 됩니다. 또 증상 자체도 마치 감기 같은 발열, 홍반, 오한, 피곤감, 림프절 종대 등이 1-3 주 정도 지속되는 것이기 때문에 특별히 인지하지 못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급성 감염기가 지나고 나면 인체에서 HIV 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바이러스가 크게 감소하고 CD4+ T 세포의 수치가 다소 회복됩니다. 하지만 바이러스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