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우주 이야기 49 - 허블이 본 우주 6



 
 허블 우주 망원경이 본 우주 마지막 입니다.




 (백색왜성과 주변의 원반.  허블 우주 망원경은 가시광 영역의 컬러 이미지만 보는 것이 아니다. 많은 가시광 이외 영역이 관측 영역인데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파장에서 더 잘 보이는 천체들이 있기 때문이다. 백색 왜성 HD 141569 는 허블 우주 망원경 관측에서 두개의 먼지등으로 구성된 원반이 관측된 백색왜성이다. 이 백색 왜성의 먼지 원반은 각각 86 AU, 250 AU 정도 거리이며 아마도 225 AU 거리 정도에는 원반안에 숨어 있는 행성이 존재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당연히 백색 왜성 주변에도 행성이 있을 수 있다. 먼 미래 우리 태양이 백색 왜성이 되면 그 주변에는 태양계의 외행성들과 적어도 화성 까지는 여전히 그 주변을 공전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백색왜성은 나사의 관측에 의하면 protoplanetary disk, 즉 행성이 생성되는 먼지 디스크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Credit: NASA, M. Clampin (STScI), H. Ford (JHU), G. Illingworth(UCO/Lick), J. Krist (STScI), D. Ardila (JHU), D. Golimowski (JHU) the ACS Science Team and ESA)




 (케플러의 초신성   위대한 천문학자이자 근대 과학의 초기에 지대한 공헌을 한 요하네스 케플러는 1604년 10월 9일에 초신성을 관측했다. 이 초신성은 우리 은하계 안에 있던 초신성이었다. 나사는 이 초신성의 잔해를 세개의 중요한 우주 관측 기기인 허블 우주 망원경, 찬드라 X 선 위성, 그리고 스피처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하고 그 이미지를 합성한 대형 사진을 공개했다.  

Color Code (Energy):
  • Blue: X-ray (4-6 keV), en:Chandra X-ray Observatory, The higher-energy X-rays come primarily from the regions directly behind the shock front.
  • Green: X-ray (0.3-1.4 keV), en:Chandra X-ray Observatory; Lower-energy X-rays mark the location of the hot remains of the exploded star.
  • Yellow: Optical, en:Hubble Space Telescope; The optical image reveals 10,000 degrees Celsius gas where the supernova shock wave is slamming into the densest regions of surrounding gas.
  • Red: Infrared, en:Spitzer space telescope; The infrared image highlights microscopic dust particles swept up and heated by the supernova shock wave.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처음으로 직접 찍은 외계 행성    포말하우트는 동아시아에서는 북락사문이라 불리는 별로 남쪽 물고기 자리 알파별이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이 별 주변에서 먼지 원반을 발견했으며 그 중에 외계 행성 포말하우트 b 가 숨어 있음을 찾아냈다. 우측 밑에 작은 사각형 안에 그 사진이 보인다. 이 행성은 작은 점으로 밖에 보이지 않지만 외계에 있는 행성의 직접 이미지를 얻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이 때 까지 찾은 외계 행성은 모두 간접적인 방법으로 찾았던 것이었다. 클릭하면 원본

 참고로 포말 하우트는 지구에서 25광년 떨어진 별이며 포말하우트 b 행성은 목성 질량의 0.054 - 3배 정도 되는 행성으로 모성인 포말하우트로 부터 약 133 - 158 AU 떨어진 행성이다. 포말하우트 b 는 아마도 모항성으로 부터 멀리 떨어진 목성형 행성일 것이다. 모성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거리에 있으면서 크기가 크기 때문에 우리는 작은 점으로 이 행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만약 포말하우트에서 태양계를 관측한다면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도 지구를 찾아 낼 수는 없었을 것이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and ESA )





 (오리온 성운의 전체 모습   우리에게도 친숙한 오리온 성운 (Orion Nebula) 은 지구에서 1,344 ± 20 광년 정도 떨어져 있으며 지름 24 광년 정도의 큰 성운으로 지구에서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여타의 거대 성운들 처럼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아기별 들이 태어나는 장소이기도 하다. 위의 사진의 원본은 18000 X 18000 픽셀 정도로 여러개의 허블 망원경 이미지를 합성한 것이다. 이렇게 큰 사진의 원본은 네이버에 올릴 수 없다.   원본은 여기에서 :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3/Orion_Nebula_-_Hubble_2006_mosaic_18000.jpg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and ESA)



 (허블 우주 망원경이 포착한 태어나는 별들과 원시 행성계 원반 (protoplanetary disc) 들. 이들은 오리온 성운에서 생성 되고 있는 새로운 항성들이다. 이 항성 주변에는 먼지 구름에서 형성된 원반이 붙어 있는데 이런 원반들이 중력으로 합쳐져 행성과 소행성대를 구성하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 태양계도 생성되는 당시에는 이런 모습이었을 것이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and ESA)




 (아기별의 울음 소리   초기에 생성된 별은 강착 원반 (accretion disc)과 수직 방향으로 초속 수백킬로미터의 속도로 가스를 내뿜는다. 그러면 주변의 가스와 먼지를 밀어내면서 마치 물감을 짜는 것 같은 특이한 모습을 형성한다. 이것을 Herbig-Haro Object 라 부르는데 항성이 새롭게 만들어진 별의 증거다. 마치 아기별의 울음 같다고 할까.

 이 현상은 불과 수천년 정도만 지속되는데 인간의 생애에 비하면 무척 길지만 별의 일생으로 보면 찰나의 울음인 셈이다. 5년에 걸쳐 허블 우주 망원경이 이 모습을 포착했고 이를 연속으로 본 사진이다. 이 사진 역시 오리온 성운에서 포착한 사진이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    



(장막을 벗으면 별이 보인다.   오리온 성운의 가스와 먼지를 뚫고 새로 태어난 별들을 보는데 더 좋은 방법은 사실 가시 광선이 아니라 적외선 영역에서 관측하는 것이다. 적외선 영역은 인간의 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오히려 우주의 어두운 천체들이나 먼지와 가스를 뚫고 관측하는 데는 더 유리하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가시광 영역은 물론 적외선 영역의 관측도 가능한 우주 망원경이다.

 좌측은 가시광 영역에서 오리온 성운의 별을 본 것이고 우측은 적외선 영역에서 관측한 것이다. 구름 속에 가려졌던 젊은 별들이 더 잘 관찰된다. 오리온 성운은 여러 젊은 별들과 아기 별들의 고향이자 산란장이다. 여기서 본 오리온 성운의 부분은 Trapezium cluster 라고 부른다. 이 젊은 별들의 모임은 갈릴레오에 의해 처음 밝혀졌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andESA )






 (산란되는 빛   지구에서 3000 광년 정도 떨어진 Egg nebula 의 모습이다. 이 성운은 원시 행성계 원반 (protoplanetary disc) 를 지닌 중심부의 별이 먼지로된 디스크에 가려 빛을 내면서 산란되어 이와 같은 독특한 모습을 띄고 있다고 여겨진다.  This work is in the public domain in the United States because it is a work of the United States Federal Government under the terms of Title 17, Chapter 1, Section 105 of the US Code. See Copyright. )





 (허블이 포착한 목성의 충돌 흔적    허블 우주 망원경은 태양계의 생생한 모습 들도 포착했다. 그 중에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역시 슈메이커 레비 혜성이 목성에 충돌했을 때 였을 것이다. 그러나 그 외에도 목성에는 자주 혜성이나 소행성과의 충돌이 있었던 것 같다. 목성의 거대한 질량과 중력, 그리고 소행성과 혜성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 보면 놀라운 일은 아니다. 사진은 2009년 7월 23일 찍은 것으로 목성에 혜성이나 소행성 충돌의 흔적으로 보이는 거대한 반흔이 발견되었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



 (목성의 오로라   목성의 강력한 자기장으로 인해 목성에서도 오로라가 발생한다. 허블 우주 망원경은 자외선 영역에서 이를 관측했다. 한가지 재미있는 것은 밝은 흔적들인데 이것들이 목서의 거대 위성인 이오, 가니메데, 유로파에 의해 발생했다는 것이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





 (화성의 표면    허블 우주 망원경은 화성에 탐사선이 없을 때 화성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화성의 기후 변화를 추적하는 역활을 했다. 화성의 자전 주기는 지구와 비슷하므로 화성의 거의 전 표면적을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포착할 수 있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





 (토성의 양극지방의 오로라   토성 역시 오로라가 발생한다.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토성의 양극 지방에 생긴 오로라를 관측했다. 밝게 보이는 양 극 지방의 모습이 오로라이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 






 (천왕성의 암반.  천왕성에는 현재 탐사선이 가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역시 허블 우주 망원경의 주요 탐사 대상이다. 2006 년 천왕성에 발생한 암반 (Dark spot)  을 허블 우주 망원경이 찍었다. 그 크기는 아주 커보이지 않지만 사실 수천 km 에 달하는 크기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





 (명왕성과 위성들.  명왕성은 아직 탐서선이 도달하지 못했다. 명왕성은 거의 동반성이라고 할 수 있는 카론과 같이 공전하고 있으며 그 주위를 다시 닉스와 히드라 라는 작은 위성들이 돌고 있는 복잡한 구조다. 허블 우주 망원경이 이를 포착했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NASA )





 (명왕성의 표면.  허블 우주 망원경 영상을 최대로 확대해 보면 사실 명왕성의 표면이 알록달록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명왕성이 매끈한 표면을 가진게 아니라 분명히 어떤 형태의 지형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 지형이 어떤 것인지는 결국 명왕성 탐사선인 뉴 호라이즌 호가 밝혀야 할 임무다.  This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because it was created by NASA )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

사막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온실 Ecodome

 지구 기후가 변해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비가 더 많이 내리지만 반대로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도 생기고 있습니다. 일부 아프리카 개도국에서는 이에 더해서 인구 증가로 인해 식량과 물이 모두 크게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막 온실입니다.   사막에 온실을 건설한다는 아이디어는 이상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사막 온실이 식물재배를 위해서 시도되고 있습니다. 사막 온실의 아이디어는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사막 환경에서 작물을 재배함과 동시에 물이 증발해서 사라지는 것을 막는데 그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사막화가 진행 중인 에티오피아의 곤다르 대학( University of Gondar's Faculty of Agriculture )의 연구자들은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장치를 결합한 독특한 사막 온실을 공개했습니다. 이들은 이를 에코돔( Ecodome )이라고 명명했는데, 아직 프로토타입을 건설한 것은 아니지만 그 컨셉을 공개하고 개발에 착수했다고 합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사막에 건설된 온실안에서 작물을 키움니다. 이 작물은 광합성을 하면서 수증기를 밖으로 내보네게 되지만, 온실 때문에 이 수증기를 달아나지 못하고 갖히게 됩니다. 밤이 되면 이 수증기는 다시 응결됩니다. 그리고 동시에 에코돔의 가장 위에 있는 부분이 열리면서 여기로 찬 공기가 들어와 외부 공기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에코돔 내부로 들어옵니다. 그렇게 얻은 물은 식수는 물론 식물 재배 모두에 사용 가능합니다.  (에코돔의 컨셉.  출처 : Roots Up)   (동영상)   이 컨셉은 마치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담수 장치를 합쳐놓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도 잘 작동할지는 직접 테스트를 해봐야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