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간단히 예고한 대로 췌장암에 대해서 포스팅해 볼 생각입니다. 일단 췌장암의 가장 흔한 형태인 adenocarcinoma 에 대해서 기술하고 기타 neuroendocrine tumor 들에 대해서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우선 편의상 처음 포스팅 하는 내용은 췌장암의 가장 흔한 형태로 90% 이상을 차지하는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췌관의 선암종) 에 대한 내용부터 설명하고 나머지 췌장 내분비 암 (neuroendocrine tumor) 에 대해서는 나중에 별도의 항목으로 설명합니다. 편의상 경어는 생략합니다.
1. 췌장암(선암종)의 예후
췌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중 가장 흔한 형태는 선암종 (adenocarcinoma) 이다. 전체 췌장암의 대략 95% 정도가 이와 같은 조직학적 특징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췌장암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췌관 선암종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를 염두에 두고 말한다.
오랜 세월 이 췌장암에 대해서 잘 알려진 것 가운데 하나는 극도로 예후가 불량하다는 것이다. 미국 암 학회 (American Cancer Society) 에 의하면 췌장암과 연관된 사망은 2008 년에만 34290 명에 달했다고 한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높은 사망율이다. 대개의 국가에서 췌장암이 전체 악성 종양 발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3% 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사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종양 관련 사망 가운데 무려 6% 를 차지한다. 그 이유는 췌장암이 2년 생존율이 10% 내외에 불과할 정도로 낮고 5년 생존율도 10% 를 넘지 못할 정도로 예후가 불량하기 때문이다. 전세계적으로 췌장암은 네번째로 많은 사망자를 만드는 악성 종양이다.
이렇게 불량한 예후는 국내에서도 다르지 않다. 중앙 암 등록 본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10 대 암 가운데 췌장암의 5년 생존율은 2003 년 - 2007 년에 평균 7.6% 에 불과하여 10 대 암 가운데 최악의 5년 생존율을 보여주었다. 이를 다른 10대암 평균인 57.1% 와 비교해 보면 얼마나 좋지 못한 예후인지 알 수 있다. 더구나 이런 불량한 예후는 국가별로도 큰 차이가 없다.
위의 도표에서 본다면 췌장암의 상대적 예후가 얼마나 좋지 않은지 쉽게 알수 있다. 대개의 국가에서 췌장암의 5 년 생존율은 5-7 % 수준에 불과한데 주요 암 중 압도적으로 낮은 수치이다. 더구나 시간이 흘러도 생존율이 호전되는 양상이 전혀 없다는 점에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왜 그런지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기술한다.
췌장암은 남자에서 약간 더 호발한다고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고령으로 갈 수록 비슷해 지며 환자의 대부분이 60 - 70 대의 고령에서 호발하기 때문에 남녀 발생율은 거의 비슷한 정도이다. 지난 1999 년에 국내 췌장암 발생환자는 총 2604 명이었으나 2007 년에는 3937 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물론 고령화에 의한 것도 있으나 연령 및 인구 10만명당으로 통계를 내봐도 췌장암 자체가 연 평균 1.5% 정도 증가하고 있어 서서히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효과적인 치료법과 조기 진단법이 없는 질환이 조금씩이라도 증가한다는 점은 좋지 않은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2. 췌장암의 원인 및 위험인자
췌장암의 발병원인으로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는 바로 유전자와 연관된 분자생물학적 배경이다. 췌장암의 90%를 차지하는 췌관의 선암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의 경우 조직학적으로 췌관 상피세포 (pancreatic ductal epithelium) 에서 전암성 병변으로 발전하여 결국 선암으로 발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과정에서 많은 유전자들의 돌연변이가 축적된 후 정상 췌관 상피세포가 췌관의 선암으로 변이한다는 것이 최근의 수많은 연구들을 통해 밝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췌장암의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살펴보면, KRAS2 종양 유전자 (Oncogene) 의 활성화가 췌장암의 발생에 관여하고 있으며, 종양 억제 유전자 (Tumor suppressor gene)인 CDKN2A 및TP53(P53) 의 비활성화 역시 췌장암 발생에 관여하고 있다. 현재까지 여러 연구에 의하면 90% 의 췌장암이 KRAS2 종양 유전자의 활성화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95%의 췌장암이 CDKN2A 종양 억제 유전자의 비활성화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밖에도 P16, BRCA2, DPC4 등의 수많은 종양관련 유전자들이 췌장암과 연관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췌장암 환자의 5 – 10% 정도가 가족력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고, hereditary pancreatitis, ataxia-telangiectasia, hereditary nonpolyposis colorectal carcinoma (HNPCC), Von Hippel-Lindau 증후군, familial atypical mole-multiple melanoma(FAMMM) 증후군 등 유전질환에서 췌장암이 호발 한다고 알려져 있어 췌장암의 유전적인 배경의 연구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가 미래에 고위험군 에서의 췌장암의 조기 진단 및 예방, 그리고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췌장암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도 많이 진행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유전적 배경이외에도
나이 (Age) : 60 세 이상
흡연 (smoking)
식생활 : 낮은 채소 섭취 + 다량의 육류와 당류가 많이 포함된 소프트 드링크류 섭취
비만
당뇨
만성 췌장염
헬리코박터균 감염
등이 위험인자로 지적되고 있다. 다만 음주의 경우 과연 연관이 있느냐에 대해서는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다. 아무튼 위에서 지적한 것 모두가 단지 췌장암의 위험인자 일 뿐 아니라 건강 자체의 위험인자라고 하겠다.
참고 문헌
1. 송시영. 췌장암의 원인 및 발생 기전. 대한소화기학회지 2008;51:71-83
2. Jia Li, Muhammad Wasif Saif. Advancements in the Management of Pancreatic Cancer. JOP. J Pancreas (Online) 2009 Mar 9; 10(2):109-117.
3. 2006-2007년 암발생율, 1993 – 2007년 암발생자의 암생존율, 2007년 암유병율 통계, 보건 복지부 중앙 암등록 본부. 2009.12.21
4. Manuel Hidalgo. Pancreatic Canc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0;362:1605-17.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