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췌장암의 증상
췌장암의 조기 진단을 어렵게 만드는 이유중 하나는 초기 췌장암이 사실상 거의 아무 증상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이후 진행된 췌장암 역시 췌장암임을 알 수 있는 특별한 증상을 일으키기 보다는 다소 애매 모호한 증상을 동반해서 결국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수술이 불가능한 병기에 병원을 찾게되는 경우가 많다.
췌장암과 연관된 가장 특이적인 증상이라면 상복부 통증인데 특히 등쪽으로 전파되는 것 같은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복부 통증은 정상인에서도 흔히 발생할 수 있어 초기에 놓치게 되는 경우가 아주 흔하다.
그외에도 암과 연관된 증상이라고 할 수 있는 식욕 감소, 체중 감소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일부 환자에서는 우울증 비슷한 증상도 보이기도 한다. 췌장 조직이 파괴됨에 따라 당뇨가 나타날 수도 있으며 췌장 두부에 생긴 종양이 담즙이 내려오는 총 담관을 막는 경우 통증을 동반하지 않는 황달 (painless jaundice) 를 유발할 수도 있다. 그외에도 Trousseau sign 이라고 불리는 혈전 응고로 인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췌장암이 진행되게 되면 주변 장기와 신경절들로 전이가 되게 되며 이로 인해 잘 조절되지 않는 극심한 통증, 기타 간 전이로 인한 간 기능 부전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등 전이로 인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4. 췌장암의 진단
췌장암을 진단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존재한다. 그 중에서 복부 초음파는 간편하게 검사가 가능하며 환자에게 해가 없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3cm 이상의 췌장암에 대한 진단 민감도는 95% 이지만2cm 이하에서는 민감도가 낮아 조기 발견에는 어려움이 많다.
최근에 점차 보급되고 있는 Multi-detector CT 는 복부 초음파 보다 더 우월한 진단적 방법이다. 췌장암 진단의 전체적인 민감도가 93 – 100% 에 달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근치적 절제술 시행 여부에 중요한 혈관 침범에 대한 정확도도 93% 로 높게 보고되고 있어 췌장암의 진단 및 치료 방침 결정, 예후 판정에 가장 선호되는 검사이다. 다만 CT 는 근치적 조기 절제가 용이한 1cm 미만의 작은 췌장암에서는 민감도가60% 정도로 낮은 것이 단점으로 지목되고 있다.
내시경적 초음파 (Endoscopic Ultrasound, EUS) 는 췌장암 진단에서 97% 의 높은 민감도를 보이며 특히 2cm 이하 종괴의 진단에서 CT 보다 우월하다. 또 국소 림프절 전이 및 혈관 침범에 대한 정확도가 높은 것이 장점이다. 특히 내시경적 초음파를 이용한 세침흡인 검사 (EUS-FNA) 가 가능하기 때문에 조직학적 진단도 같이 내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내시경적 초음파는 시행자의 숙련도에 많이 의존적이고 간문맥 이외의 혈관 침범에 있어서는 CT 보다 우월하지 않은 단점도 있어 CT 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할 때 더 진단적으로 유용하다.
이외에도 내시경역행성 담췌관조영술 (ERCP) 및 MRCP, PET 검사들도 췌장암의 진단 및 근치적 수술 가능 여부의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어 같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CA 19-9 과 같은 종양 표지자 역시 췌장암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데, 스크리닝 등의 목적으로는 사용하기 어렵지만 췌장암이 의심되는 환자나 혹은 췌장암 환자의 추적 검사로써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5. 췌장암의 병기
췌장암의 병기를 분류하는 방법 중 하나는 바로 일반적인 TMN 병기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AJCC) Tumor-node-metastasis classification) 에 따르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종괴가 췌장안에 국한되어 있고 2cm 이하인 경우를 T1, 역시 종괴가 췌장안에 국한되어 있되 2cm 이상인 경우를 T2 라고 정의했다. 종괴가 췌장을 벋어나되 Celiac axis 와 SMA 를 침범하지 않은 경우는 T3 로 보고 이를 침범한 경우는 T4 로 나누고 있다. T3 까지는 근치적 절제를 시도할 수 있지만 T4 의 경우에는 사실상 절제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이다. 물론 림프절 전이와 원격 전이가 있을 때에도 절제는 가능하지 않다.
이를 국소적 림프절 전이 (Regional LN metastasis, N1) 및 원격 전이 (M1) 과 나누어 생각하면 다음과 같은 병기결정이 가능해진다.
병기 T N M
IA T1 N0 M0
IB T2 N0 M0
IIA T3 N0 M0
IIB T1-3 N1 M0
III T4 N0-1 M0
IV T1-4 N0-1 M1
(출처: Manuel Hidalgo. Pancreatic Canc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0;362:1605-17 )
췌장암의 병기를 나누는 또 다른 방법 가운데 하나는 바로 유일한 근치적 치료인 절제 가능성을 기준으로 나누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원격전이가 없는 국소 진행형 췌장암의 경우 비교적 절제가 용이한 위치에 있어 근치적 절제가 가능한 환자군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과 이미 원격 전이가 있거나 혹은 해부학적으로 근치적 절제가 불가능한 위치의 췌장암으로 절제가 불가능한 군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그리고 이 둘에 위치한다고 여겨지는 경계 절제 가능 군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참고 문헌
2. 이종균. 췌장암의 스크리닝 및 진단. 대한소화기학회지 2008;51:84-88
3. 김재우, 췌장암의 최신치료, 대한내과학회지: 제 77권 제 6 호 2009
4. Manuel Hidalgo. Pancreatic Canc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0;362:1605-17.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