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생전 가장 예쁘게 촬영된 아이손 혜성 Comet ISON (C/2012 S1) captured by the Mount Lemmon SkyCenter using the 0.8m Schulman Telescope and an STX-16803 CCD camera. 8 October 2013. Author : Adam Block/Mount Lemmon SkyCenter/University of Arizona )
이전 포스트 ( http://jjy0501.blogspot.kr/2013/11/ISON-May-Have-Survived.html) 에서 아이손 혜성의 운명은 마지막 조각이 증발하면서 갑자기 밝아졌던지, 핵의 몇분의 1 에 해당하는 조각이 남아서 미니 아이손 혜성이 되던지, 아니면 의외로 상당 부분이 살아남았던지 하는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아마도 첫번째 추정이 맞았던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꼬리 비슷한 물체를 만들던 아이손 혜성의 잔해는 태양에서 멀어지면서 매우 희미해졌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이제 남은 것은 아이손 혜성의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먼지와 가스 뿐이라는 것입니다. 꼬리를 만들만한 파편이 남아 있지 않은 상태로 사실상 소멸되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한국 천문 연구원에서는 2 일 보도 자료를 내고 이 혜성이 파괴되었다고 최종 결론을 내렸습니다.
한국 천문 연구원에 의하면 아이손 혜성이 근일점 통과 직전에 분열의 징후를 나타내며 급격히 어두워지기 시작했고 태양에 근접하기 전에 이미 핵을 잃어버린 상태로 생각된다고 분석했습니다. 11월 29일 근일점을 통과하고 난후 SOHO 및 LASCO C3 에 나타난 꼬리와 흔적은 아이손이 파괴되고 남은 먼지와 잔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를 영상으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근일점에서의 영상)
아이손 혜성은 태양에 근접하면서 갑자기 밝아진 후 밝기가 어두워 졌는데 이는 이미 이 단계에서 핵이 부서지기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근일점에서 있어야 할 위치에 아무것도 없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점은 제가 이전에 추측한 시나리오와 비슷한 것 같습니다. 뭐 상식적으로 가장 가능성 있는 내용이니까요)
(SDO 관측에서는 근일점에서 혜성이 있어야할 위치에 혜성과 꼬리, 심지어 파편도 보이지 않았음. This image from NASA's Solar Dynamics Observatory shows the sun, but no Comet ISON was seen. A white plus sign shows where the Comet should have appeared. It is likely that the comet did not survive the trip.
Image Credit: NASA/SDO )
하지만 본체가 파괴되도 일부 남은 파편이 꼬리를 만들고 새로운 혜성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후 등장한 SOHO 영상에서는 근일점을 돌아나오는 흔적이 꼬리를 만드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다소 희망적인 징후로 해석하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위의 동영상 참조)
( SOHO 이미지. 태양에서 멀어지면서 태양의 반대 방향으로 새로운 꼬리의 모습이 분명하게 관측됨. 가운데 흰 동그라미가 태양 ISON appears as a white smear heading up and away from the sun. ISON was not visible during its closest approach to the sun, so many scientists thought it had disintegrated, but images like this one from the ESA/NASA Solar and Heliospheric Observatory suggest that a small nucleus may be intact.
Image Credit: ESA/NASA/SOHO/GSFC)
하지만 이후 SOHO 의 추가 관측 결과는 실망스런 것이었습니다.
(Image Credit: ESA/NASA/SOHO/GSFC)
결국 12/1 일까지 SOHO 의 관측 범위에서 보면 마지막 남은 조각이 태양풍에 날린 후 이제는 가스와 먼지가 흩어지는 상황임을 알 수 있습니다. STEREO A 이미지 역시 거의 희미해지는 아이손의 잔혜를 확인했습니다.
(STEREO A 가 찍은 아이손의 마지막 모습으로 (화살표) 그 잔해가 매우 희미해졌음을 알 수 있음 A sequence of STEREO A images from November 30th and December 1st (Universal Time given at bottom) show what's left of Comet ISON drifting away from the Sun.
NASA / STEREO )
하루전에는 생각보다 큰 조각이 살아남아 금세기 최고 까지는 아니어도 망원경으로는 볼 수 있는 꼬리를 만들 가능성도 제기되었으나 결국 소멸된 것으로 보입니다. 마지막 보여준 꼬리는 최후의 파편들이 날리는 마지막 피날레였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사실 이런 최후는 그다지 의외라곤 할 수 없습니다. 이미 이전 포스트를 통해 자세히 설명한 바 있지만 이 혜성이 결국 파괴될 가능성도 높다는 건 모두가 예측했던 일입니다. 따라서 근일점에 도달하자 세계 천문학계 (아마추어 천문학도를 포함) 의 시선이 집중되었던 것이죠.
나사가 공개했던 정보에서도 이런 내용이 강조되었습니다. 다만 지금까지 국내 언론 보도에선 이런 내용은 생략하고 금세기 최고의 혜성이 온다고만 보도했던 것이죠. 어떤 분이 댓글로 왜 나사에서는 금세기 최고의 혜성이 된다고 떠들었는지 모르겠다고 해서 첨언하면 분명 부서질 수 있다는 건 여러차례 나사가 보도자료를 통해 언급했던 내용입니다. 왜냐하면 궤도를 생각하면 그럴 수 밖에 없거든요.
더구나 나사와 ESA 등 다른 여러 우주 기구들은 이미 관측을 통해 수천개의 태양 근접 혜성들을 관측한 바 있습니다. 수많은 혜성들이 태양 근처에서 최후를 맞이했죠. 따라서 이런 운명을 예측하는 일은 그다지 어렵지 않은 일입니다. 한국의 천문 연구원을 비롯 세계 각국의 천문 관측 기구들이 생존, 파괴(소멸), 잔해가 일부 살아나오는 시나리오 중 한가지를 제시했습니다. 나사 역시 마찬가지로 파괴될 수 있다는 걸 오래전 부터 보도자료와 교육 자료를 통해 알려줬죠. (그 중 하나 아래 링크 참조)
아무튼 좀 단단한 혜성이어서 무사히 살아나왔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아쉬움은 남습니다. 물론 아이손의 관측 데이터는 과학적으로 분석되어 여러가지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다만 혜성쇼는 못보게 된 셈이죠. 나중에 포스트로 발견에서 소멸까지 아이손 혜성의 역사를 간추려 보겠습니다. 그리고 아직 남은 부분에 대한 관측은 계속되고 있어서 의외의 사실이 밝혀지면 또 추가 포스트를 작성할 수도 있겠네요.
참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