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에 대해서는 이미 이 블로그를 통해서 여러차례 소개한 바 있지만 인간에서 암과 관련된 자연 방사성 동위원소 가운데 가장 흔하고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원소입니다. (라돈이 동위 원소 중 특히 라돈 - 222 (Rn - 222) 이 문제임) 좀 오래된 글이긴 하지만 라돈에 대한 소개글과 이전 지하철 내 라돈 문제에 대한 포스트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라돈과 방사능 문제 : http://blog.naver.com/jjy0501/100126054482
지하철 라돈 대책 : http://blog.naver.com/jjy0501/100169856403
라돈은 전세계적으로 흡연 다음으로 흔한 폐암의 원인으로 미국에서는 매년 약 21000 명 정도가 라돈에 의해 폐암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는 폐암 사망 원인의 3 - 15%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1980 년대부터 실태 조사에 나서서 전국 라돈 지도를 만들고 저감 대책을 시행해 왔으나 국내에서는 최근에야 그 심태 조사에 들어가 최근에야 저감 대책을 실행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와 같은 라돈 실태 조사와 저감 대책에는 특히 주로 지하에 존재하므로써 라돈 농도가 쉽게 상승할 수 있는 (라돈은 환기가 안되는 지하, 화강암 지형에 특히 농도가 높아짐) 지하철 실내 및 역사에 대한 대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최근 서울시가 밝힌 바에 의하면 지난해 (2013 년) 서울시내 지하철 역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기준치인 4 pCi/㎥ (148 Bq/㎥) 를 한번이라도 초과한 역사는 30 곳이었으며 24 곳은 기준치에 근접한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합니다. 이전 조사 결과에서 평균 농도가 아예 기준치를 넘는 역사가 있었던 것과 비교하면 (이전 지하철 라돈 대책 포스트 참조) 개선된 셈인데 이는 문제가 되는 지하철 역사에 환기 장치를 추가로 설치하고 배수로 맨홀 등을 밀폐해 라돈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 덕이라고 하네요.
서울시는 라돈 기준치를 1 회라도 초과한 역사를 '중점 관리 역사'로 지정해 매 분기 농도를 측정해 기준치를 넘으면 다시 개선하겠다고 밝히고 있는데 이 역사들은 이미 저감 대책을 세워서 이후 검사에서는 기준치 아래로 내려갔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기준치에 근점한 역사들은 '격년 관리 역사' 로 지정해 관리하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참고로 중점 관리 역사들은 화강암 지역을 통과하거나 혹은 지하 깊은 곳에 건설되어 라돈 농도가 높아지기 쉬운 장소들입니다.
(서울시 지하철 역사 라돈 관리 현황 직접 작성)
뭔가 제가 자주 가는 역사들도 포함된 것 같은데 아무튼 관리 중이라고 하니 다행입니다. 느낌 탓인지 모르겠지만 사람이 많은 역사들이 좀 다수 포함된 것 같네요.
참고로 라돈 기준치 4 pCi/㎥ (148 Bq/㎥) 는 흡연자라면 평생 폐암 발생률이 6.2% (1000 명당 62 명) 에 달하며 평생 자동차 사고로 사망할 위험성보다 폐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5 배 정도 높아지게 됩니다. 비 흡연자에서는 폐암으로 사망할 확률이 0.7% (1000 명당 7 명) 수준이며 자동차 사고로 사망할 확률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라돈 + 흡연은 더 위험하기 때문에 라돈에 의한 폐암이 걱정된다면 일단 흡연자의 경우엔 담배부터 끊을 것을 권장합니다.
( A Citizen's Guide to Radon 참조 http://www.epa.gov/radon/pubs/citguide.html )
참고로 말하면 라돈이 걱정되서 해당 지하철 역사를 피할 필요까지는 없을 것 같습니다. 거기에 사는 것도 아니고 잠시 지나치는 정도면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말하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다만 주택이나 직장, 학교 처럼 다소 장기간 있는 장소라면 라돈 관리는 더 중요해 집니다.
비록 라돈 농도가 높아지는 동절기 자료이긴 하지만 지난 2011 - 2012 년 사이 전국 주택 7,885 호를 조사한 전국 주택 라돈 조사 결과는 약간 우려스럽게 높아서 전체 주택의 22.2 % 인 1752 호가 기준치 4 pCi/㎥ (148 Bq/㎥) 를 초과한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사실 라돈은 기준치 아래에서도 폐암 발생률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지만 (위의 EPA 표 참조) 현실적으로 라돈 농도를 0 으로 만들 수가 없기 때문에 4 pCi/㎥ (148 Bq/㎥) 이상인 경우 라돈 저감 대책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2 - 4 pCi/㎥ 사이인 경우는 라돈 저감 대책을 고려할 수도 있다고 되어 있습니다.
아무튼 2011-2012 년 자료는 단독 주택일 수록 라돈 농도가 더 높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시켰습니다. 조사 결과 주택 유형별 실내 라돈 농도는 단독주택이 권고기준을 33.0% 초과해 가장 높았으며, 연립/다세대주택 14.4%, 아파트 5.9% 순으로 단독 주택 (특히 오래된 농가가 위험) 이 라돈 농도가 초과할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그리고 지역 별로는 강원도가 조사대상 주택 424호 중 42.0%에서 권고기준을 초과해 지역별 편차가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본래 라돈은 토양과 암석내 우라늄 동위원소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지역별 편차가 존재함. 국내에서는 강원도, 전라북도가 높고 서울, 울산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 주택의 경우 단독 주택, 연립/다세대 1층, 반지하 세대가 위험 가능성이 높음)
내가 있는 동네가 라돈 농도가 높은 지 낮은 지 알아보려면 전국 라돈 지도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적당히 아무 지역이나 연도를 선택하고 검색을 누르면 됩니다.
http://www.iaqinfo.org/leinfo/radon_gis.do (전국 라돈 지도)
참고로 강원도의 경우 라돈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인데 2008 - 2009 년 사이 실태조사에서 강원도 77 개 초등학교의 평균 농도가 156.8Bq/㎥ 으로 높게 나타나 교육부와 협조하여 저감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고 환경부는 밝히고 있습니다. (아래 참고 자료) 이렇게 학교의 라돈 농도가 높은 이유는 학교 건물이 노후화 된다데 바닥이 기반 없는 마루로 이뤄져 틈새를 통해 라돈 침투가 용이하기 때문이라고 하네요.
사실 이런 걸 생각하면 주택, 학교에 비해서 지하철의 라돈 농도는 매우 잘 관리되는 편 (서울시 발표에 의하면) 입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것 처럼 중점 관리 역사라고 해서 굳이 피할 이유는 없습니다. 조사 결과를 취합해 보면 주택보다 오히려 지하철이 평균적인 라돈 농도가 낮기 때문이죠.
라돈에 대해서 좀더 정보를 알고 싶다면 아래 환경부 블로그 자료를 참조해 보시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환경부는 라돈 무료 측정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단 모두 해주는 건 아니고 라돈 노출 취약 주택인 단독 주택, 연립/다세대 1층, 반지하 세대가 대상입니다. 신청자 중 1000 가구만 선정해서 해주고 있습니다.)
실내 라돈 농도 측정 : http://blog.naver.com/mesns/110182444288
라돈 피해 줄이기 : http://blog.naver.com/mesns/110182444288
참고 자료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