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우주 이야기 508 - 우주에서 발견된 이성질체





(Scientists applaud the first detection of a "handed" molecule, (propylene oxide) in interstellar space. It was detected, primarily with the NSF's Green Bank Telescope, near the center of our Galaxy in Sagittarius (Sgr) B2, a massive star-forming region. Propylene oxide is one of a class of so-called "chiral" molecules -- molecules that have an identical chemical composition, but right- and left-handed versions. Chiral molecules are essential for life and their discovery in deep space may help scientists understand why life on Earth relies on a certain handedness to perform key biological functions. Sgr A* in this image indicates the supermassive black hole at the center of our Galaxy. The white features in the composite image are the bright radio sources in the center of our Galaxy as seen with the VLA. The background image is from the Sloan Digital Sky Survey. The two "handed" versions of propylene oxide are illustrated. The "R" and "S" designations are for the Latin terms rectus (right) and sinister (left). Credit: B. Saxton, NRAO/AUI/NSF from data provided by N.E. Kassim, Naval Research Laboratory, Sloan Digital Sky Survey )​
 오랜 세월 과학자들은 생명이 어디에서 생겨났는지를 두고 갑론을박을 벌였습니다. 일부 과학자들은 진흙에서 단서를 잡으려고 했고 다른 과학자들은 열수 분출공에 주목했습니다. 아예 지구 밖에서 생명체가 생성되었다고 생각한 과학자들도 있었는데, 혜성이나 우주 공간에 생각보다 다양한 유기물이 풍부하게 존재한다는 것이 그 이유였습니다.

 최근 미 국립 과학재단(NSF)의 그린 뱅크 전파 망원경 (Green Bank Telescope (GBT))은 우리 은하 중심 방향에서 놀랍게도 프로필렌 옥사이드(propylene oxide, CH3CHOCH2)를 발견했습니다. 이런 복잡한 유기 분자가 성간 공간 (interstellar space)에서 발견되었다는 것은 매우 놀랍지만, 과연 이것이 생명의 기원과 관련이 있을까요?

  프로필렌 옥사이드 자체는 소독제로도 사용되며 주로는 석유 화학 공업의 원료 물질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생명체의 기원과는 별 관련이 없어보이지만, 연구팀은 여기서 중요한 단서를 발견했습니다. 이 물질이 키랄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지구상의 있는 모든 생물체를 구성하는 20여 종의 아미노산은 이성질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마치 거울로 본 나의 모습처럼 좌우가 반대인 물질이 존재하며, 이 둘은 서로 반응을 하지 않습니다. 이는 DNA를 구성하는 당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성질은 키랄(Chiral)이라고 하는데 그리스어로 손이라는 의미입니다. 편광을 비췄을 때 왼쪽으로 돌면 L 형, 오른쪽으로 돌면 D 형이라고 하는데, 라틴어의 왼쪽을 뜻하는 Sinister의 첫글자를 따서 S 형과 오른쪽을 뜻하는 Rectus의 R 형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지구 생명체의 아미노산은 L 형이고 DNA를 구성하는 당류는 D 형입니다.


 이번에 발견된 프로필렌 옥사이드는 바로 이런 성질을 가진 분자입니다. 단지 전파 관측 자료만 가지고 L/D 형 여부는 알 수 없지만, 이미 우주 공간에 이런 키랄성 물질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은 흥미로운 사실입니다. 어쩌면 지구 생명체의 키랄성은 이미 우주 공간에서 형성되었을지도 모릅니다. 다만 이것이 지구 생명의 기원이 우주라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이런 물질이 지구가 형성되었을 때 지구에 다량 유입되고 지구에서 생명체가 생성되었을 수 있기 때문이죠. 
 아무튼 행성이 없는 성간 가스 상태에서 이런 물질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은 지구 생명체 탄생에 필요한 물질이 초기부터 생성될 수 있다는 가설을 지지할 뿐 아니라 다른 행성에서도 역시 같은 일이 일어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우리는 왜 지금 같은 광학 이성질체로 지구 생명체가 구성되었는지 이유를 모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쩌면 우주 어딘가에는 우리와 반대 물질로 구성된 생명체가 존재할지도 모르는 일입니다. 과연 그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반대 이성질체 생명체도 존재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참고
    "Discovery of the interstellar chiral molecule propyleneoxide (CH3CHCH2O)," B. McGuire & P.B. Carroll et al., Science, June 2016. DOI: 10.1126/science.aae0328                                        

  http://phys.org/news/2016-06-life-handshake-chiral-molecule-interstellar.html#jCp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잘 쓰지도 않을 방법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아무래도 효율

150년 만에 다시 울린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

  ( The katydid Prophalangopsis obscura has been lost since it was first collected, with new evidence suggesting cold areas of Northern India and Tibet may be the species' habitat. Credit: Charlie Woodrow, licensed under CC BY 4.0 ) ( The Museum's specimen of P. obscura is the only confirmed member of the species in existence. Image . Credit: The Trustees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  과학자들이 1869년 처음 보고된 후 지금까지 소식이 끊긴 오래 전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를 재현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프로팔랑곱시스 옵스큐라 ( Prophalangopsis obscura)는 이상한 이름만큼이나 이상한 곤충으로 매우 희귀한 메뚜기목 곤충입니다. 친척인 여치나 메뚜기와는 오래전 갈라진 독자 그룹으로 매우 큰 날개를 지니고 있으며 인도와 티벳의 고산 지대에 사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일한 표본은 수컷 성체로 2005년에 암컷으로 생각되는 2마리가 추가로 발견되긴 했으나 정확히 같은 종인지는 다소 미지수인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확실한 표본은 수컷 성체 한 마리가 전부인 미스터리 곤충인 셈입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그 형태를 볼 때 이들 역시 울음 소리를 통해 짝짓기에서 암컷을 유인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높은 고산 지대에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곤충이기 때문에 낮은 피치의 울음 소리를 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런 소리는 암컷 만이 아니라 박쥐도 잘 듣는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들은 중생대 쥐라기 부터 존재했던 그룹으로 당시에는 박쥐가 없어 이런 방식이 잘 통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신생대에 박쥐가 등장하면서 플로팔랑곱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enage-girl-years-reconstructed.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