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초에 전세계 인구는 70억을 돌파했습니다. 어디까지 증가할 수 있을지는 사실 미지수이지만, 앞으로 한동안 더 증가할 것은 거의 확정적입니다. 그리고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서 더 많은 물과 식량이 필요하다는 사실 역시 분명합니다. 오늘날 세계의 많은 지역에 물 부족에 시달리고 있으며, 일부 가난한 국가들은 식량이 여전히 부족한 현실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이런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바닷물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보통 바닷물을 활용한다고 하면 해수 담수화를 생각하지만, 그 이외에 다른 아이디어들도 존재합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해수를 이용한 작물 재배죠. 해수 작물 재배는 사실 간단한 문제는 아닙니다. 대부분의 농작물들은 염도가 높으면 재배는 고사하고 바로 죽어버리고 말 것입니다. 따라서 염분에 강한 일부 작물들을 품종 개량해서 작물이 재배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네덜란드는 국토의 1/4이 해수면보다 낮은 국가로 염분이 많은 토지를 많이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중 상당수는 아직 작물재배에 적합한 땅이 아니지만, 여기에 바닷물을 이용해서 감자를 재배하려는 시도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염수 감자 농장(saltwater potatoes farm)은 정신나간 아이디어 같지만, 10년에 걸친 연구 끝에 점차 그 가능성이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염수를 이용한 감자 농장)
(실제 재배된 감자)
(동영상)
이 감자 농장이 위치한 곳은 네덜란드 북부의 테셀(Texel)로 작물을 재배하기에는 염도가 높은 토지가 있는 지역입니다. 이곳에서 마르크 반 리젤베르헤 (Mark van Rijsselberghe)는 암스테르담 대학의 도움을 받아 10년 동안 그의 팀을 이끌어 오고 있습니다.
연구 내용도 독특하긴 하지만 더 독특한 부분은 유전자 조작 작물(GMO) 방식이 아니라 전통적인 품종 개량 방식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아직까지 유럽에서는 GMO 작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강한 것이 한 가지 이유가 될 것 같지만, 유전자 삽입 없이도 품종 개량을 상당 수준 진행할 수 있다는 것 역시 이유가 될 것 같습니다.
사실 품종 개량이나 GMO 작물이나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선별하고 조작하는 건 마찬가지지만, 아무래도 거부감이 있는 사람들이 있으니 시간이 더 걸리더라도 품종 개량을 통해서 염분에 강한 품종을 만들어 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입니다.
아무튼 리젤베르헤 팀은 10여년간의 노력 끝에 상당한 염분이 있어도 자랄 수 있는 감자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들이 만든 감자는 사실 100% 바닷물로 자라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는 바닷물을 끌어다 쓰지만, 일부는 자연적으로 내리는 강우를 이용해서 대략 바닷물과 담수의 중간 정도 염도의 토양에서 자라게 됩니다. 아무튼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바닷물을 추가로 더 쓸 수 있는 것이죠. 이런 방식으로 본래는 강수량이 부족하고 토지에 염분도 많은 지역에서 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됩니다.
다행히 한국에서는 이런 토지가 많지 않아서 잘 인식하지 못하지만, 이렇게 염분이 많은 토지는 세계적으로 매우 흔합니다. UN의 수자원, 환경, 보건 기구(UN Institute for Water, Environment and Health)의 통계에 의하면 전 세계 75개 국가에 걸쳐 매일 2000 헥타르의 토지가 염분으로 인한 손상(salt-induced degradation)으로 사용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주로는 염분이 많이 포함된 지하수를 이용해서 관개 농업을 하는 것이 이유죠.
1990년대, 염분이 많아서 버려진 토지는 4,500만 헥타르에 달했으나 현재는 프랑스 국토만한 6,200만 헥타르로 넓어졌습니다. 이는 전 세계 관계 농업 토지의 20% 에 해당하는 양이라고 합니다. 반드시 바닷물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더라도 염분에 강한 품종을 만다는 것은 충분히 타당성이 있는 일입니다.
리젤베르헤 팀은 오랜 노력끝에 염수와 빗물을 이용한 감자를 시장에 판매할 수 있는 수준까지 품종을 개량하는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문제는 가격인데 AFP 연합 통신에 의하면 1kg 당 5유로라는 좀 납득하기 어려운 가격에 출하되었다고 하네요. 왜 이렇게 비싼지는 알 수 없지만, 아무튼 좋은 의도에서 만든 품종이라도 가격 경쟁력이 없다면 과연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아무래도 다음 목표는 가격을 낮추는 것이 되야 할 것 같습니다.
한 가지 재미있는 점은 이렇게 만든 감자가 짭짤할 것 같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는 것입니다. 험한 환경에서 자란 감자는 오히려 더 많은 당분을 저장하기 때문에 오히려 맛이 더 달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감자 이외에도 양파, 상추, 당근 등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려고 시도하고 있는데, 사실 이런 종류의 시도를 하는 사람은 이들만이 아닐 것입니다. 다만 실제로 얼마나 널리 상용화 될 수 있을지는 아직은 두고봐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