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태양계 이야기 345 - 미국과 유럽 연합의 행성 방위 계획



 미국과 유럽 연합이 행성 방위(planetary defense)를 위해서 연합했다면 만우절 뉴스 같은 이야기지만, 실제로 그것이 일어났습니다. 유럽 연합의 유럽 우주국(ESA)와 미국의 나사(NASA)는 지구에 충돌시 막대한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는 소행성이나 혜성을 발견시 그 궤도를 변경시키기 위한 연구에 이미 착수했으며, 구체적인 테스트 목표까지 선정했습니다. 이들이 목포로 하는 소행성은 디디모스 65803 Didymos 입니다. 


(소행성 충돌 임무의 컨셉을 표현한 이미지. ESA’s Asteroid Impact Mission will provide before-and-after data on the ‘Didymoon’ asteroid, set to be struck by NASA’s 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 (DART) probe in late 2022. A plume is expected to be triggered by the highly energetic collision. Credit: ESA–Science Office ) 

 나사와 유럽 우주국이 구상하는 것은 소규모 충돌을 이용해서 궤도를 바꾸는 방식입니다. 마치 이는 당구 공을 다른 당구공에 충돌시키는 것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영화에서처럼 소행성을 파괴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그냥 궤도를 살짝만 수정해도 지구를 비켜가게 만들 수 있죠. 하지만 실제 사용하기에 앞서 테스트를 해볼 천체가 필요합니다. 

 소행성 디디모스는 아폴로 소행성군에 속하는 지름 800m 급 소행성으로 테스트 예정 시점인 2022년 지구에서 1100만km 떨어진 위치까지 근접합니다. 그런데 사실은 이 소행성이 목표가 아니라 이 소행성 주변을 공전하는 170m 지름의 위성이 진짜 목표입니다. 이 위성은 디디문(Didymoon)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는데, 과학자들이 원하는 수준의 소규모 충돌 테스트에 더 적합한 천체입니다. 

 디디모스와 디디문의 탐사 작업은 우선 ESA에 의해 이뤄집니다. 이 임무는 두 가지 파트가 있는데, 그 중 우선 먼저 발사되어 소행성의 지형과 구성, 그리고 정확한 충돌 지점을 선정하는 임무는 유럽 우주국이 발사하는 AIM(Asteroid Impact Mission)이 담당합니다. AIM는 2019-2020년 발사 예정으로 디디모스와 그 위성의 정밀 관측을 시도합니다. 

 이후 나사는 DART(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를 2021년 발사하게 되는데, 이것이 실제로 위성에 충돌하여 그 궤도를 변경시키는 임무를 담당합니다. DART는 탄환보다 9배나 빠른 속도인 초속 6km로 디디문에 충돌해서 그 궤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변경할 계획입니다. 

 이 두 계획은 AIDA(Asteroid Impact & Deflection Assessment mission)라고 명명된 행성 방위 계획의 일부입니다. 사실 고속으로 움직이는 우주선을 소행성에 충돌시키는 것 자체는 어렵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진짜 문제는 정확하게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입니다. 나사는 이미 딥 임팩트 미션에서 우주선을 템펠 1에 충돌시켰지만, 궤도를 변경시키는 것이 목표는 아니었습니다. 
  

(ESA’s Asteroid Impact Mission will use high-capacity laser communications to send its scientific data back to ESA’s Optical Ground Station in Tenerife, demonstrating the potential of optical communications for deep-space missions. Credit: ESA–Science Office)


(Launched in October 2020, AIM will travel to a binary asteroid system – the paired Didymos asteroids, which will come a comparatively close 11 million km to Earth in 2022. The 800 m-diameter main body is orbited by a 170 m moon, informally called ‘Didymoon’. This smaller body is AIM’s focus: the spacecraft will perform high-resolution visual, thermal and radar mapping of the moon to build detailed maps of its surface and interior structure, as well as putting down a lander and deploying CubeSats. Then in late 2022 Didymoon will be hit by NASA’s 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 (DART). AIM will then survey the changes to the asteroid and its orbit from the impact. The two missions together are known as the Asteroid Impact & Deflection Assessment (AIDA) mission. Credit: ESA–Science Office)



(동영상) 

 이 임무가 성공한다면 인류는 지구로 돌진하는 위험한 소행성의 궤도를 변경하는 것 뿐만 아니라 더 놀라운 일도 할 수 있을지 모릅니다. 예를 들어 원하는 소행성을 원하는 궤도로 끌고 오는 것입니다. 아마도 이를 위해서는 이전에 설명한 중력 견인 같은 추가적인 방법이 더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아무튼 2020년 대에는 이전에 설명한 ARM ( http://jjy0501.blogspot.kr/2015/03/NASA-confirm-Asteroid-Redirection-Mission.html 참조)과 더불어 AIDA가 진행되어 인류 역사상 최초로 소행성의 궤도를 변경하는 실험이 진행될 것입니다. 한동안 주춤했었던 인류의 우주 진출에 새로운 역사가 쓰여지게 될지 궁금합니다. 

 참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

사막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온실 Ecodome

 지구 기후가 변해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비가 더 많이 내리지만 반대로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도 생기고 있습니다. 일부 아프리카 개도국에서는 이에 더해서 인구 증가로 인해 식량과 물이 모두 크게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막 온실입니다.   사막에 온실을 건설한다는 아이디어는 이상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사막 온실이 식물재배를 위해서 시도되고 있습니다. 사막 온실의 아이디어는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사막 환경에서 작물을 재배함과 동시에 물이 증발해서 사라지는 것을 막는데 그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사막화가 진행 중인 에티오피아의 곤다르 대학( University of Gondar's Faculty of Agriculture )의 연구자들은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장치를 결합한 독특한 사막 온실을 공개했습니다. 이들은 이를 에코돔( Ecodome )이라고 명명했는데, 아직 프로토타입을 건설한 것은 아니지만 그 컨셉을 공개하고 개발에 착수했다고 합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사막에 건설된 온실안에서 작물을 키움니다. 이 작물은 광합성을 하면서 수증기를 밖으로 내보네게 되지만, 온실 때문에 이 수증기를 달아나지 못하고 갖히게 됩니다. 밤이 되면 이 수증기는 다시 응결됩니다. 그리고 동시에 에코돔의 가장 위에 있는 부분이 열리면서 여기로 찬 공기가 들어와 외부 공기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에코돔 내부로 들어옵니다. 그렇게 얻은 물은 식수는 물론 식물 재배 모두에 사용 가능합니다.  (에코돔의 컨셉.  출처 : Roots Up)   (동영상)   이 컨셉은 마치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담수 장치를 합쳐놓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도 잘 작동할지는 직접 테스트를 해봐야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