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세계적인 이슈가 된 에볼라 출혈열 (EHF) 에 대해서 한국 질병 관리 본부와 보건 당국이 보도 자료 및 기자 회견을 통해서 대응 방안과 에볼라 국내 유입 차단을 위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내용을 본다면 대부분 예상할 수 있는 수준의 대응책이 발표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보건 복지부 산하의 질병 관리 본부는 8월 4일 정부 종합 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에볼라 바이러스가 치사율이 매우 높은 바이러스이긴 하지만 바이러스 전파력이 약해 2009 년 인플루엔자처럼 세계적인 대유행을 일으킬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차단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이번 에볼라 유행은 이전 포스트에서 설명했듯이 올해 2 월에 발생하였으나 ( http://jjy0501.blogspot.kr/2014/07/West-Africa-Ebola-Outbreak.html 참고) 올해 7월까지 사실상 환자는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에서만 발생했습니다. 즉 전파력이 그다지 강하지 않다는 것이죠.
그런데도 세계가 화들짝 놀란 이유는 바이러스의 치명성에도 영향이 있지만 이전까지 이렇게 넓은 지역에서 환자가 발생한 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즉 인플루엔자처럼 공기 전파를 통해 빠르게 전파되는 질환이 아닙니다. 또 출혈기로 진행된 환자는 금방 사망 (대략 10 일 정도) 하기 때문에 전파 가능성이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이정도로 전파가 되었다는 사실이 놀랍게 받아들여지는 것이죠.
(7월까지 에볼라 바이러스 유행 지역 This is a map from a government publication on the spread of ebola in Guinea Sierra Leone as of July 2014. Credit : CDC)
이전에 설명했던 대로 에볼라 바이러스는 체액을 통해서 전파됩니다. 주된 감염원은 에볼라에 감염된 환자인데 잠복기에는 잘 감염되지 않다가 에볼라 출혈열이 본격 발병해서 출혈 증상이 잘 생기는 시점에서 접촉에 의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격리가 되는 상황에서는 사실 잘 전파가 될 수 없는 질환인데 현지의 열악한 의료 상황과 더불어 아직도 미신이나 주술에 대한 집착이 강한 현재 주민들 때문에 위생 관리가 잘 되지 않아 지속적인 전파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특히 환자의 장례를 치루는 과정에서 말기 환자의 체액을 통해 전파되거나 환자가 발병해도 병원에 가지고 않고 격리를 하지 않는 문제로 인해 전파가 지속적으로 발생)
자연계에서의 주된 숙주에 대해서는 확실치 않지만 과일 박쥐가 가장 유력한 숙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다만 매우 다양한 동물에서 전파가 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 종에 따라 매우 다른 경과를 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에서는 무증상을 일으키지만 돼지에서는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인간 외에 침팬치등 다른 영장류에서도 증상을 일으킵니다. 현지에서 사람이 감염되는 경로로는 박쥐를 비롯해서 감염된 동물을 비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감염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에볼라 바이러스의 생활사 Credit : CDC)
일단 감염되면 증상이 발생하기까지의 시간은 대략 8 - 10 일 정도이나 2 일에서 21 일까지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에볼라 유행 지역에서 왔을 경우나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격리는 최대 21 일까지 하게 됩니다. 일단 에볼라에 감염되면 초기에는 독감이나 다른 감염성 질환과 비슷한 열성 질환이 나타나게 됩니다.
초기 증상은 발열과 동시에 피곤함, 근육통, 두통, 근육통, 복통이 생길 수 있으며 구토와 식욕 부진 같은 소화기 증상도 같이 동반할 수 있습니다. 또 인후통과 연하 곤란 같은 인후두 감염과 비슷한 증상도 같이 동반할 수 있습니다. 즉 초기 증상은 독감이나 말라리아, 뎅귀열 등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 이 시기에는 다른 사람에게 전파할 수 있는 능력은 크지 않습니다.
이후 진행되는 환자는 출혈기로 넘어가게 되며 이때 눈이 붉게 충혈되고 토혈, 객혈, 혈변 등 내부 출혈 증상과 더불어 피부에 다양한 출혈 증상이 나타나서 마치 멍이 드는 것 같은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이 시기의 환자는 매우 위험한 상태로 빠지게 되며 체액과 혈액을 통해서 많은 바이러스가 나오기 때문에 타인에게 감염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에볼라 출혈열의 증상 Mikael Haggstrom - Own work. Source information: Ebola Hemorrhagic Fever from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P age last updated: January 28, 2014.)
한국 보건 당국은 이와 같은 에볼라의 특징을 감안해서 유행 국가에서 들어오는 모든 인원에 대해서 최대 21 일까지 현재 추적 관찰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서아프리카 3 국에서 국내로 입국하는 사람의 수는 매우 적기 때문에 이와 같은 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질병 관리 본부에 의하면 8월 4일까지 추적 대상 21 명 가운데 13 명은 증상 발생이 없어 조사가 완료되었고 8 명은 아직 조사 중이라고 합니다. 해당 국가에서 지냈다고 해도 출혈기에 있는 환자와 집적 접촉을 하지 않은 이상 감염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기 때문에 음성 결과가 나오는 것은 당연하겠지만 예외 케이스는 있을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리는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한편 공항에서는 열감지기를 통해서 검역 관리를 더 강화하겠다고 밝히고 있는데 한동안 유행 지역에서 왔거나 경유한 승객에 대한 검문이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 동시에 국내 환자 발생/유입에 대비해 전국 17 개 병원에 544 개 병상을 준비했다고 합니다. 물론 가능하면 환자가 생기지 않는 것이 더 좋겠지만 말이죠.
현재 시점에서 에볼라에 대해서 과도한 우려를 하는 것은 지난 수십년간 이 질환에 대해서 사실상 무시를 해온 것 만큼이나 잘못된 시각일 것입니다. 합리적으로 접근한다면 에볼라 차단을 위해서 필요한 조치 (공항에서의 검역 강화와 위험 지역 방문 금지) 에 협조하고 에볼라 치료제와 백신 개발에 대한 국제 공조에 대해서 지지하는 입장을 보내는 것만으로 현재 대다수 한국인에게 충분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