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년 에볼라가 세계적인 이슈가 (물론 에볼라 출혈열 자체는 발견된 지 이제 거의 40 년이 다 되가지만) 되고 있습니다. 아직 백신이나 치료 약제의 개발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국 정부는 처음으로 에볼라에 감염된 환자를 받아들이기로 결정했다고 AFP 연합 통신 등 해외 외신들이 전했습니다.
미국 영토내에서는 첫번째 에볼라 출혈열 케이스가 된 불운한 환자는 바로 에볼라 출혈열 치료를 위해서 서아프리카 라이베리아 현지에서 진료에 임하다가 감염된 의사인 켄트 브랜틀리 박사 (doctor Kent Brantly. 33 세) 입니다. 그리고 이틀 후에 이송될 그의 동료인 낸시 라이트볼 (Nancy Writebol) 역시 미국으로 이송되기로 결정되어 2 명의 에볼라 출혈열 환자가 처음으로 미국에서 치료를 받게 되었습니다.
이들을 치료할 병원은 특수 격리 시설이 갖춰진 에모리 대학 병원 (Emory University Hospital) 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특수 격리 시설이 갖춰진 미국내 4 개 기관 중 하나라고 합니다. 브랜틀리 박사는 아틀란타에 있는 도빈스 공군 기지 (Dobbins Air Reserve Base outside Atlanta, Georgia) 로 특별 이송되어 여기서 특수 격리복을 입은 사람들에 의해 병원으로 이송되었습니다. (현지 시각 8월 2일 오전 11시 50 분)
(월스트리트 저널 뉴스 )
(뉴시 사이언스)
이 결정에 대해서 미국 질병 관리 센터 (CDC) 의 디렉터인 톰 프리든 박사 (Dr. Tom Frieden) 는 CNN 과의 인터뷰에서 에볼라가 매우 위험한 바이러스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처럼 병원 시설과 격리 시설이 잘 마련된 국가에서는 그다지 큰 위협이 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인도주의적인 목적으로 현지에서 치료하는 미국인에 대해서 우리가 치료를 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해 이번 결정이 정당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미국 대중들은 이 치명적인 바이러스에 대해서 당국보다 훨씬 큰 우려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그리고 유튜브 댓글란에는 이번 결정에 반대하거나 에볼라 전파에 대해서 큰 우려를 하는 의견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에볼라에 대한 대중의 무지에도 그 원인이 있겠지만 에볼라에 위험성을 매우 강조하는 최근에 언론보도도 한 몫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이와 같은 여론에도 불구하고 2 명의 에볼라 환자에 대한 미국 송환이 이뤄진 점은 여론이나 대중의 의견 보다는 전문가 의견을 중시하는 정부 당국의 판단에 의한 것으로 보입니다. 또 이렇게 해외에서 봉사나 혹은 국가에서 파견해서 인도주의적인 임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을 저버린다면 이 역시 인도주의는 물론 국민을 보호해야 하는 국가의 임무를 방기하는 것이라는 판단도 한 몫 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이는 타당한 판단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지에서 치료를 하는 방안도 있겠지만 최상의 치료를 받기에는 현지의 여건이 어렵다는 점과 인도주의적 임무를 수행하다가 위기에 빠진 자국 국민을 지켜야 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말이죠. (물론 현지에서도 충분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 시설이 존재한다면 더 좋겠지만 말이죠)
물론 에볼라 출혈열 환자가 이송되었다는 것은 미국내 에볼라 전파의 위험성을 높일 수 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바이러스가 체액을 통한 전파가 가능한 것은 사실이지만 대부분 감염자는 이 질환으로 사망한 환자의 장례식을 치르기 위해서 아무 보호 장비나 혹은 소독 과정없이 환자를 만진 현지인들이 대부분 입니다.
물론 에볼라 출혈열 환자를 다루는 의료진 역시 큰 위협에 처해 있는데 바이러스 밀도가 매우 높은 말기 환자의 체액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현지의 열악한 의료 환경과 장비로 인해 완전한 격리 소독이 쉽지 않아서 의료진들이 감염에 취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다만 에볼라 출혈열 환자와 마주칠 가능성이 매우 희박한 일반 미국인들이 지금 시점에서 이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은 희박합니다.
(에볼라 바이러스 전자 현미경 사진 An electron micrograph of an Ebola viral particle showing the characteristic filamentous structure of a Filoviridae. The viral filaments can appear in images in various shapes including a 'u', '6', a coil, or branched resulting in pleomorphic particles. The filaments are reported to be between 60-80 nm in diameter, the length of a filament associated with an individual viral partial is extremely variable with Ebola particles of up to 14,000 nm in length being reported. An average length, which may represent the most infectious particles is in the region of 1000 nm. The first electronmicrograph of Ebola was 13 October 1976 by Dr. F.A. Murphy, now at UC Davis, who was then working at the CDC. The nucleocapsid structure consists of a central channel, 20-30nm in diameter, surrounded by helically wound capsid with a diameter of 40-50nm and an interval of 5nm. 7nm glycoprotein spikes spaced 10 nm apart from each other are present within the outer envelope of the virus which is derived from the host cell membrane. Each viral particle contains one molecule of single-stranded, negative-sense RNA, which encodes the seven viral proteins. Credit : CDC/ Dr. Frederick A. Murphy)
사실 에볼라 바이러스 자체는 미국에도 들어와 있습니다. 연구용으로 말이죠. 지금까지 특수 격리 시설에서 수많은 실험 동물들 (주로는 실험용 쥐나 혹은 영장류) 이 인위적으로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각종 치료제와 백신의 개발에 이용되었습니다. 일부 국가에서 실험실에서 실수로 인간에 감염된 사례 (러시아에서 ) 있었지만 현재까지 미국에서는 그런 사례가 없었습니다. 그만큼 안전 및 격리 능력이 앞서 있다는 이야기인데 자국내 치료를 위해서 환자를 송환한 것 역시 이와 같은 능력에 대한 확신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참고로 에모리 대학 병원의 격리 병실은 2002 - 2003 년의 SARS 에 대한 격리 목적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다만 세상에 100% 는 없으므로 해당 의료진들이 주의에 주의를 해서 안전하기를 기원합니다.
아무튼 지금까지 적지 않은 수의 환자가 에볼라로 사망했으나 지금처럼 이슈가 된 것은 아프리카의 가난한 나라 뿐 아니라 미국 등 다른 나라로도 전파될 가능성이 제기되었기 때문입니다. 이것만으로도 씁쓸한 인간의 본성이지만 더 나이가서 인도주의적인 의료 임무 중 감염된 자국민을 돕는데도 생각보다 반대 의견이 (물론 모두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지 않다는 점은 어쩔 수 없는 인간의 약한 면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이렇게 에볼라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선진국 국민들도 남의 일이라고 보지 않게 된 만큼 지금까지 지지 부진했던 치료제와 백신의 개발이 더 앞당겨질 수 있다는 점은 그나마 불행 중 다행한 일이라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한가지 더 바람이라면 이 두 명의 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을 포함해서 지금 현재 에볼라 출혈열 환자를 치료 중인 용기있는 의료진들이 더 이상 감염되거나 희생되는 일이 없어야 하겠다는 것입니다.
추가 : 새롭게 테스트 중인 에볼라 치료 약물 - http://jjy0501.blogspot.kr/2014/08/New-ebola-drug-is-testing.html
추가 : 새롭게 테스트 중인 에볼라 치료 약물 - http://jjy0501.blogspot.kr/2014/08/New-ebola-drug-is-testing.html
참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