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오늘 발표한 보도 자료에 의하면 2012 년의 한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2% 로 잠정 집계되었습니다. 확정 결과 발표는 더 후에 나오긴 하지만 대개는 잠정과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이를 근거로 2012 년 실질 GDP 성장률은 2% 라고 봐도 무리가 없어 보입니다. 이는 이전 속보로 발표한 내용과 동일 한 수치입니다.
한국 은행 보도 자료 : http://www.bok.or.kr/contents/total/ko/boardView.action?menuNaviId=559&boardBean.brdid=96135&boardBean.menuid=559&boardBean.rnum=1
한국 은행에 의하면 2012 년에도 2011 년도와 마찬가지로 수출의 증가세는 이어졌으나 민간 소비 둔화와 건설 부분 및 설비 투자의 둔화로 인해 실질 GDP 성장률이 3.7% 수준이었던 2011 년에 비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2 년 하반기에는 대부분의 선진국들이 경기가 좋지 않았던 점과 작년 한해 내수가 부진했던 점을 생각하면 놀라운 일은 아니라고 하겠습니다.
2012 년 연간으로 제조업은 2.2%, 서비스업은 2.5% 성장한 반면 농림어업은 - 0.6%, 건설업 - 1.6% 성장을 기록해 작년 한해 건설업이 여전히 부진의 늪에 빠져 있다는 것을 수치적으로도 증명했습니다. 참고로 작년에 건설업은 -4.3% 성장을 했기 때문에 몇년째 계속해서 규모가 감소하면서 건설 불황의 늪에서 빠져나오지를 못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제조업 역시 플러스 성장을 했다고는 해도 2011 년의 7.3% 성장에서 2.2 %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2012 년 전반적으로 성장이 부진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수출입 증가율도 수출/수입 9.1/6.1% (2011) 에서 4.2/2.5 (2012) 으로 2012 년에 부진했습니다. 이는 선진국 경기가 그다지 좋지 못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이해할 수 있는 일입니다.
(출처 : 한국 은행)
2012 년의 국내 총생산 (명목 GDP) 는 1272.5 조원으로 전년 대비 3.0% 로 증가했지만 환율 상승으로 인해 달러 표시 GDP 는 1조 1292 억 달러로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1.3% 증가 입니다. 또 1 인당 국민 총소득 (GNI) 역시 22708 달러로 2011 년의 22451 달러에 비해 257 달러 정도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습니다. 개인의 근로 재산 소득에서 세금, 국민 연금 등을 제외하고 보조금을 합산한 1 인당 개인 개인 총처분 가능 소득은 13150 달러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 한국 은행)
분기별 성장률은 1 분기 0.8%, 2 분기 0.3%, 3 분기 0.0 %, 4 분기 0.3% 로 나타났는데 좋게 생각하면 2012 년 3/4 분기에 바닥을 찍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어 보입니다. 아마도 2013 년 상반기에는 다소 회복세를 타지 않겠냐는 관측이 많으니까요. 하지만 올해 성장률 자체는 2% 대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이며 어느 정도 저성장 기조는 앞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2012 년 제조업은 일반 기계, 비금속 광물, 섬유 가죽 부분의 감소에도 전기 전자, 금속 제품, 석유 화학 및 화학 제품 증가가 유지되어 2.2% 성장을 보였다고 합니다. 서비스업은 음식 숙박업이 부진한 가운데 도소매업, 운수 보관 사업이 부진했고 상대적으로 금융 보험, 사업 서비스, 보건 및 사회 복지 사업, 문화 오락 사업등이 성장세를 보였다고 합니다.
보도자료 내용은 여기까지 인데 아무튼 2012 년은 2011 년에 기대한 것 이하의 저성장이었습니다. 전체적으로 봐서 수출도 아주 좋았다곤 할 수 없었고 내수는 더 부진했습니다. 체감상으로도 경기가 다소 부진했던 게 느껴지지만 지표상으로도 역시 그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부진은 2013 년 1 분기에도 어느 정도 이어지기는 하지만 그래도 다소 호전의 기미가 보이는 것도 사실입니다.
일단 미국의 실업률 감소 및 중국의 잠정 PMI 치가 3월에 51.7 을 기록하는 등 선진국 및 중국 경기가 호전 양상을 보이면 우리 경기도 같이 호전 양상을 보일 가능성이 있겠죠. 다만 이런 추세가 장기적으로 이어져 현재 기대하는 것 처럼 2013 년 하반기와 2014 년에 순조롭게 경기가 좋아질지는 물론 두고봐야 알 수 있습니다. 좋아지기를 기대하는 게 통상적인 인간의 심리겠지만 말이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