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기온이 상승하고 있다는 것은 이제 부정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증거가 축적된 관측 결과라고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체 평균 기온의 상승과 더불어 기후대의 이동, 가뭄, 홍수 등 여러가지 기후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화의 결과로 이전부터 우려되던 것이 각종 전염성 질환의 북상입니다.
몇몇 전염성 질환들이 기후 온난화와 더불어 북상하고 있다는 점은 사실 명확합니다. 그 대표적인 사례는 이전에 블로그를 통해 몇차례 언급했던 뎅기열입니다. (이점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트 참조 http://jjy0501.blogspot.kr/2012/08/blog-post_3989.html )
뎅기열은 본래 미국엔은 없던 질환이었으나 매개 모기가 점차 북상함에 따라 남미에서 1980년대 카리브해국가, 그리고 2000 년대에는 텍사스 및 플로리다 같은 미국 남부지역 까지 상륙하게 됩니다. 물론 기온이 상승한 것 이외에도 교통이 발전하고 운송이 많아지면서 전파가 더 쉬워진 부분도 있긴 하지만 이런 질병을 매개하는 곤충들이 점차 북반구와 남반구의 고위도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는 건 부인하기 힘든 사실입니다. 최근에는 제주도에서도 베트남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이는 매개 모기가 발견되어 우리를 긴장하게 만든 일도 있습니다. ( 이전 포스트 http://jjy0501.blogspot.kr/2013/07/Dengue-fever-in-Korea.html 참조)
사실 뎅기열은 한가지 사례일 뿐이고 말리리아를 비롯 곤충에 의해 매개되는 수많은 질환들과 콜레라 같은 온난환 환경에서 잘생기는 수인성 질환이 인구 밀집 지대인 중위도 지역으로 북상하지 않을까 하는 것이 세계 각국의 보건 관리자들의 고민이라고 하겠습니다. 하지만 사실 미래에 지구 온난화로 인해 감염성 질환이 더 널리 번성하게 될지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결론을 내리기 쉽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기온 상승과 매개 곤충의 고위도 지역으로 이동만이 지금 일어나느 변화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산업화의 확산으로 여러 나라에서 점차 의료 보건 수준이 향상되고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감염성 질환 확산에 대응하기가 쉬워졌습니다. 따라서 이런 여러가지 요인을 생각해 보면 나타나는 결과는 상당히 복합적일 수 있습니다. 물론 경제적인 약자와 빈곤국가, 그리고 야생 동물에 미치는 영향은 훨씬 단순할 것입니다. 이들은 경제적 번영과 의료 기술 향상의 혜택에서 한발 물러서 있기 때문입니다.
조지아 대학의 소니아 알티저 (Sonia Altizer, University of Georgia/associate professor in the UGA Odum School of Ecology) 와 동료 연구자들은 기후 변화와 감염성 질환의 확산을 검토한 리뷰 논문을 Science 에 발표했습니다. 알티저는 "인간이 가진 질환들은 상당부분 나라가 얼마나 부유한지와 의료 자원, 질병에 대한 대처 능력등에 큰 영향을 받는다 " 라고 지적했습니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 각국이 온난화로 인한 감염성 질환의 확산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특히 개도국들이 이런 변화에 잘 대응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서 의문을 품을 수 있습니다.
한편 저자들은 지구상 어떤 지역보다도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는 북극권이야 말로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이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야생 동물에게도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북극권에서 기온 상승에 따라 이전에는 없던 감염 질환과 기생충 질환이 점점 활개를 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연구팀은 북극권의 생태계가 글로벌 석탄 광산의 카나리아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즉 의외로 우리가 주목하지 않지만 이 지역 생태계가 온난화에 아주 취약하다는 이야기 입니다.
예를 들어 북극권 기후에 잘 적응된 초식 동물인 사향소 (muskox) 의 경우 protostrongylid 류 폐충 (lungworm) 의 유행으로 사망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기후에 잘 적응된 북극권 생물들은 기생충이나 감염성 질환에 대해서 저항력이 매우 약한데 지금까지는 기후가 이들을 질병에서 보호했지만 앞으로는 그렇게 되지 못할 것이기 때문에 미래에는 더 심각한 문제가 될 것입니다. 문제는 이들만 그런 위기에 놓여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사향소는 북극권의 기후에 잘 적응되어 있는데 이것이 추운 기후에만 잘 적응되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기생충 및 감염성 질환이 적은 환경에도 잘 적응된 동물입니다. Original uploader was Pethr at en.wikipedia CC-BY-SA-2.5,2.0,1.0 )
그러나 사향소는 일부에 불과합니다. 연구팀은 아직까지 야생 동물의 기생충 질환 및 감염성 질환의 확산에 대해서는 모르는 부분이 많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보다 확실한 예측 - 즉 기후 변화가 야생 동물과 생태계에 미칠 영향 - 을 위해보다 체계적이고 새로운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흔히 논문 말미에 적는 이야기이긴 하지만 이 경우는 진짜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는 이미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고 그렇다면 여기에 대응하기 위해서 반드시 기후 변화가 감염성 / 기생충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보다 확실한 환경 보호를 위해서는 인간 뿐 아니라 동물에 미치는 영향들도 상세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개인적으로는 감염성 질환의 확산이 동물에 미치는 영향은 지금까지 생각해 본 적도 없는데 (아무래도 인간 중심적 사고를 하게 마련이라) 과연 이것이 아주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향후 생태계 보호를 위해 상세한 현황에 대한 분석과 미래 예측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Journal Reference:
- S. Altizer, R. S. Ostfeld, P. T. J. Johnson, S. Kutz, C. D. Harvell. Climate Change and Infectious Diseases: From Evidence to a Predictive Framework. Science, 2013; 341 (6145): 514 DOI: 10.1126/science.1239401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13/08/130801142329.htm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