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ack-headed flying fox amongst a grey-headed colony. Credit: Michelle Baker CSIRO )
박쥐하면 소설 드라큘라의 영향으로 흡혈 박쥐같은 징그러운 이미지가 강하지만, 사실 흡혈로 살아가는 박쥐는 극히 일부입니다. 대개는 곤충, 꿀, 과일 등을 먹이로 살아갑니다. 따라서 흡혈 박쥐 역시 사람을 주된 대상으로 삼는 건 아니기 때문에 실제로는 박쥐가 사람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경우는 드물지만, 보통 생각하지 못하는 부분에서 우리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병을 옮기는 역할입니다.
박쥐는 에볼라 바이러스를 비롯해서 수많은 바이러스에 감염되어도 멀쩡한 놀라운 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박쥐 입장에서는 다행이지만, 다른 동물들 입장에서는 다행스럽지 못한 일입니다. 이 능력 덕분에 박쥐가 각종 바이러스를 옮기는 벡터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과연 어떤 방식으로 박쥐가 이런 면역력을 가지는지는 미스터리였습니다. 이 바이러스들은 인간에는 물론 사실 박쥐에게도 신종 바이러스이기 때문입니다.
호주 연방과학원(CSIRO)의 미첼 베이커 박사(Dr Michelle Baker)가 이끄는 연구팀은 이 비밀을 밝히기 위해서 검정날여우박쥐(Australian black flying fox. 이름과는 달리 박쥐목 과일박쥐과의 박쥐)의 선천성 면역 시스템을 연구했습니다.
연구팀은 특히 이 박쥐의 선천성 면역을 담당하는 1형 인테페론 (알파와 베타)를 분석했는데, (획득한 면역이 아니라 처음부터 면역을 가지고 있으므로 선천성 면역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봐야함) 그 결과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인간과는 달리 이 박쥐의 인터페론 알파는 언제나 활성화 상태로 존재했습니다. 즉 면역 시스템의 스위치가 항상 올라가 있다는 것이죠. 이것이 아마 박쥐들이 강한 선천성 면역을 지니게 된 이유 중 하나일 것입니다.
하지만 항상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시키는 것은 만만치 않은 댓가를 수반합니다. 일단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는 말할 것도 없고 지속적인 염증 반응으로 인한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간을 비롯한 많은 동물에서 면역 시스템이 항상 존재해도 심각한 감염이 없을 때는 크게 활성화되지 않는데는 다 합당한 이유가 있습니다.
아마도 다른 감염원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에 사는 것이 이런 진화를 촉진했을지 모르겠지만, 아무튼 이번 연구는 면역 시스템이 생각보다 훨씬 복잡하고 다양하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연구팀은 이와 같은 박쥐의 슈퍼 면역력을 연구하는 것이 신종 전염성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PNAS에 실렸습니다.
참고
Contraction of the type I IFN locus and unusual constitutive expression of IFN-α in bats,www.pnas.org/cgi/doi/10.1073/pnas.1518240113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