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에서는 중국발 미세 먼지가 큰 이슈가 되고 있고 중국 현지에서의 심각성은 더 말할 필요도 없을 정도이지만 현재 미세 먼지 공해를 비롯해서 대기 오염의 심각성이 급격히 증가하는 대륙은 아시아만이 아닙니다. 우리에게는 다소 의외로 다가올 수도 있으나 프랑스와 상아해안의 합동 연구팀에 의하면 2030 년까지 전세계 먼지 공해 (particle pollution) 의 최대 절반이 아프리카 대륙에서 나오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한국과는 상대적으로 교류가 적고 원시의 검은 대륙이라는 편견 때문에 국내에서는 흔히 간과하지만 사실 아프리카는 최근 급격히 인국가 급증하는 대륙일 뿐 아니라 일부 국가를 중심으로 산업화를 서두르면서 대기 오염 배출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미 카이로 같은 일부 대도시의 대기 오염은 심각한 상태인데 대륙 전체에서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이 문제는 향후 더 심각해질 우려가 있습니다.
(다소 오래전 자료 이긴 하지만 2004 년 WHO 자료 기준으로 대기 오염으로 인한 사망률. 현재 아프리카는 다소 낮은 지역에 속하지만 앞으로 급격히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생각되고 있음 Map showing the number of deaths from air pollution per country. Map was based on a map of the WHO, see http://www.who.int/heli/risks/urban/en/webuapmap.2.jpg andhttp://www.who.int/heli/risks/urban/urbanenv/en/ This map is accurate for 2004. It should be noted though that it differed greatly from an earlier map made under the same projec. KVDP at wikipedia)
프랑스의 툴루즈 대학의 기상학 연구소 Laboratoire d'Aerologie (CNRS / Universite Toulouse III -- Paul Sabatier) 의 연구팀은 2005 년까지 아프리카 전역의 대기 오염 실태를 조사하고 앞으로 대기 오염 정도의 세가지 정도 시나리오로 예측했습니다. 그 결과 2030 년까지 아프리카의 가스 및 먼지 입자 배출량은 전세계 인위적 오염 물질 배출량의 20 - 55 % 를 차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사실 지금까지 아프리카 전역의 대기 오염을 정확하게 측정할 데이터와 맵은 부족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부족함을 메꾸기 위해 각 국가의 연료 사용량 데이터와 현장 조사, 그리고 서아프리카 몬순 프로그램 (AMMA (West African Monsoon program)) 과 아프리카 수도 오염 프로그램 (POLCA (African Capitals Pollution program)) 등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했다고 합니다.
그 결과 나타난 데이터는 아프리카에서의 대기 오염이 이륜차 (오토바이) 와 오래된 자동차와 트럭, 그리고 주로 요리할 때 사용되는 숯 (Charcoal), 발전용으로 사용되는 석탄드에 의한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비록 아프리카 대륙의 에너지 사용량은 다른 대륙에 비해 현저하게 높지는 않지만 대신 오염 물질을 대량으로 만든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오염원들은 블랙 카본, 유기 카본, 이산화황, 산화질소, 일산화탄소 같은 오염 물질을 상당히 많이 만들고 있습니다. 2005 년을 기준으로 해도 전세계 배출량의 5 - 20% 에 달해 아프리카의 인구 밀도 및 산업화 수준을 생각했을 때 오염 물질 배출이 더 심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고 합니다.
문제는 앞으로인데 현재 아프리카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대도시의 인구 집중이 심화되어 2030 년 까지는 도시 인구가 2 배로 증가하고 그에 따라 대기 오염도 증가하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연구팀은 향후 이를 줄이기 위해서 배기 가스 규제는 물론 숯과 석탄의 사용을 규제하는 정책이 중요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사실 중국의 사례에서 보듯이 대기 오염 문제는 한번 심각해지면 그 때부터 부랴부랴 대책을 마련해도 해결하는데 10 - 20 년이 걸리는 것이 보통입니다. 아마도 상당수 아프리카 국가들에서도 이와 같은 상황이 반복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인간은 현재의 위기에는 즉각적인 대응을 하지만 좀 멀리 떨어진 것 처럼 느껴지는 미래의 위기에 대해서는 막연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죠. 물론 아프리카의 경우 국가에 따라 산업화의 정도가 매우 다르고 내전 같은 복잡한 상황에 노출된 국가들이 있어서 나라마다 그 정도는 매우 다르 겠지만 말이죠.
중국 역시 서구 산업 국가의 사례를 보면 심각한 대기 오염이 우려된다는 사실을 알았을 텐데도 대응이 한발 늦었습니다. 물론 비용이라는 만만치 않은 문제 때문에 산업화 초기에는 알면서도 대응을 못하게 되는 경향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미래의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국가도 있을 수 있습니다. 앞으로 그런 예외가 나와서 대기 오염 위기를 쉽게 돌파할 수 있다면 다행한 일이죠.
참고
Journal Reference:
- C Liousse, E Assamoi, P Criqui, C Granier, R Rosset. Explosive growth in African combustion emissions from 2005 to 2030.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2014; 9 (3): 035003 DOI: 10.1088/1748-9326/9/3/035003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