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team member from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s National Institute of Biomedical Research takes a blood sample from a vaccinated man in North Kivu Province. Credit: Kamy Musene, UCLA–DRC Research Program / INRB)
코로나 19 때문에 최근 대중들의 뇌리에서 잊혀지고 있긴 하지만, 에볼라 역시 인류를 위협하는 신종 바이러스 질병 중 하나입니다. 2014년 유행 당시 치명률이 절반 이상이라는 사실 때문에 전 세계적인 우려를 낳기는 했으나 오히려 무증상 감염이 별로 없고 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 때문에 무증상 환자가 전파할 가능성이 낮고 코로나 19처럼 호흡기 비말을 통한 감염이 되는 것도 아니라서 다행히 아프리카 밖에서는 크게 유행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에볼라 백신과 치료제 개발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됐습니다. 캐나다 국립 미생물학 연구소 National Microbiology Laboratory (NML)의 과학자들은 rVSV-ZEBOV (Recombinant vesicular stomatitis virus–Zaire Ebola virus, 상품명 Ervebo)라는 에볼라 백신을 개발해 Newlink Genetics사에 라이선스를 줬고 이후 이 회사가 머크와 함께 상용화해 르완다, 콩고 등 일부 국가에서 접종이 시작됐습니다.
이전 포스트: https://blog.naver.com/jjy0501/221731557862
그런데 에볼라 바이러스 백신의 효과를 판정하는 일은 그렇게 간단한 일이 아니었습니다. 항상 유행하는 질병이 아니라 일부 지역에서 국지적으로 유행한 후 사라지는 데다 유행 지역 자체가 의료 인프라가 열악해 환자를 추적하기 매우 어려운 형편입니다. 이에 따라 에볼라 백신에 대한 효과 판정은 2018-2019년 사이 국지적으로 유행한 지역에서 9만명 정도를 대상으로 한 접종자 데이터 사후 분석으로 이뤄졌습니다.
당시 백신 접종자 가운데 71명 정도가 에볼라에 감염되었는데, 사실 이 중 56명은 접종 후 면역이 생성되기 전인 10일 이내 감염자였습니다. 백신 접종 후 10일이 지났는데도 감염된 15명은 모두 생존했는데, 사망률이 50% 이상인 치명적인 바이러스임을 감안하면 성공적인 결과입니다. 접종을 하지 않은 일반 인구 집단과 비교하면 백신의 보호 효과는 97.5%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현재 이 백신은 미국과 유럽 연합에서 승인 받아 유행 국가에서 접종되고 있습니다. 1회 접종 스케줄입니다.
다만 이 백신의 효과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에볼라 자체가 항상 유행하는 질병이 아니라 효과를 판정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물론 다행한 일이지만, 백신 추가 접종이 필요한지 여부를 알기 위해서는 항체 역가 유지 정도라도 파악해야만 합니다.
UCLA와 콩고 민주 공화국 국립 생의학 연구소 (Democratic Republic of Congo's National Institute of Biomedical Research)의 과학자들은 600여명의 백신 접종자에서 접종 후 21일, 6개월 후 혈액 샘플을 채취해 항체 반응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흥미롭게도 21일 후에는 87.2%였던 항체 반응률이 6개월 후에는 95.6%으로 오히려 올라갔습니다. 항체 효과가 6개월 이후에는 하락하는 코로나 19와 달리 에볼라는 장기 면역을 제공할 가능성이 커진 것입니다.
사실 이는 에볼라에 한 번 감염된 사람이 상당히 오래 면역을 지닌다는 사실에서도 유추할 수 있는 결과이나 실제 연구 결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다만 백신의 보호 효과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지는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확인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아무튼 대중에 관심에서 멀어지는 동안에도 과학자들은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해왔고 덕분에 에볼라 백신이 나올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다른 질병에서도 같은 일이 계속 일어나기를 희망합니다.
참고
https://medicalxpress.com/news/2022-02-ebola-vaccine-congo-antibody-response.html
https://en.wikipedia.org/wiki/RVSV-ZEBOV_vaccine
Nicole A. Hoff et al, Immunogenicity of rVSVΔG-ZEBOV-GP Ebola vaccination in exposed and potentially exposed persons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22). DOI: 10.1073/pnas.2118895119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