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창기 인터넷이 보급되던 시절에는 대부분 ID 와 비밀번호를 사이트 마다 같게 지정해서 본인이 혼동하는 사태를 피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그러나 점점 해킹과 계정 도용이 일반화 되면서 이와 같은 방식은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비밀 번호를 생성하는 여러가지 팁들이나오게 되었죠. 사실 여러 개인마다 자신만의 비법이 있을 것이고 누구도 모르는 자신만의 비법이야 말로 가장 안전하기 때문에 이미 자신만의 노하우가 있다면 그걸 사용하기를 적극 추천합니다.
하지만 지금도 별 보안 의식 없이 비번을 같게 지정하거나 1111 같이 극도로 단순한 비번을 지정하는 사용자들이 있는게 사실이고 이전에 비밀 번호 생성에 대한 팁을 설명해달라는 요청도 있어 간단한 포스트를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물론 자신만의 좋은 비법이 있으면 그걸 사용하는 게 더 바람직 합니다. )
일단 비밀번호를 사이트 마다 다르게 지정해야 한다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그 사이트의 이름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조합은 사이트의 영문 일부 + 자신의 암호 식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Naver 라면 Naver1234 하는 식이죠. 다만 이는 너무 쉬운 암호이기 때문에 대개 사이트의 이름 전부가 아니라 일부만 사용하는 게 더 좋습니다. Nav1234 가 더 좋은 암호죠.
단 일반적으로 비번은 4-8 자리 부터 6- 12 자리, 혹은 8 자리 이상을 요구합니다. 따라서 가능하면 8 자리로 비번을 통일하거나 혹은 자기만의 원칙을 만들어야 합니다. 일부 사이트가 비번을 8 자리 이상을 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8 자리 비번을 만드는게 가장 헷갈리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팁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사실 비밀번호를 사이트 마다 지정할 경우 나중에 자신이 헷갈리지 않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그래서 원칙이 분명해야 하고 일부 사이트에서는 적용이 불가능한 방식으로 만들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아무튼 사이트 이름 앞에서 몇개 + 영문 숫자 조합 이 가능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Nav34tgb 같이 키보드에서 입력이 편리한 인접한 숫자 + 영문 조합을 이용하는 게 간편합니다. 일반적인 키보드 배열을 사용하는 방식이 편하다는 것이죠. 사이트 앞자리 3개 + 9i8uh 같은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지금 키보드를 보면 이 배열이 어떤 의미인지 쉽게 아실 수 있을 실 겁니다) 물론 특수 기호까지 조합하는 방법도 있죠. (다만 그러면 스마트폰에서는 입력이 조금 복잡해 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방식을 좀 더 복잡하게 만드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제 사이트 앞자리 2개 + 내 비번 + 마지막 자리 1개 방식으로 바꿔 봅시다. Na + 4rfvb + v 의 조합이나 Da + 4rfvb + u 의 조합은 더 강력해 보입니다.
아니면 반대로 중간에 넣는 방법도 있죠. 사이트 이름 첫번째 (숫자라도 동일) 를 비번 3번째에, 그리고 두번째를 비번 6 번째, 3번째는 8번째로 넣는 방식이죠. 예를 들어 네이버에 적용할 경우에 23456 이라는 평범한 암호가 23N45A6V 라는 복잡한 암호가 됩니다. 1234 같은 연속된 암호를 사용할 경우 반드시 1 이 아니라 그보다 높은 수준에서 올라가고 반대로 내려가는 (76543 같은) 순을 사용하되 중간에 사이트 이름과 혼용하면 생각보다 높은 수준의 암호가 됩니다.
여기서 더 꼬아 보는 방법은 영문을 하나씩 뒤로 이동 시키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a->b, b->c 등 입니다. 숫자의 경우는 1->2, 2->3 이 되겠죠.
그러나 이렇게 복잡한 방식은 자신있게 입력이 가능한 분이 아니면 그다지 권장은 드리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비번이라는 건 본인은 입력이 쉬워야 합니다. 아무리 좋은 비번이라도 본인도 기억하기 힘들고 입력할 때도 힘들면 의미가 없죠.
여기까지 읽으셨다면 위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도 또 다른 자신만의 아이디어가 솓아오르시는 분도 있을 실 것입니다. 또 처음에 말한대로 이미 사용하시는 분도 있겠죠. 그렇다면 그것을 본인만 이용하시면 됩니다. 위에서 든 것은 정말 예시이고 저도 100% 같은 방법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일단 사이트 별로 비번을 다르게 지정했다고 해도 사실 다른 계정이 털리지 말라는 법은 없습니다. 따라서 중요한 계정의 경우 최근에는 2차 인증 (예를 들어 OTP 같은) 방식이 앞으로 점차 도입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