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네이처지에 기재된 한 논문에 의하면 지금으로 부터 5200 만년전 남극 해안가에는 야자 나무와 바오밥 나무 같이 열대성 기후에서 자랄 수 있는 식물들이 자랐던 것 같다고 합니다. 독일 괴테 대학 (Goethe Univ. ) 와 프랑크프르트의 생물 다양성 및 기후 연구 센터 ( University and member of the Biodiversity and Climate Research Centre ) 의 과학자들은 이 연구를 합동으로 수행하면서 5200 만년전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지금의 2배 이상 이던 이 시기에 남극은 지금과는 완전히 다른 아열대성 기후가 지배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괴테 대학의 요르그 프로스 교수 (prof Jorg Pross ) 를 비롯한 저자들은 남극의 고기후를 연구하기 위해 암석 샘플링을 시행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IODP (Integrated Ocean Drilling Program) 으로 알려진 남극 해안의 암석 샘플링 연구로 고대 남극의 기후에 대해서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이 샘플로 부터 야자 나무와 바오밥 나무 처럼 적어도 아열대 기후에서만 자랄 수 있는 나무의 흔적을 찾아냈습니다. 이들이 이 증거를 찾아낸 지역은 Wilkes Land 해안으로 당시 이 지역은 겨울에도 섭씨 10 도 이상으로 온난했을 것으로 연구자들은 추정했습니다.
이미 이전 포스트를 통해 마이오세 중기 온난화 시기에 남극해안에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정도로 온도가 올라갔다는 연구를 소개드린 바 있는데 ( http://blog.naver.com/jjy0501/100160523060 ) 오랜 지구의 역사상 온도가 지금보다 올라갔을 때 남극에는 주기적으로 빙하가 후퇴하거나 사라지고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이 연구자들이 발하는 5200 만년 이후 수백만년간의 시기는 바로 Paleocene–Eocene Thermal Maximum ( PETM) 이라고 불리는 시기 이후에 찾아온 Eocene Optimum 이라는 시기입니다. (아래 그래프 참조) 이렇게 극단적인 온난화가 온 이유는 잘 모르지만 아무튼 이 시기에도 온실가스 농도는 크게 올라갔습니다.
(지구의 기온 변화. 지구이 기후는 큰 변화를 거듭해 왔음. 클릭하면 원본 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File:All_palaeotemps.png)
연구자들은 남극의 고기후를 연구하므로써 현재 처럼 온실 가스가 증가하게 될 경우 미래에 어떤일이 생길지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고자 합니다. 연구자들은 이 시기 처럼 극단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인류가 수백년간 지금 처럼 온실가스를 배출해야 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여기까지는 뉴스고 제 개인적인 생각을 말하면 이런 극단적인 기온 상승 - 즉 남극에 아열대 기후가 형성되는 것 - 은 지구 역사에서 불가능하지는 않았던 일이지만 현재 인간의 활동으로 이 정도의 온실 가스를 배출하려면 21 세기내로는 어려울 듯 합니다. 물론 그보다 적은 수준의 온도 상승으로도 지구 환경에 엄청난 대 격변이 예상되는 건 사실입니다. 정말 미래에는 남극 해안에 다양한 식생이 펼쳐지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물론 21세기 안으로는 그걸 보기가 힘들겠지만 말이죠.
참고
Journal Reference:
Jorg Pross, Lineth Contreras, Peter K. Bijl, David R. Greenwood, Steven M. Bohaty, Stefan Schouten, James A. Bendle, Ursula Rohl, Lisa Tauxe, J. Ian Raine, Claire E. Huck, Tina van de Flierdt, Stewart S. R. Jamieson, Catherine E. Stickley, Bas van de Schootbrugge, Carlota Escutia, Henk Brinkhuis, Henk Brinkhuis, Carlota Escutia Dotti, Adam Klaus, Annick Fehr, Trevor Williams, James A. P. Bendle, Peter K. Bijl, Steven M. Bohaty, Stephanie A. Carr, Robert B. Dunbar, Jhon J. Gonzalez, Travis G. Hayden, Masao Iwai, Francisco J. Jimenez-Espejo, Kota Katsuki, Gee Soo Kong, Robert M. McKay, Mutsumi Nakai, Matthew P. Olney, Sandra Passchier, Stephen F. Pekar, Jorg Pross, Christina R. Riesselman, Ursula Rohl, Toyosaburo Sakai, Prakash K. Shrivastava, Catherine E. Stickley, Saiko Sugisaki, Lisa Tauxe, Shouting Tuo, Tina van de Flierdt, Kevin Welsh, Masako Yamane. Persistent near-tropical warmth on the Antarctic continent during the early Eocene epoch. Nature, 2012; 488 (7409): 73 DOI: 10.1038/nature11300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