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025의 게시물 표시

우주 이야기 1528 - ALMA가 밝힌 우주 초기 은하의 내부 구조

  ( Artist’s illustration of CRISTAL-13. Dust-rich regions obscure newborn stars, whose energy is re-emitted at ALMA’s millimeter wavelengths. Right: young star clusters clear the dust and shine visibly in JWST and HST images. Credit: NSF/AUI/NRAO/B. Saxton ) ​ ( A family portrait of galaxies from the CRISTAL survey. Red shows cold gas traced by ALMA's [CII] observations. Blue and green represent starlight captured by the Hubble and James Webb Space Telescopes. Credit: ALMA (ESO/NAOJ/NRAO) / HST / JWST / R. Herrera-Camus ) ​ ( Zoom into the emission from an early galaxy observed in the CRISTAL survey. From left to right, the image shows stellar light captured by the James Webb and Hubble space telescopes, as well as the cold gas and rotation of the galaxy traced by ALMA through ionized carbon emission. Credit: ALMA / HST / JWST / R. Herrera-Camus ) ​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전파 망원경 중 하나인 ALMA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가 우주 초기 생성 단계에 있는 은하 구성 물질의 구조를 밝혀냈습니다. 크리스탈 서베이 (CRISTA...

비타민 K1 섭취가 동맥경화성 혈관 질환 사망률 낮춘다.

  ​ 시금치, 케일, 브로콜리 등에 풍부한 비타민 K1이 노인에서 심혈관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호주 에디스 코원 대학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대학, 덴마크 암연구소 (Edith Cowan University (ECU), 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Danish Cancer Institute)의 연구팀은 동맥 경화성 혈관 질환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 (ASVD))과 비타민 K1의 관계를 연구했습니다. ​ 동맥 경화성 혈관 질환은 중요한 동맥의 동맥 경화가 진행되면서 혈관이 좁아지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렇게 되면 혈관이 갑자기 막히는 심근 경색이나 뇌졸중 같은 질병의 위험도가 높아집니다. 연구팀은 평균 75세인 호주 여성 노인 1,436명의 식이 섭취를 조사한 후 14.5년에 걸쳐 추적 관찰하고 이 가운데서 1000명 정도에서는 총경동맥 내경 두께 (Common carotid artery intima–media thickness (CCA-IMT))를 측정해 연구 시작 단계에서 동맥 경화 정도를 조사했습니다. ​ 그 결과 비타민 K1 섭취가 가장 많은 그룹 (평균 119 µg/day)은 가장 적은 그룹 (49 µg/day)보다 총경동맥의 내경 두께가 5.6% 얇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뒤집어 말해 동맥 경화가 적은 것입니다. 그리고 14.5년 동안 동맥 경화성 혈관 질환 유병률, 입원율 및 사망률을 조사한 결과 가장 적은 그룹과 비교해 가장 섭취가 많은 그룹에서 각각 유병률은 29%, 사망률은 43%나 적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SVD events (HR 0.71 95%CI 0.55–0.92), ASVD mortality (HR 0.57 95%CI 0.40–0.83), ASVD hospitalisations (HR 0.83 95%CI 0.63–1.11)) ​ 이 연구는 노인에서 비타민 K1이 풍부한 잎채소 섭취가 건강에 좋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다만 ...

갤럭시 Z 폴드 7/플립 7 공개

  (출처: 삼성전자) ​ ​ 삼성전자가 갤럭시 언팩 2025(Galaxy Unpacked 2025)에서 갤럭시 Z 폴드 7/플립 7을 공개했습니다. 플래그쉽인 갤럭시 Z 폴드 7은 접었을 때 8.9mm라는 역대 최소 두께와 215g이라는 역대 최소 무게와 함께 8인치 (203.1mm) 2,184 x 1,968 화소 대형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고 나왔습니다. 펼쳤을 때 두께는 최소 4.2mm에 불과한데, 다소 내구성에 대한 우려가 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본래도 가격이 비싼 편인데, 수리비가 만만치 않다는 점이 중간에 생기는 주름과 함께 폴더블 폰의 단점일 것입니다. ​ 삼성은 내구성 문제를 극복하면서도 가볍고 얇은 구조를 위해 아머 플렉스힌지(Armor Flex Hinge)를 적용하고 힌지를 보호하는 프레임에는 강화된 아머 알루미늄(Advanced Armor Aluminum)를 사용했습니다. 특히 더 넓어져서 손상 위험도가 커진 디스플레이에는 티타늄 프레임과 50% 더 두꺼워진 초박막 유리를 적용했습니다. 참고로 전면에는 코닝® 고릴라® 글라스 세라믹 2(Corning® Gorilla® Glass Ceramic 2), 후면에는 코닝® 고릴라® 글라스 빅터스® 2(Corning® Gorilla® Glass Victus® 2)가 들어갑니다. ​ AP는 갤럭시용 스냅드래곤 8 엘리트(Snapdragon® 8 Elite for Galaxy)을 사용하는데, 전작 대비 NPU 성능이 41%, CPU는 38%, GPU는 26% 높아졌다는 게 퀄컴 및 삼성전자의 설명입니다. 실제 성능 벤치 및 배터리 시간, 발열 등도 궁금해지는 대목입니다. ​ ​ ( 언팩 현장에서 만나본 갤럭시 Z 폴드7 | 갤럭시 언팩 2025 ) ​ (오목교 전자상가) ​ 아무래도 얇기 때문에 다른 부분은 상대적으로 눈에 들어오진 않지만, 2억 화소 메인 카메라와 100도 광각 셀피 카메라, AI 기반 프로비주얼 엔진(ProVisual Engine) 등으로 카메라 성능도 높였다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