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년 중국에서 처음 환자가 보고되고 2009 년 바이러스 분리에 성공한 중증 열성 혈소판 감소 증후군 (SFTS :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은 불행히 2013 년에는 국내에서도 환자가 보고되기 시작해 (사실은 2012 년 에도 환자가 있었음) 이제는 한국의 새로운 토착 감염 질환으로 자리잡았습니다. (현재 제 4 군 법정 전염병으로 지정해서 관리 중) SFTS 는 2013 년 국내에서 36 명의 환자가 확진되어 그 중 17 명이 사망했으며, 2014 년 5월 초 국내에서 다시 환자가 발생해 사망하는 불행한 일이 발생했습니다.
(SFTS 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트에서 상세히 다룬 적이 있으니 앞서 포스트 (http://jjy0501.blogspot.kr/2013/05/sfts.html ) 를 참조해주시기 바랍니다)
SFTS 를 전파하는 바이러스는 Bunyaviridae과 Phlebovirus 속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 자연계에서는작은소참진드기(Haemaphysalis longicornis) 를 비롯 꼬리소참진드기(Rhipicephalus microplus= Boophilus microplus), 뭉뚝참진드기(Amblyomma testudinarium) 등에 의해 전파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5 만종의 진드기가 있고 그 중에서 참진드기과(family Ixodidae) 에 속하는 진드기는 700 종 정도인데 이 중에서 국내에서는 5 속 27 종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참진드기 중에서 작은소참진드기가 특히 SFTS 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작은소 참진드기와 뭉뚝 참진드기는 각 성장 단계마다 숙주에 달라붙어 흡혈을 한 후 탈피를 하고 다시 숙주에 달라 붙어 흡혈을 해 바이러스를 전파시킬 수 있습니다. 피만 빨아먹고 사라지면 상관이 없겠는데 문제는 온갖 동물에서 피를 빨아먹는 과정에서 각종 병원체들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니 문제입니다.
(작은소 참진드기. 흡혈을 해서 충혈된 상태 Haemaphysalis longicornis http://en.wikipedia.org/wiki/File:Haemaphysalis_longicornis_1.jpg )
이렇게 진드기가 매개하는 질환을 진드기 매개 질환 (Tick borne disease) 이라고 부르는데 국가와 지역에 따라 라임병(Lyme disease), 큐열(Q fever), 콜로라도진드기열(Colorado tick fever), 홍반열(Spotted fever), 바베시아증(Babesiosis), 에릴리키아증(Ehrlichiosis), 진드기매개뇌염(Tick-borne encephalitis)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국내에서는 이제 SFTS 가 추가된 셈입니다. (참고로 국내에서는 털진드기가 전파하는 쯔쯔가무시 병이 대표적인 진드기 매개 질환입니다.)
사실 작년에 조사했을 때 SFTS 바이러스 (SFTSV) 를 가지고 있는 작은소 참진드기의 비율은 0.5% 수준에 불과했습니다.또 지금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대부분의 환자는 50 세 이상의 나이가 많은 중장년층에서 주로 발생했습니다. 따라서 건강한 성인이라면 과도하게 걱정을 할 필요는 없겠지만 일단 발병하면 사망률이 12 - 30% 수준에 달하고 아직까지 SFTSV 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제가 없는 만큼 처음부터 걸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진드기에 물리지 않으면 쯔쯔가무시병이나 라임병 같은 다른 진드기 매개 질환에 걸리지 않을 수 있으니 당연히 가능하면 물리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
질병 관리 본부는 다음과 같은 예방 수칙을 발표했습니다.
○ 야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는 풀밭 등) 활동 시
- 풀밭 위에 옷을 벗어두지 않기, 눕지 않기
- 돗자리를 펴서 앉고, 사용한 돗자리는 세척하여 햇볕에 말리기
- 풀밭에서 용변 보지 않기
- 작업 시에는 일상복이 아닌 작업복을 구분하여 입고, 소매와 바지 끝을 단단히 여미고 장화 신기
- 작업 및 야외활동 시 기피제 사용이 일부 도움이 될 수 있음
○ 야외 활동 후
- 옷을 털고, 반드시 세탁하기
- 샤워나 목욕하기
- 머리카락, 귀 주변, 팔 아래, 허리, 무릎 뒤, 다리 사이 등에 진드기가 붙어 있지 않은지 꼼꼼히 확인하기
(출처 : 질병 관리 본부)
진드기 기피제도 도움이 될 수는 있겠지만 실제로 맨살을 파고 드는 진드기의 특징상 노출된 피부가 있으면 어디든지 취약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정작 야외활동에서는 옷을 잘 입어서 보호가 되었지만 옷에 묻어 있는 진드기가 집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옷을 잘 세탁하고 목욕을 잘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어린이의 경우 몸에 진드기가 있지는 않은지 부모님이 잘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
만약 진드기가 발견될 경우 그냥 손으로 잡아서 떨어뜨리면 작아서 보이지 않더라도 머리부분이 남아 2 차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가능하면 핀셋으로 잡아서 조심스럽게 힘을 가해 진드기 전체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올바른 진드기 제거법. 질병 관리 본부 )
우리나라에서는 대개 5월에 환자가 보고되어 여름에 기승을 부리므로 (쯔쯔가무시는 가을에 기승을 부리는 것과 차이) 5-8 월 사이가 가장 호발하는 시기이나 작은소 참진드기는 4-11 월 사이에 활동이 가능하므로 이 시기에는 아무튼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겠습니다. 그리고 산이나 논밭에서 작업 후 고열이 발생하면 지체없이 병원을 방문하여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바이러스 자체에 대한 치료가 없다고 해도 생명을 지키기 위한 다른 치료는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참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