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vis points are distinguishable, in part, due to their distinctive flute or channel flake scar near the base, as shown in these replicas. UC Berkeley researchers studied how the points functioned as part of a system and were used to bring down megafauna in the Ice Age. Credit: Scott Byram)
(A high-speed photo sequence during a test after an 11.34 kg weight was dropped from 35 cm shows various moments as the stone point recedes into and splinters the pike shaft. Researchers said the way the stone point could have pierced animal flesh and the wood-and-bone shaft opened up suggests that the spear as a system functioned similar to a hollow-point bullet. Credit: Scott Byram)
고고학자들은 북미 대륙에서 선사 시대 인류가 사용한 뾰족한 돌창 끝인 클로비스 포인트 (Clovis point)를 다수 발견했습니다. 13,000년 전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클로비스 포인트는 엄지손가락 크기에서 휴대폰 크기까지 크기는 다양하지만, 모두 날카로운 돌에 양쪽으로 홈이 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클로비스 포인트의 일반적인 해석은 나무창 끝에 끼우고 단단하게 고정한 후 사냥감을 향해 던지건나 찌르는 무기였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신대륙으로 이주한 초기 인류가 이를 어떻게 사용했는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이 있어왔습니다.
UC 버클리의 스콧 바이람 (Scott Byram, a research associate with Berkeley's Archaeological Research Facility)아 이끄는 연구팀은 클로비스 포인트로 만든 창이 영화나 게임에서 묘사되는 것처럼 던지는 무기로 사용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당시 초기 원주민들은 클로비스 창을 이용해 마스토돈이나 매머드 같은 큰 동물을 사냥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런데 아무리 힘이 센 사람도 안전한 거리에서 창을 던져서 마스토톤이나 매머드의 두꺼운 가죽을 뚫고 치명상을 입히기는 쉽지 않습니다.
연구팀은 실제로 클로비스 창의 복제품을 만들어 이를 검증했습니다. 그 결과 손으로 던지는 건 멋있어 보일 순 있지만, 대형 동물에 충분한 치명상을 입히기 힘들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연구팀은 원시인들이 이런 큰 동물을 도발한 후 돌진할 때 창을 앞으로 향하고 땅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더 쉽게 치명상을 입히는 방식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돌진해 오는 동물의 힘을 이용해 클로비스 포인트가 깊숙히 들어가면, 창 끝이 부서지면서 마치 속이 비어 있는 총탄처럼 내부에서 움직여 더 큰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당연히 원시인 입장에서도 훨씬 안전한 대안입니다.
물론 실제로 어떻게 사냥했는지는 영원히 밝힐 수 없는 미스터리일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확실히 코끼리 만큼 거대한 동물을 돌창을 던저 잡으라고 하면 사람 힘으로는 좀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아마도 원시인이 우리의 상상보다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을 사용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24-08-mammoths-ice-age-people-pikes.html
Clovis points and foreshafts under braced weapon compression: Modeling Pleistocene megafauna encounters with a lithic pike, PLoS ONE (2024). journals.plos.org/plosone/arti … journal.pone.0307996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