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MQ - 9 Reaper
General Atomics 사는 MQ - 1 프레더터 보다 훨씬 대형의 정찰 및 공격기를 개발하고 있었다. 2001년 첫번째 시험 비행을 마친 이 시험기는 본래 Predator B 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었으며 시제기는 B - 001 이라 불렸다. 초기에 B - 003 까지 3가지 종류의 시제기가 개발되어 엔진 및 주익등을 변경하면서 다양한 테스트가 있었다.
2002년 미 공군은 Altair 라는 이름이 붙은 B - 003 시제기를 들여와 최종 테스트를 했으며 이 때 명칭이 프레데터 B 에서 리퍼 (Reaper) 로 변경되었다. (알테어는 이후 나사의 비무장 버전의 이름으로 새로 붙여졌다)
(2008 년 크리치 공군 기지에서 비행 중인 리퍼 CREECH AFB, Nev. -- A MQ-9 Reaper flies above Creech AFB during a local training mission here. The 42nd Attack Squadron currently operates the MQ-9. the image or file is in the public domain. )
리퍼의 양산형에는 900 shp (671 kW) 의 힘을 내는 Honeywell TPE 331 - 10 터보프롭 엔진이 탑재되었다. 이 엔진은 민수용과 군용으로 여러 버전이 널리 사용되는 엔진이다. 최대 이륙 중량은 4760 kg 이며 최대 페이로드는 1700 kg으로 이중 내부에 최대 360 kg 그리고 외부에 1400 kg 을 탑재할 수 있다.
하드 포인트는 동체 아래 1개와 주익에 6개로 총 7개인데 동체 아래는 사용하지 않고 주익 양옆에 3개씩의 하드 포인트를 사용한다. 하드 포인트 가운데 가장 안쪽에는 1500 파운드 (680kg) 의 폭탄 혹은 연료 탱크를 장착할 수 있다. 중간의 하드 포인트는 750 파운드 (340kg) 의 무장을 장착할 수 있으며 가장 바깥의 하드 포인트의 경우 150 파운드 (68 kg) 의 무장을 장착 가능하다. (다만 variation 에 따라 이 수치는 약간 차이가 있음) 대개 가장 바깥쪽의 하드 포인트는 잘 사용하지 않으며 주로는 가장 안쪽과 중간의 파일런만 사용된다.
완전 무장한 상태에서 리퍼는 14시간 비행이 가능하며 안쪽의 하드 포인트에 무장 대신 1000 파운드 (450 kg) 연료 탱크를 탑재하면 최대 42시간 비행도 가능하다. 무장으로는 헬파이어 미사일을 비롯 GBU 12 paveway II, AIM-9 sidewinder, GBU 38 등이 가능하며 최근엔 스팅거 미사일도 테스트 중이다.
(아프가니스탄에서 이륙 중인 리퍼. 가장 바깥쪽의 파일런은 장착하지 않은상태다. the image is in thepublic domain. )
지상을 감시하고 동시에 무기를 유도하기 위해 리퍼에는 Raytheon AN/AAS-52 multi-spectral targeting sensor suite 가 탑재된다. 여기에는 주간 칼러/모노크롬 TV 및 적외선 image intensified TV, 그리고 이와 연계된 laser rangefinder/target designator 가 탑재되어 정찰은 물론 레이저 유도 무기를 운용할 수 있다. 또 Synthetic Aperture radar 도 있어 GBU 38 유도 폭탄을 유도할 수 있다.
리퍼 역시 스스로 조종되는 무인기가 아니라 파일럿과 센서 오퍼레이터가 원격으로 조작하는 무인기이다. 원거리에서의 조작은 다른 무인기와 마찬가지로 위성 통신에 의존한다. (아래 동영상에서 보면 실제 조작 및 이착륙이 모두 원격 조종으로 이루어진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