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여러 가공 식품에는 상당한 양의 첨가당 (added sugar)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로는 설탕과 액상과당인데, 아무튼 이런 식품을 많이 먹으면 비만, 당뇨 및 심혈관 질환을 비롯한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긴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케익, 도넛, 과자류나 탄산 음료를 비롯한 가당음료가 있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이렇게 열량이 높은 음식을 자주 먹으면 비만이 되는 것은 물론 건강에 좋지 않을 것이라는 점은 쉽게 이해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과연 어느 선까지 규제를 하는 것이 좋은지에 대해서는 모든 연구가 의견을 같이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현재 나와있는 대표적인 가이드라인은 첨가당 섭취를 전체 열량의 10% 이내로 제한하는 미국인인을 위한 식생할 가이드라인 (8차, 2015-2020, U.S.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15-2020) 및 WHO 권고안( 유리당 섭취를 전체 열량의 10%이내 권장, 5% 까지도 추가 이득이 있을 수 있음)이 있으며 2015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 역시 전체 열량의 10% 이상을 첨가당으로 섭취하지 않아야 한다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 대해서 논쟁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미내과학 연보(Annals of Internal Medicine)에는 현재의 당 섭취 권고안이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주장이 실렸습니다. 맥마스터 대학(McMaster University)이 이끄는 연구팀에 의하면 정확한 권장 섭취량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과학적 근거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사실 현재 첨가당 기준으로 전체 열량 섭취의 10%가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준이기도 하지만, 이제까지 나온 가이드라안은 5%에서 25%까지 다양한 기준량을 제시했습니다. 여기에는 당류 (보통은 이당류나 단당류를 포함한 개념으로 먹었을 때 단맛이 나는 탄수화물 분자) 가운데 첨가당 만 기준으로 경우도 있고 총당류를 포함한 경우도 있습니다.
연구팀은 1995년부터 2016년사이 나온 논문을 리뷰해 대개의 과학적 근거 수준이 높지 않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좀 더 전문적으로 말하면 RCT(randomized controlled trial) 같은 무작위 실험이 별로 없다는 것인데 이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존재합니다.
쥐를 대상으로 한 동물 실험에서는 전체 열량의 10%, 20%, 30%를 첨가당으로 강제로 섭취하게 한 후 장기간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테스트가 가능하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그런 실험을 하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인체 대상 실험 연구는 장기가 아닌 단기에 그칠 수밖에 없습니다. 첨가당 섭취가 건강에 해롭다는 증거가 많은 마당에 사람을 위험에 빠뜨리는 연구를 장기 지속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가 관찰 연구(observational study)가 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존재하는데, 아무래도 무작위 실험이 아니다보니 결과를 해석하는 일이 만만치 않을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첨가당이 많이 들어간 가공 식품을 자주 먹는 사람은 바쁘게 일해야하거나 아니면 소득이 적은 계층일 가능성이 높고 여러 가지 이유로 건강이 나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통계적인 방법으로 이를 보정한다고 해도 편향을 피하기 어려운 이유가 있는 셈이죠.
다만 지금까지 진행된 역학 연구에서 대부분 과도한 첨가당 섭취가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쪽으로 나타나는 것은 중요합니다. 지나친 첨가당 섭취는 결국 비만, 심혈관 질환, 대사 증후군, 당뇨의 위험도를 높이게 됩니다. 연구팀 역시 이번 연구 결과를 잘못 해석해서 가당음료나 사탕류 같이 에너지가 매우 농축된 식품을 먹어도 좋다는 의미로 해석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습니다.
첨가당 10%가 타당한 권고안인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진행된 여러 연구를 종합하면 이보다 더 높은 수준의 첨가당은 최소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분명합니다. 물론 잘 디자인 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뤄져야 함은 분명합니다. 이 리뷰가 지적하는 점은 그렇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