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yolith Haplophrentis extending the tentacles of its feeding organ (lophophore) from between its shells. The paired spines, or 'helens', are rotated downwards to prop the animal up off the ocean floor. Credit: Artist: Danielle Dufault. © Royal Ontario Museum)
(Dorsal view of specimens, anterior to the top. Detail and whole specimen. ROM59943.1, H. carinatus from Stanley Glacier (Kootenay National Park, B. C.), showing partially extended lophophore, with tentacles beyond the operculum margin. Credit: © Royal Ontario Museum)
고생대의 시작인 캄브리아기는 캄브리아기 대폭발이라는 명칭이 붙을 정도로 다양한 다세포 생물이 등장한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 현생 동물문의 대부분이 출현했을 정도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다양한 생물이 등장했다가 사라졌고 이중에는 현생 동물과의 연관성이 모호한 그룹들도 적지 않습니다.
특히 발견 이후 논쟁이 되어왔던 종류로 히올리스(Hyolith)가 있습니다. 원뿔형의 껍데기를 가진 생물로 분류학상 어떻게 분류할지를 두고 논쟁이 되어왔던 독특한 생물입니다. 약관 20세에 불과한 토론토대학의 조셉 모이쉐(Joseph Moysiuk)는 네이처에 발표한 새로운 연구를 통해서 히올리스가 사실 완족류 (Brachiopods)에 속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히올리스는 아래와 위 두 개의 단단한 껍질을 지니고 있는데, 이들이 과거 의심되었듯이 연체동물에 가까운 그룹이 아니라 완족류에 가까운 그룹이라는 증거가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이는 두 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껍데기와 더불어 입 주위에 있는 독특한 부속지가 중요한 근거입니다.
완족류는 조개류(이미패류)와 비슷하게 두 개의 껍질을 가지고 있지만, 붙어있는 방향이 서로 다르고 껍질의 크기도 서로 달라서 구분이 가능합니다. 과거 고생대에 크게 번성한 무리로 이들이 고생대 초기인 5억 3천 만년 전에 등장했다는 것은 그다지 놀라운 일은 아닐 것입니다. 다만 상당히 독특하게 붙어있는 껍질과 부속지가 완벽하게 보존되는 경우가 드물었기 때문에 오랜 세월 히올리스의 분류는 상당히 어려웠습니다. 히올리는 단지 원뿔형의 껍질을 가진 고대 생물로 인식되었습니다.
뚜껑에 해당되는 다른 껍질과 주변 부속지가 있는 완벽한 화석이 발견된 것은 캄브라이기 화석이 대거 발견된 버제스 혈암군에서 40km 떨어진 코테나이 국립 공원(Kootenay National Park)에서였습니다. 이 화석을 통해서 마침내 히올리스의 실제 모습이 명확하게 드러났습니다. 물론 그 모습은 마치 외계에서 온 생물처럼 매우 독특합니다.
캄브리아기는 다세포 동물이 온갖 디자인의 몸을 들고나와 경쟁하던 생물학적 실험의 기간이었습니다. 여기서 살아남은 생존자는 최적의 몸구조를 후손에게 남기고 사라졌습니다. 히올리스 역시 마찬가지로 지금보면 기괴한 구조지만, 당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치열한 시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참고
Joseph Moysiuk et al, Hyoliths are Palaeozoic lophophorates, Nature (2017). DOI: 10.1038/nature20804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