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e diagram, spores of the fungus Aspergillus fumigatus enter the lungs by the airways and grow within hours to contaminate the alveoli and impair breathing. Infection is fatal if it cannot be eliminated, as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GAG is galactosaminogalactan, an integral component of the A. fumigatus biofilm matrix and a key virulence factor. Credit: Molecular Biology Laboratory/FCFRP-USP)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곰팡이 포자는 공기 중 어디에나 존재합니다. 따라서 음식을 오래 두면 어디서 날아 왔는지 알 수 없는 곰팡이가 피어 있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사실 곰팡이 같은 균류는 자연계에서 유기물을 분해해 다시 자원을 순환하게 돕는 중요한 존재들입니다.
하지만 사람 몸에 감염되었을 때는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건강한 사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칸디다 같은 곰팡이류는 입 안과 식도에 살면서 대부분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나 면역이 떨어진 환자에서는 심각한 감염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스퍼길로스증 (aspergillosis) 같은 곰팡이는 면역이 떨어진 환자에서 더 심각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킵니다. 이는 중증 코로나 19 환자에서도 예외가 아닙니다.
오스트리아 그라츠 의대의 마르틴 호에니글(Martin Hoenigl,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s,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Medical University of Graz, Graz, Austria)이 이끄는 연구팀은 지금까지의 논문을 리뷰해 코로나 19 감염과 곰팡이 동시 감염의 현황과 위험도를 분석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가장 문제가 되는 코로나 19 동시 감염 곰팡이는 바로 아스퍼길로스 속의 곰팡이 감염입니다. 코로나 19 연관 폐 아스퍼길로시스증 CAPA (COVID-19-associated pulmonary aspergillosis)은 인공 호흡이 필요한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10%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일단 감염되면 항진균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80%가 사망하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 됩니다. 코로나 19 감염으로 인해 호흡기 면역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데다, 스테로이드 같은 면역 억제제도 감염에 취약한 상황을 만들 수 있습니다.
코로나 19 연관 뮤코마이코시스증 COVID-19-associated mucormycosis (CAM)은 이보단 덜 위험하긴 하지만 인도 등 특정 국가에서 많이 보고되었습니다. 2021년 5-8월 사이 대유행 시기에 CAM은 47500건이 보고되었는데, 주로는 눈과 코 같이 피부에 생기는 질병이며 사망률은 14%에 달합니다. 당시에는 검은 곰팡이 등으로 불렸는데, 사실 정확한 분류명은 아닙니다.
아무튼 이런 곰팡이 감염에 대처할 수 있는 항진균제는 상대적으로 개발이 느려 현재 중증 감염에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이 제한적인 게 사실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코로나 19 대유행이 발생하면서 면역이 떨어지거나 중증 호흡기 치료를 받는 사람이 늘었고 결국 동시 감염으로 사망한 환자의 숫자가 크게 늘어난 것입니다.
코로나 19가 엔데믹 상태로 진행하게 되면 결국 곰팡이 감염에 의한 사망자가 증가하게 될 것입니다. 이에 따라 코로나 19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은 물론이고 함께 감염될 수 있는 항생제 내성균 및 곰팡이 감염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항진균제 개발에서 획기적인 진전이 있기를 기대합니다.
참고
https://medicalxpress.com/news/2022-09-fungal-infections-mortality-hospitalized-covid-.html
Martin Hoenigl et al, COVID-19-associated fungal infections, Nature Microbiology (2022). DOI: 10.1038/s41564-022-01172-2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