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roBOT is a robotic version of a 300-million-year-old animal called Orobates pabsti that was designed to teach scientists more about how these kinds of creatures walked(Credit: Maxime Marendaz))
고생대의 마지막 시기인 페름기는 마지막 순간 찾아온 대멸종으로 가장 유명하지만, 사실 오늘날 육지 척추동물의 조상이 되는 다양한 동물들이 진화해 다양성을 꽃피운 시기이기도 합니다. 지금은 상상하기 어려운 다양한 틈세 동물들이 존재했는데,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현생 포유류의 조상과 관련있는 포유류형 파충류로 분류되는 수궁류지만, 이 시기에는 파충류형 양서류 역시 존재했습니다.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이들은 파충류와 양서류의 특징을 모두 갖춘 전이형 생물로 양서류 단계에서 더 먼 육지를 노렸습니다. 이들에 대한 이야기는 제 책인 포식자에서도 다룬 바 있습니다.
물에서 나와 완전한 육지 생물로 진화하는 단계에 있는 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는 바로 네 발로 걷는 일이었습니다. 아예 헤엄칠 일이 없는 육지형 사지 동물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양서류와 달라야 했지만, 어떤 것이 가장 좋은 해답인지를 얻기 위해서 여러 번의 시행 착오가 필요했습니다. 오로바테스 파브스티 (Orobates pabsti)라는 다소 생소한 이름의 동물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베를린에 있는 훔볼트 대학(Humboldt University of Berlin)과 스위스 로잔 연방 공과 대학 (EPEL)의 과학자들은 정교한 시뮬레이션과 비슷한 현생 동물의 운동 방식을 모델링한 후 오로바테스 로봇을 만들어 이들이 실제 환경에서 어떻게 걸었을지 연구했습니다.
(동영상)
비록 3억년 전 생물을 있는 그대로 복원할 순 없지만, 과학자들은 이 로봇 고대 생물을 통해서 그들의 삶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오로바테스가 현생 양서류의 다리보다 더 수직에 가까운 다리를 지녀 육지에서 움직이기 편했지만, 현생 포유류에 비견될 정도는 아니고 오늘날의 카이만 같은 파충류와 비슷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약간 좌우로 흔들리는 모습은 그렇게 효과적인 보행 동작은 아니지만, 이 과정을 거쳐 현생 육상 생물이 진화했을 것입니다.
3억년 전 생물의 동작을 흉내낸 이 로봇 이외에도 다양한 로봇 모형이 고대 생물이 삶을 복원하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DNA를 이용해서 공룡이나 그보다 더 오래된 생물을 재탄생시키는 일은 불가능하지만, 이렇게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과학자들은 이들의 삶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참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