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나트륨 이온 배터리가 상용화 될 수 있을까?


 최근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는 배터리는 대부분 리튬 이온을 이용한 것입니다. 리튬 배터리가 등장하면서 모바일 기기는 더 얇고 가볍고 오래갈 수 있도록 진화했습니다. 의심할 바 없이 리튬 이온 배터리는 현재의 모바일 혁명을 이끈 주역 중 하나죠. 여기에 최근에는 전기/하이브리드 자동차에도 널리 사용되어 앞으로 교통/에너지 측면에서의 혁신을 이끌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앞날이 무조건 밝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리튬은 우주 전체로 보면 꽤 흔한 원소이지만 지구 표면에는 그렇게 흔하지 않아서 자원 부족으로 인한 가격 상승 및 공급 부족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많은 연구자들이 리튬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재를 찾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런 소재 가운데서 유망한 것 가운데 하나가 리튬과 비슷한 성향의 원소인 나트륨(Na)입니다.
 나트륨 이온 배터리가 연구된 것은 그렇게 최근의 일은 아닙니다. 이전부터 나트륨 이온 배터리에 대한 연구는 꽤 많이 진행되었는데, 여기에는 결정적인 장점이 하나 있기 때문입니다. 나트륨은 지구에 매우 흔합니다. 바다에 있는 소금을 조금만 얻어서 나트륨을 추출해도 전세계 배터리 수요를 다 충족하고도 남습니다. 가격도 극도로 저렴하고 지구 어디에나 흔합니다. 나트륨을 순환시켜 사용하면 사실상 반영구적으로 고갈 걱정이나 비용 걱정이 없는 값싼 배터리 제작이 가능할 것입니다.
 그런데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나트륨 이온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를 대체하지 못하는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나트륨 이온은 리튬 이온에 비해서 25% 정도 더 큽니다. 따라서 전극에 쉽게 다가가지 못해서 충전과 방전에 걸리는 시간이 엄청나게 긴 편입니다. 이는 배터리로써는 치명적인 단점입니다.
 독일 일레나우 대학의 용 레이 교수(Yong Lei, a professor at the Technical University of Ilmenau in Germany)가 이끄는 연구팀은 이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유기 나트륨 이온 배터리(organic Na ion Battery)를 개발해 이를 저널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발표했습니다. 이들은 전극의 구조를 개선해서 나트륨 이온이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개선한 유기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개발했다고 합니다.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구조. Credit: ACS  )
 이들이 개발한 새로운 전극은 마치 여러 개의 테라스가 있는 ​정원처럼 되어 있어 나트륨 이온이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이를  extended π-conjugated system 라고 명명했습니다. 이 새로운 방식을 통하면 기존의 유기 나트륨 배터리보다 1000배((10 A/g vs. 10 mA/g))의 전류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 400 사이클 충방전시에도 70% 정도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높은 효율과 빠른 충전 능력, 그리고 여러 번의 충반전 사이클을 가진 환경 친화적인 유기 나트륨 이온 배터리 개발에 집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근까지 많은 발전이 있었지만 리튬 이온 배터리 역시 크게 발전해서 아직은 나트륨 이온 배터리가 그 자리를 대신하기는 어려운 상태입니다. 하지만 미래는 역시 알수 없는 것이죠.

 쉽게 구할 수 있는 원소라는 점에서 생각하면 나트륨 이온 배터리가 가지는 이점은 너무나 명백하기 때문에 앞으로 계속해서 배터리 수요가 증가한다면 나트륨 이온 배터리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더 많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다른 대안적인 기술도 항상 같이 존재하기 때문에 과연 나트륨 이온 배터리가 미래의 배터리가 될지는 장담할 수 없습니다. 분명한 것은 미래 배터리 기술이 지금보다 더 나아질 것이라는 점이죠.


 참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잘 쓰지도 않을 방법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아무래도 효율

150년 만에 다시 울린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

  ( The katydid Prophalangopsis obscura has been lost since it was first collected, with new evidence suggesting cold areas of Northern India and Tibet may be the species' habitat. Credit: Charlie Woodrow, licensed under CC BY 4.0 ) ( The Museum's specimen of P. obscura is the only confirmed member of the species in existence. Image . Credit: The Trustees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  과학자들이 1869년 처음 보고된 후 지금까지 소식이 끊긴 오래 전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를 재현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프로팔랑곱시스 옵스큐라 ( Prophalangopsis obscura)는 이상한 이름만큼이나 이상한 곤충으로 매우 희귀한 메뚜기목 곤충입니다. 친척인 여치나 메뚜기와는 오래전 갈라진 독자 그룹으로 매우 큰 날개를 지니고 있으며 인도와 티벳의 고산 지대에 사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일한 표본은 수컷 성체로 2005년에 암컷으로 생각되는 2마리가 추가로 발견되긴 했으나 정확히 같은 종인지는 다소 미지수인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확실한 표본은 수컷 성체 한 마리가 전부인 미스터리 곤충인 셈입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그 형태를 볼 때 이들 역시 울음 소리를 통해 짝짓기에서 암컷을 유인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높은 고산 지대에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곤충이기 때문에 낮은 피치의 울음 소리를 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런 소리는 암컷 만이 아니라 박쥐도 잘 듣는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들은 중생대 쥐라기 부터 존재했던 그룹으로 당시에는 박쥐가 없어 이런 방식이 잘 통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신생대에 박쥐가 등장하면서 플로팔랑곱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enage-girl-years-reconstructed.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