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지구 역사 최초의 산불은 언제 발생했을까?

 


(Credit: CC0 Public Domain)



 매년 크고 작은 산불이 일어나 많은 임야를 태우고 환경 파괴와 재산 손실은 물론 심한 경우 인명 손실까지 일으킵니다. 특히 이런 산불의 대부분이 인간의 부주의로 인한 잘못이기 때문에 담뱃불이나 화기 취급에 각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자연의 관점에서 본다면 산불은 종종 일어나는 일이며 자원 순환을 돕고 일부 식물의 번식을 돕는 순기능도 있습니다. 이런 사실은 화석 기록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알라배마 대학의 타케히토 이케지리 박사(Dr. Takehito Ikejiri)가 이끄는 연구팀은 역사상 가장 오래된 산불의 흔적을 찾아서 데본기 지층을 연구했습니다. 기본적으로 산불이라는 것은 육지 식물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식물이 육지에 상륙한 후 한참 후에야 일어난 일입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얼마나 오래된 일인지에 대해서는 과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일치되지 않았습니다. 



 연구팀은 데본기 지층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산불의 기원이 생각보다 상당히 오래전인 3억 8300만년 전이라는 증거를 찾아냈습니다. 연구팀은 지상 식물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불이 붙는 건 아니라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초기 지상 식물은 습한 환경에서 자라는 식물이었고 좀처럼 불이 붙기 어려운 환경 속에서 진화했습니다. 그러다가 뿌리를 통해 물과 영양분을 빨아들이는 관다발 식물이 진화하면서 물가에서 떨어진 장소로 점점 식물이 퍼지게 됩니다. 데본기는 초기 관다발 식물이 진화해서 다양화 되던 시기였습니다. 그런 만큼 초기 산불의 증거가 이 시기 지층에 숨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런데 초기 관다발 식물은 현재 볼 수 있는 형태의 나무가 아니었기 때문에 목재가 탄 흔적인 숯의 형태를 지층에 남길 가능성이 희박합니다. 데본기 다음 시대인 석탄기 양치 식물에서는 화재의 흔적을 쉽게 찾을 수 있지만, 데본기 초기로 올라갈수록 그런 흔적을 찾을 가능성은 희박합니다. 따라서 연구팀은 지층에서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의 흔적을 찾아 산불의 증거를 수집했습니다. 이 물질은 높은 온도에서 농축된 벤젠 고리 물질이므로 탄화수소가 고온에 노출된 증거이기 때문입니다. 



 데본기 지층에서 찾아낸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분자를 근거로 연구팀은 이미 데본기 중반에 초기 관다발 식물에 의한 숲과 관목 지대가 형성되었다는 증거를 발견했습니다. 특히 데본기 후기인 3억 7200만년에서 3억 5900만년 전 사이에는 서유럽, 그린란드, 북미를 합친 대륙인 유라메리카 (Euramerica) 대륙 넓은 지역에서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이 시기에 내륙으로 식물이 진출해 초기 숲을 형성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연구 결과가 옳다면 산불의 시작은 사지동물의 육지 상륙보다 더 오래 전 일이었습니다. 따라서 초기 산불로 희생된 동물은 대부분 아주 작고 원시적인 절지동물이나 무척추동물이었습니다. 물론 숲과 초원을 구성하는 식물도 지금과는 현저히 달랐습니다. 하지만 모든 것을 집어삼키는 화마의 위력은 그때도 지금과 다르지 않았을까 상상해 봅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21-05-earliest-forest-evidence-ancient-tree.html


Man Lu et al. A synthesis of the Devonian wildfire record: Implications for paleogeography, fossil flora, and paleoclimate,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021). DOI: 10.1016/j.palaeo.2021.110321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

150년 만에 다시 울린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

  ( The katydid Prophalangopsis obscura has been lost since it was first collected, with new evidence suggesting cold areas of Northern India and Tibet may be the species' habitat. Credit: Charlie Woodrow, licensed under CC BY 4.0 ) ( The Museum's specimen of P. obscura is the only confirmed member of the species in existence. Image . Credit: The Trustees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  과학자들이 1869년 처음 보고된 후 지금까지 소식이 끊긴 오래 전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를 재현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프로팔랑곱시스 옵스큐라 ( Prophalangopsis obscura)는 이상한 이름만큼이나 이상한 곤충으로 매우 희귀한 메뚜기목 곤충입니다. 친척인 여치나 메뚜기와는 오래전 갈라진 독자 그룹으로 매우 큰 날개를 지니고 있으며 인도와 티벳의 고산 지대에 사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일한 표본은 수컷 성체로 2005년에 암컷으로 생각되는 2마리가 추가로 발견되긴 했으나 정확히 같은 종인지는 다소 미지수인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확실한 표본은 수컷 성체 한 마리가 전부인 미스터리 곤충인 셈입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그 형태를 볼 때 이들 역시 울음 소리를 통해 짝짓기에서 암컷을 유인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높은 고산 지대에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곤충이기 때문에 낮은 피치의 울음 소리를 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런 소리는 암컷 만이 아니라 박쥐도 잘 듣는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들은 중생대 쥐라기 부터 존재했던 그룹으로 당시에는 박쥐가 없어 이런 방식이 잘 통했을 것입니다.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