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uvuuia deserti artist's reconstruction. Credit: Viktor Radermaker)
(Prof. Jonah Choiniere holding a 3D printed model of the lagena of Shuvuuia deserti. Credit: Wits University)
많은 생물들이 살아남기 위해 생태계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입니다. 그런데 사실 경쟁에서 이기는 것만이 성공 비결은 아닙니다. 경쟁을 피해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개척해 성공을 거두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주로 밤에 사냥하면 낮에 사냥하는 다른 포식자와 경쟁을 피할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많은 육식동물이 밤에 사냥하지만, 조류는 예외입니다.
대부분의 조류는 낮에 사냥하는데, 아무래도 비행이라는 행위 자체가 충돌 위험성이 큰 만큼 야간 비행은 위험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올빼미처럼 밤에 사냥하는 조류는 소수에 불과합니다. 밤 하늘은 초음파를 사용하는 박쥐의 주 무대입니다. 그런데 새와 가장 가까운 수각류 공룡은 어땠을까요?
남아프리카 공화국 비트바테르스란트대학교의 요나 코이니어 (Jonah Choiniere from the University of Witwatersrand)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수각류 공룡과 현생 조류 100종의 두개골 CT 스캔 결과를 분석해서 내이(inner ear)와 눈의 크기를 조사했습니다. 밤에 사냥하는 조류는 저조도 환경에서 많은 빛을 모으기 위해 눈이 커지고 청각에 대한 의존도가 커지기 때문에 내이 가운데 라제나 (lagena, 포유류의 와우관에 해당)이 길어지는 변화가 일어납니다.
분석 결과 영화 쥐라기 공원과는 달리 티라노사우루스과나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 공룡들은 주로 낮 시간대에 사냥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밤에도 좋은 기회가 있다면 사냥을 피하진 않았겠지만, 밤 눈이 별로 밝지도 않고 귀도 평균보다 좀 좋은 정도여서 주로는 낮에 사냥했을 것입니다.
연구팀은 전혀 예상치 않았던 한 소형 수각류에서 야행성의 증거를 찾아냈습니다. 바로 칠면조나 닭 크기 소형 수각류인 슈부이아 (Shuvuuia)입니다. 몽골어로 사막 새라는 뜻의 슈부이아는 7500만년 전 몽골 지역에서 살던 소형 수각류로 긴 뒷다리와 매우 독특하게 생긴 하나의 손가락을 지녔으며 전체 외형은 날지 못하는 새처럼 생긴 이상한 공룡이었습니다.
슈부이아의 공막 고리뼈 (scleral ring, 눈을 지지하는 뼈)를 분석한 결과 이 공룡이 지금까지 알려진 것 중 몸 크기에 비해 가장 큰 동공을 지녔음을 확인했습니다. 또 라제나의 크기는 뭔가 오류가 있었던 게 아닐까 생각될 정도로 길었습니다. 다시 말해 슈부이아는 밤 눈이 매우 좋고 귀도 대단히 좋아서 밤에 사냥하는데 유리했습니다. 로드러너 같은 긴 뒷다리와 굴을 파는데 적합한 앞다리를 종합하면 슈부이아는 밤에 곤충이나 작은 동물을 빠르게 추적해 사냥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야행성 공룡이 존재했다는 것은 공룡의 다양성을 생각했을 때 크게 놀라운 일은 아닙니다. 많은 공룡들이 경쟁을 피해 다양한 생태학적 위치를 차지했을 것입니다. 야행성에 특화된 올빼미 같은 공룡이 없었다면 사실 더 놀라운 일일 것입니다.
여담이지만, 복원도만 보면 지금까지 본 공룡 가운데서 가장 못생긴 축에 속하는 것 같습니다. 정말 저렇게 만들다 만 것처럼 생겼을까 하는 의구심도 생깁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21-05-shuvuuia-dinosaur-dark.html
J.N. Choiniere el al., "Evolution of vision and hearing modalities in theropod dinosaurs ," Science (2021). science.sciencemag.org/cgi/doi … 1126/science.abe7941
https://en.wikipedia.org/wiki/Shuvuuia
슈부이아는 그림만 봐서는 귀여운 것도 같네요. 사냥의 레드 오션을 피해 블루 오션을 개척한 선구안을 가진 공룡이군요.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