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는 완전식품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 산업화 이전에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기 힘들었던 시기에 많은 지역에서 심각한 영양실조를 막고 균형있는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식품이기도 했습니다. 역사적으로 비타민 D 가 특히 그런 영양소였는데 이것이 모자란 경우 구루병 (Rickets) 이라는 뼈에 문제가 생기는 질병이 생깁니다. 보통 우유에는 비타민 D 는 물론 칼슘까지 포함되어 (최근에는 이 두가지를 강화한 우유들이 많음) 있어서 햇빛을 충분히 쬐기 어렵고 다른 칼슘 공급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귀중한 영양소 역할을 했습니다.
앞서 포스팅에서도 소개했듯이 인간은 포유류 중에서 유일하게 성체가 되도 우유를 소화시킬 수 있는 락타아제 지속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들은 이와 같은 인류의 능력이 가축을 가진 집단에서 우유를 소화시키는 것이 생존에 이득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즉 적자 생존의 법칙을 생각하면 당연히 우유를 소화시키는 능력이 생존에 득이 되는 집단에서는 이런 능력을 지닌 개체가 번성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죠. (http://jjy0501.blogspot.kr/2014/01/The-Origin-of-Lactase-persistence.html 및 http://jjy0501.blogspot.kr/2014/03/convergent-evolution-of-milk-digestion.html 참조)
따라서 우유가 좋은 식품임에는 분명하겠지만 과연 어디까지 섭취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꽤 있어왔습니다. 2010 년 미국 식품 가이드라인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10) 은 9 세 이상에서 무지방 혹은 저지방 우유 3 컵 정도를 권장 기준이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대략 한컵이 200 g, 작은 우유팩 한개 정도) 여기에는 우유를 정기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심혈관 질환 및 2형 당뇨, 그리고 혈압을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는 증거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포화지방산이 많기 때문에 저지방유를 권장)
(우유 한컵. public domain image)
단 우유 섭취량이 많은 경우 과연 해로울 수 있는지 아닌지에 대해서는 이전부터 논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런 논란에 기름을 부을 만한 연구가 최근 British Medical Journal (BMJ) 에 발표되었습니다. 스웨덴에서 진행된 대규모 코호트 연구인데 61433 명의 여성 (39 세에서 74 세까지) 과 45339 명의 남성 (45 세에서 79 세) 를 대상으로 한 연구입니다.
이 연구에서 중점을 둔 것은 우유 섭취와 골절의 관계로 특히 고령층에서 골절이 심각한 문제가 되기 때문에 진행된 연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우유를 많이 마시면 칼슘과 비타민 D 를 충분하게 섭취할 수 있으므로 골절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결과는 오히려 반대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여성에서 하루 한잔 이상의 우유 섭취가 골절을 예방하지 못한 것은 물론 이유는 확실치 않지만 사망률 증가와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3 잔 이상 우유를 섭취하는 여성은 1 잔 이하로 마시는 여성 대비 사망 위험도가 1.93 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우유 과다 섭취와 골절 사망률의 증가는 여성에서는 분명했지만 남성에서는 증가 정도가 다소 미미했습니다.
아무튼 이 연구 결과는 꽤 논쟁의 여지가 있는 것이 이전 연구들이 결과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과거 연구에서 우유를 많이 섭취하는 경우 특정한 암 (예를 들어 전립선 암) 이 증가할 수 있다는 보고들이 있었으나 아직 여기에 대해서 확실한 결론이 나지는 않은 상태입니다. 심혈관 질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여기에는 인종적 차이 뿐 아니라 지역이나 문화권에 따라서 우유와 우유를 이용한 유제품의 섭취 패턴이 다르고 지역별로 식생활 습관과 환경이 다른 것이 한가지 요인이라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아무튼 이 연구는 과량으로 우유를 섭취할 경우 좋지 않다는 주장을 뒷받침 하는 셈인데 다른 과거의 코호트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한다면 아직 어떤 한가지 결론을 내리기는 이른 상태입니다. 결론을 내리기 위해서는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이죠.
한편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을 설명할 메카니즘으로 우유에 포함된 갈락토스 (galactose) 같은성분을 지목했느데 동물실험에서 염증 및 산화 스트레스의 생물학적 표지자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ory biomarkers) 의 증가가 관측된 바 있습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인간에서도 이와 같은 결과가 얻어져 주목됩니다.
더 주목할 만한 일은 요거트 같은 발효 유제품의 경우 골절이나 사망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이것은 발효된 제품에는 젖당 (lactose, 글루코스 1 몰과 갈락토스 1 몰로 구성된 이당류로 이름처럼 포유류의 젖에 다량 분포) 이 별로 없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될 수 있습니다. 다만 여기에 대해서도 더 연구는 필요할 것입니다.
아무튼 이 연구 하나로 실제로 하루 3 잔 정도 우유 섭취가 해롭다고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현재까지 각 코호트 연구들과 메타 분석들이 일치된 결론을 얻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참고
Journal References:
- K. Michaelsson, A. Wolk, S. Langenskiold, S. Basu, E. Warensjo Lemming, H. Melhus, L. Byberg. Milk intake and risk of mortality and fractures in women and men: cohort studies. BMJ, 2014; 349 (oct27 1): g6015 DOI:10.1136/bmj.g6015
- C. M. Schooling. Milk and mortality. BMJ, 2014; 349 (oct27 1): g6205 DOI:10.1136/bmj.g6205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