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이 육지를 지배하던 중생대에 바다에는 다른 생물들이 번성했습니다. 어룡이라는 번역 때문에 종종 공룡의 일부라는 오해를 받기도 하는 어룡류 (ichthyosaur) 는 마치 돌고래나 고래를 닮은 외형을 지닌 바다 파충류였습니다. 이들은 중생대의 초기인 트라이아이스기 초기 공룡과 함께 바다에 등장하여 중생대의 바다에서 번영을 누렸지만 백악기에 이르러 알수 없는 이유로 공룡보다 먼저 세상에서 자취를 감췄습니다. 그래도 1억 5000 만년이 넘는 세월을 번성한 성공적인 바다 파충류라는 사실은 변함이 없죠.
그런데 이 어룡의 조상은 고래의 조상과 마찬가지로 사실 네발 짐승이었을 것입니다. 과학자들은 네발로 걷던 어룡의 조상이 어떻게 바다 생활에 적응했는지 궁금해왔습니다. 과연 고래의 진화와 비슷한 과정을 겪었을까요. 혹시 물개 처럼 물과 육지를 오가면서 생활할 수 있었던 단계가 있을까요. 여기에 대해서 대답을 줄 수 있는 화석이 최근 발견되었습니다.
캘리포니아 대학의 료스케 모타니 교수 (Ryosuke Motani, a professor in the UC Davis Department of Earth and Planetary Sciences) 와 그의 동료들은 중국의 연구자들과 함께 안후이성에서 발견된 초기 어룡의 화석을 보고했습니다. 이 화석은 트라이아이스기의 새벽이 밝아오던 2억 4800 만년전의 것으로 1.5 피트 (약 46 cm) 에 불과한 몸길이를 가지고 있지만 거의 완벽하게 보존되어 그 가치가 매우 높은 화석입니다.
(새롭게 발견된 어룡 화석 Fossil remains show the first amphibious ichthyosaur found in China by a team led by a UC Davis scientist. Its amphibious characteristics include large flippers and flexible wrists, essential for crawling on the ground. Credit: Ryosuke Motani/UC Davis )
연구팀은 이 화석을 복원하여 어룡의 조상이 어떤 모습이었는지를 복원했습니다. 그 결과 이 동물은 앞다리를 지금의 물개처럼 이용해서 땅에서도 움직일 수 있는 형태였던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즉 육지에서도 조금은 움직일 수 있는 형태로 이제 막 물로 들어가기 전 상태라는 것이죠. 이렇게 양서형 어룡 (amphibious ichthyosaur) 이번에 처음 발견된 것이라고 합니다.
(새로운 복원도 This illustration shows what a newly discovered amphibious ichthyosaur may have looked like when it was alive some 248 million years ago. Credit: Stefano Broccoli/University of Milan)
사실 생명의 역사에서 바다에서 물로 나온 것이 매우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긴 하지만 (만약 최초의 양서류가 없었다면 공룡도 새도 그리고 결정적으로 인류의 진화도 없었겠죠) 이렇게 육지로 나온 동물들은 여러차례 다시 물로 들어갔습니다. 바다가 훨씬 안정적이고 풍요로운 삶의 터전을 제공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전혀 놀랍지 않은 일이죠. 파충류는 물론 포유류, 조류 까지 다시 물에서의 삶으로 귀화했습니다.
참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