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서피스 고 2, 서피스 북 3, 그리고 액세서리를 업데이트한 마이크로소프트


(출처; 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가 서피스 고 2를 선보였습니다. 서비스 고 2는 Pentium Gold 4425Y (Amber Lake-Y)와 4GB 메모리 64GB eMMC, 그리고 10.5인치 1920 x 1280 디스플레이 기본 모델이 399달러로 (타입 키보드 99달러는 별도) 마이크로소프트의 서피스 제품군에서 가장 저렴합니다. 전작에 비해 디스플레이를 조금 키운 것 빼고는 큰 변화는 없습니다. 




 다만 새롭게 Core m3-8100Y (Amber Lake-Y) 버전을 추가해 성능을 높인 버전을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문제는 가격도 그만큼 비싸져서 8GB/128GB + Core m3 버전은 629달러입니다. 참고로 8GB/128GB + 펜티엄 골드 가격은 549달러로 둘 사이의 성능차를 고려하면 Core m3 버전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다른 건 다 그렇다쳐도 기왕이면 eMMC 기본 128GB를 넣어주면 더 좋았을 텐데 아쉽네요. 지금 갤럭시 북 10.6을 쓰는 입장에서 64GB는 윈도우 태블릿에 너무 작은 용량 같습니다. 


CPU
Intel Pentium Gold 4425Y (Amber Lake-Y)
2 core, 4 thread, 1.7 GHz base frequency 6W TDP

Optional Core m3-8100Y (Amber Lake-Y)
2 core, 4 thread, 1.1-3.4 GHz, 5W TDP
GPU
Intel HD 615
24 EUs 850 MHz (900 Core m3) boost frequency
Display
10.5-inch PixelSense
1920x1280 3:2 aspect
220 Pixels Per Inch
10-point Multitouch
Surface Pen support
Dimensions
245 x 175 x 8.3 mm
9.6 x 6.9 x 0.33 inches
Weight
544 grams (WiFi) / 553 grams (LTE)
1.20 lbs (WiFi) / 1.22 lbs (LTE)
RAM
4 or 8 GB LPDDR3-1866
Storage
64 GB eMMC
128 NVMe SSD optional
256 GB NVMe SSD (Commerical Option)
Wireless
802.11ac with Bluetooth 4.1
Qualcomm Snapdragon X16 LTE Optional
Battery
Up to 10 hours
24W Charger
Cameras
Windows Hello IR camera
5 MP Front Camera with 1080p video
8 MP Rear Camera with 1080p video
Ports
USB Type-C 3.1 Gen 1 with power delivery
Surface Connect
MicroSD
Headset
Price
Starting at $399 USD
(서피스 고 2 스펙. 출처: 아난드텍) 



(Surface Go 2 first look: 3 big upgrades. 더 버지) 


(출처: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 북 3 역시 전작에서 스펙을 약간 업데이트 했습니다. 메모리와 SSD를 업데이트 하고 Quadro RTX 3000라는 새로운 GPU 옵션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신 10세대 코어 프로세서를 지닌 13.5인치 기본 모델은 1599달러부터 시작하며 GTX 1650 Max-Q 4GB를 탑재한 13.5인치 모델은 1999달러, GTX 1660Ti Max-Q 6GB를 탑재한 15인치 모델은 2299달러입니다. 쿼드로 탑재모델은 무려 3499달러입니다. 



13.5 No GPU
13.5 GPU
15
CPU
Intel Core i5-1035G7
Quad-Core w/Hyperthreading
1.2-3.7 GHz 6MB Cache 15W TDP
Intel Core i7-1065G7
Quad-Core w/Hyperthreading
1.3-3.9 GHz 8MB Cache 15W TDP
RAM
Up to 32GB LPDDR4X
GPU
Intel Iris Plus G7
Intel Iris Plus G7 + NVIDIA GTX 1650 Max-Q 4GB
Intel Iris Plus G7 + NVIDIA GTX 1660Ti Max-Q 6GB
Storage
fastest SSD we have ever shipped
Display
13.5" PixelSense
3000x2000 3:2 sRGB
Touch and Pen enabled
15" PixelSense
3240x2160 3:2 sRGB
Touch and Pen enabled
Networking
Wi-Fi 6 802.11ax
Bluetooth 5.0
Audio
Stereo Speakers (front facing)
Dolby Audio Premium
Battery
Up to 15.5 Hours
Up to 17.5 Hours
Xbox Wireless
No
Yes
Right Side
Surface Connect
USB Type-C 3.1 Gen 1 with USB Power Delivery
Headset Jack
Left Side
2 x USB 3.0 Type-ASD Card Reader
Dimensions
312 x 232 x 13-23mm
12.3 x 9.14 x 0.51-0.90 inches
343 x 251 x 15-23 mm
13.5 x 9.87 x 0.57-0.90 inches
Weight
1.53 kg
3.38 lbs
1.64 kg
3.62 lbs
1.90 kg
4.2 lbs
Cameras
8.0 MP Rear-facing camera with autofocus
5.0 MP front-facing camera with 1080p video
Windows Hello IR camera
Pricing
Starting at $1599 USD
(서피스 북 3 스펙. 출처: 아난드텍)



(Surface Book 3 Review & Design Specs)


 마이크로소프트는 서피스 헤드폰과 이어버드 액세서리도 같이 공개했습니다. 각각 249달러와 199달러입니다. USB-C 허브인 서피스 독 2도 액세서리로 같이 출시됩니다. 다소 아쉬움이 있는 스펙 업그레이드이지만, 하드웨어 명가 (?) 마이크로소프트의 명성을 이어갈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

사막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온실 Ecodome

 지구 기후가 변해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비가 더 많이 내리지만 반대로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도 생기고 있습니다. 일부 아프리카 개도국에서는 이에 더해서 인구 증가로 인해 식량과 물이 모두 크게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막 온실입니다.   사막에 온실을 건설한다는 아이디어는 이상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사막 온실이 식물재배를 위해서 시도되고 있습니다. 사막 온실의 아이디어는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사막 환경에서 작물을 재배함과 동시에 물이 증발해서 사라지는 것을 막는데 그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사막화가 진행 중인 에티오피아의 곤다르 대학( University of Gondar's Faculty of Agriculture )의 연구자들은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장치를 결합한 독특한 사막 온실을 공개했습니다. 이들은 이를 에코돔( Ecodome )이라고 명명했는데, 아직 프로토타입을 건설한 것은 아니지만 그 컨셉을 공개하고 개발에 착수했다고 합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사막에 건설된 온실안에서 작물을 키움니다. 이 작물은 광합성을 하면서 수증기를 밖으로 내보네게 되지만, 온실 때문에 이 수증기를 달아나지 못하고 갖히게 됩니다. 밤이 되면 이 수증기는 다시 응결됩니다. 그리고 동시에 에코돔의 가장 위에 있는 부분이 열리면서 여기로 찬 공기가 들어와 외부 공기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에코돔 내부로 들어옵니다. 그렇게 얻은 물은 식수는 물론 식물 재배 모두에 사용 가능합니다.  (에코돔의 컨셉.  출처 : Roots Up)   (동영상)   이 컨셉은 마치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담수 장치를 합쳐놓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도 잘 작동할지는 직접 테스트를 해봐야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