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a singular Campylobacter jejuni bacterium taken at 2200x magnification. Credit: University of Sheffield)
현대 농축산업은 매우 집약적인 방식으로 재배와 사육이 이뤄지며, 동시에 재배되거나 사육되는 작물과 가축의 유전적 다양성은 적습니다. 같은 품종의 작물과 가축을 밀집해서 재배하다 보니 유전적 다양성은 적고 밀도는 높아 전염병에 매우 취약한 구조입니다. 이로 인해 전염병이나 해충 피해에 매우 취약해 계속해서 사람이 관리해주지 않으면 살 수 없는 생물체들이 되었습니다.
영국 바스 대학 및 셰필드 대학 (Universities of Bath and Sheffield)의 연구팀은 선진국에서 식중독의 중요한 원인균 중 하나인 캄필로박터 제주니 Campylobacter jejuni 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런 집약적 축산업이 인간에게 전염병 위험도를 높일 수 있음을 경고했습니다. 본래 캄필로박터는 새에 흔한 세균으로 이들에게는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캄필로박터는 가축에게도 흔해서 전 세계 소의 20%의 분변에서 검출되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소의 캄필로박터의 유전자를 조사해 이 세균이 가축화된 소를 자연 숙주로 살아가는 형태로 진화했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20세기 들어 소의 사육 두수는 급격히 증가했고 소의 유전적 다양성은 감소한 반면 밀집 사육이 대세가 되어 캄필로박터를 비롯한 세균이 증식하는 데 이상적인 조건이 마련된 것입니다.
초식 동물인 소는 본래 먹이를 분해하기 위해 많은 세균과 함께 살아가고 있으며 많은 양의 배설물을 내놓는데, 사람과 마찬가지로 대변의 상당 부분이 세균입니다. 물론 이 세균의 대부분은 무해하지만, 여기서 사람으로 전파되어 캄필로박터처럼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이 나올 가능성은 충분합니다. 코로나 19 때문에 박쥐 같은 야생 동물 전파 질환의 위험성이 부각되고 있지만, 사실 우리가 키우는 가축도 만만치 않은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현재의 사육 방식을 모두 변경할 순 없습니다. 식량은 귀중한 자원이고 소수 품종의 밀집 사육을 포기하면 가격이 급등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가축에 항생제를 남용하면서 가축에서 항생제 내성 세균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규모 집단 사육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새로운 세균이 진화하고 있는 만큼 여기에 대한 대비책도 필요합니다.
항생제 사용은 줄이고 병원성 세균이 사람으로 옮겨가지 못하게 (가축에게는 무해해도 사람에게 해를 입힐 수 있음) 하기 위해 관련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습니다. 동시에 미지의 세균과 바이러스를 지닌 야생 동물과의 과도한 접촉 역시 피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코로나 19 사태를 통해 우리는 세균과 바이러스의 위험성에 대해 다시 인식했습니다.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전방위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참고
Evangelos Mourkas el al., "Agricultural intensification and the evolution of host specialism in the enteric pathogen Campylobacter jejuni," PNAS (2020). www.pnas.org/cgi/doi/10.1073/pnas.1917168117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