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 ensure the best coverage of our solar system, MIT Assistant Professor Richard Linares envisions a constellation of "statites" that communicate and work together, only activating the statite in the optimum position to fly by or rendezvous with an interstellar object. Credit: MIT)
오무아무아나 보리소프 같은 외계 천체는 빠른 속도로 태양을 스쳐 지나갑니다. 따라서 우연히 지구 가까이 오지 않는 이상 자세한 관측이 어렵습니다. 과학자들은 이런 인터스텔라 천체가 지구에 근접할 경우 탐사선을 보내 근접 관측하는 인터셉터 형태의 탐사 프로젝트를 생각하고 있으나 이 천체들의 빠른 속도를 생각하면 우주에 대기하고 있는 탐사선이라고 해도 쉽지 않은 일입니다.
MIT의 리처드 리나레스 교수 (Richard Linare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AeroAstro))는 한 가지 색다른 제안을 했습니다. 바로 스타티트 (statite)라는 새로운 방식의 탐사선입니다. 스타티트는 정지 (static)과 위성 (satellite)을 합친 용어로 정확히 말하면 궤도를 공전하는 위성이 아니라 위성 궤도에서 솔라세일을 이용해 고정된 위치에 있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를 테면 태양풍을 이용한 연(kite)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면서도 지구 정지 궤도 위성처럼 고정된 궤도나 속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스타티트는 현재까지 실용화된 적이 없지만, 리나레스 교수는 태양 가까운 위치에 태양풍이 충분한 곳이라면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스타티트 형태로 대기하고 있던 탐사선은 인터스텔라 천체가 태양 주변을 지나갈 때 솔라 세일을 떼어버리고 태양으로 낙하하면서 속도를 얻습니다. 태양계를 탈출할만큼 충분한 속도를 얻지 못해도 인터스텔라 천체에 가까이만 다가갈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문제 없습니다.
리나레스 교수는 나사의 NASA Innovative Advanced Concepts (NIAC) 프로그램에 참여해 연구를 지원받고 있습니다. 참신한 아이디어지만, 이제까지 검증된 적이 없기 때문에 실제 발사까지 가능할지는 아직 장담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아무튼 꽤 기발한 아이디어인 점은 분명합니다.
참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