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항생제 내성을 빠르게 확인하는 바이오칩



(The NAAT platform architecture; a) the closed tube system contains a fluid chamber affixed to a DNA biosensor array, the chamber can receive microbial nucleic acid (NA) extracts and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reagents for solution-phase amplification. The DNA capture probes in close affinity to the amplified regions of interest (ROI) in the microbial genome will functionalize individual biosensor pixels in the system, b) each ROI is amplified via PCR to generate amplicons, c) the amplicons bind to specific capture probes on pixels during real-time hybridization (HYB). Thermodynamic stability of these associations is tested with melting curve analysis (MCA)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wild-type and mutant strain signature. Credit: Nature Biotechnology, doi:10.1038/nbt.4179)


(Structure of the biochip and inbuilt components: a) the disposable NAAT module includes a fluidic cap with inlet and outlet ports to b) encapsulate the CMOS biochip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c) the biosensor pixels (red highlight) are arranged in a 32 x 32 (1024) array, d) each biosensing pixel is housed with a photodiode, heaters and detectors. Credit: Nature Biotechnology doi: doi:10.1038/nbt.4179)

(Structure of the biosensor pixels: a) the IFT probes contain a modular linker and a dual-fluorophore label (FAM-TAM) to recognize the PCR amplicon analytes, b)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3D stack of the biosensor pixel with localized IFT probes, and b)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derived cross-section with emission filters, heater, photodiode and detector of a single pixel fabricated on silicon. Credit: Nature Biotechnology doi: doi:10.1038/nbt.4179)


 항생제 내성은 21세기 인류를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항생제 내성 발현을 줄이기 위해서는 결국 항생제 사용을 줄여야 하지만, 노인 인구 증가와 신흥국에서의 의료 서비스 수요 증가 등 여러 가지 요소가 결합해 항생제 사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실제 의료 현장에서는 어쩔 수 없이 항생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내성균에 의한 감염인지 바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로 내성균에도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를 자주 사용하게 되고 이것이 다시 내성을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항생제를 점점 줄어들게 만드는 이유가 됩니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항생제 내성을 바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항생제 내성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내성균이 지닌 유전자를 확인해 특정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세균을 배양해서 내성을 확인하는 방법은 수일 정도 시간이 필요하지만, 유전자를 이용한 nucleic acid amplification tests (NAATs) 방식은 수시간 이내로 결과를 알려줍니다. 하지만 하나의 세균이라도 유전자는 많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최근 미국의 InSilixa, Inc. (Sunnyvale, California, USA) 의 연구팀은 CMOS 센서와 통합된 일회용 반도체 센서를 통해 검체에서 여러 유전자를 빠르게 확인하는 기술을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발표했습니다. 이 반도체 센서 어레이는 각각 임베디드 photodiode, heater, detector로 구성돼 있으며 32x32 (1024)개의 센서가 존재합니다. 검체에서 미생물의 유전자를 분리 후 PCR을 통해 증폭하고 이후 면역 형광법을 이용해서 특정 염가 서열을 찾는 원리입니다. 현재 기기로는 50개 이상의 항생제 내성 관련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습니다. 


 이 회사는 바이오칩을 이용해서 2시간 이내에 빠른 세균 동정 및 항생제 내성 확인이 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비용이 저렴하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보여준다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지만, 역시 임상에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무튼 비슷한 개념의 신속 세균 동정 및 항생제 내성 균주 검사법이 한창 개발 중이어서 결국 가까운 미래에 임상에서 보게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참고 


Multiplexed identification, quantification and genotyping of infectious agents using a semiconductor biochip www.nature.com/articles/Nbt.4179 Hassibi et al, 16 July 2018, Nature Biotechnology

Evaluation of Oxford Nanopore's Minion Sequencing Device for Microbial Whole Genome Sequencing Applications www.nature.com/articles/s41598-018-29334-5 Tyler et al, 19 July 2018

World Health Organization Department of Communicable Disease Surveillance and Response. WHO Global Strategy for Containment of Antimicrobial Resistance (Health Organization, Geneva, 2001) www.who.int/drugresistance/WHO … Strategy_English.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antimicrobial resistance surveillance system (GLASS) report, Early implementation 2016-2017 www.who.int/glass/resources/pu … mentation-report/en/

Better tests, better care: improved diagnostics for infectious diseases www.ncbi.nlm.nih.gov/pubmed/24200831 Caliendo et al, 2013, Oxford Academic,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Molecular mechanisms of antibiotic resistance www.ncbi.nlm.nih.gov/pubmed/25435309 Blair et al, 2015, Nature Reviews Microbiology.

A CMOS Electromechan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Biosensor Array ieeexplore.ieee.org/document/5625928/ Manickam et al, 2010,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Circuits and Systems.

Comparative advantages of mechanical biosensors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839312/ Arlett et al, 2013, Nature Nanotechnology.

A Fully Integrated CMOS Fluorescence Biochip for DNA and RNA testing ieeexplore.ieee.org/document/8082158/ Manickam et al, 2017, IEEE Journal of Solid-State Circuits.

Preparation of electrode-immobilized, redox-modified oligonucleotides for electrochemical DNA and aptamer-based sensing www.ncbi.nlm.nih.gov/pubmed/18007622 Xiao et al, 2007, Nature Protocol.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

150년 만에 다시 울린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

  ( The katydid Prophalangopsis obscura has been lost since it was first collected, with new evidence suggesting cold areas of Northern India and Tibet may be the species' habitat. Credit: Charlie Woodrow, licensed under CC BY 4.0 ) ( The Museum's specimen of P. obscura is the only confirmed member of the species in existence. Image . Credit: The Trustees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  과학자들이 1869년 처음 보고된 후 지금까지 소식이 끊긴 오래 전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를 재현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프로팔랑곱시스 옵스큐라 ( Prophalangopsis obscura)는 이상한 이름만큼이나 이상한 곤충으로 매우 희귀한 메뚜기목 곤충입니다. 친척인 여치나 메뚜기와는 오래전 갈라진 독자 그룹으로 매우 큰 날개를 지니고 있으며 인도와 티벳의 고산 지대에 사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일한 표본은 수컷 성체로 2005년에 암컷으로 생각되는 2마리가 추가로 발견되긴 했으나 정확히 같은 종인지는 다소 미지수인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확실한 표본은 수컷 성체 한 마리가 전부인 미스터리 곤충인 셈입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그 형태를 볼 때 이들 역시 울음 소리를 통해 짝짓기에서 암컷을 유인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높은 고산 지대에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곤충이기 때문에 낮은 피치의 울음 소리를 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런 소리는 암컷 만이 아니라 박쥐도 잘 듣는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들은 중생대 쥐라기 부터 존재했던 그룹으로 당시에는 박쥐가 없어 이런 방식이 잘 통했을 것입니다.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