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선형 회귀 분석 (3)


 앞서의 예제에서 SSE/SSR/SST 를 구하는 것은 간단합니다. 그냥 공식에 대입하면 되는 것이죠. 공식에 대해서는 통계학 서적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 yhat=beta0+beta*x
> SST=sum((y-ymean)^2)
> SSR=sum((yhat-ymean)^2)
> SSE=sum((y-yhat)^2)
> SST;SSR;SSE
[1] 9174.896
[1] 8314.219
[1] 860.6765


 SSE의 경우 더 간단하게 구할 수도 있습니다. 


> deviance(model) #SSE
[1] 860.6765


 하지만 사실 SSE/SSR/SST 값은 통계 학습 시간에는 중요하게 다루더라도 실제 분석 결과로 나타내는 경우는 드물 것입니다. 주로 논문에서 결과값으로 표기하는 것은 회귀계수인 베타 값과 R^2 값, P 값일 것입니다. F 통계량을 포함 이 값들을 구하는 것 역시 공식에 대입해 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 R2=SSR/SST 
> Fval=SSR /(SSE/(length(y)-2)) 
> Pval=1-pf(Fval,1,(length(y)-2)) 
> c(R2,Fval,Pval)
[1]   0.9061922 463.6847041   0.0000000

 R2가 R^2 값, Fval 가 F 통계량, Pval는 P 값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P값은 0이 될 수 없으므로 P<0 .001="" nbsp="" span="" summary="">


> set.seed(1234)
> x<-rnorm span="">
> set.seed(4567)
> b<-rnorm span="">
> y=3*x+b
> model=lm(y~x)
> summary(model)

Call:
lm(formula = y ~ x)

Residuals:
    Min      1Q  Median      3Q     Max 
-9.4838 -2.9000 -0.0445  2.4240  7.9616 

Coefficients:
            Estimate Std. Error t value Pr(>|t|)    
(Intercept)  26.6162    13.3737    1.99   0.0523 .  
x             2.9436     0.1367   21.53   <2e-16 span="">
---
Signif. codes:  0 ‘***’ 0.001 ‘**’ 0.01 ‘*’ 0.05 ‘.’ 0.1 ‘ ’ 1

Residual standard error: 4.234 on 48 degrees of freedom
Multiple R-squared:  0.9062, Adjusted R-squared:  0.9042 
F-statistic: 463.7 on 1 and 48 DF,  p-value: < 2.2e-16



 p-value: < 2.2e-16라는 표현은 P값이 매우 작다는 의미로 통상적인 논문에서는 P<0 -16="" .001="" 10="" e-16="" nbsp="" p="" r="" span="">


 summary로 주어지는 결과값 해석에서 중요한 것은 Std. Error 입니다. 모델에서 예측된 Y의 값은 실제 값과 근사할 뿐이지 동일하지는 않습니다. 모델에서 예측한 Y값의 분포는 정규 분포를 따르는 추정값입니다. 따라서 그 표준오차나 신뢰구간을 같이 표기해 주어야 합니다. 각각의 값을 보기 위해서는 R에서 predict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edict(model, se.fit = TRUE)로 지정합니다. 


> predict(model, se.fit = TRUE)
$fi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303.2101 325.0589 336.9365 286.4518 327.2915 328.4238 312.5167 312.9304 312.6681 307.8761 313.9524 306.2815 309.5508 321.9244 335.0975 319.3525 313.4547 307.5647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08.6542 356.5319 322.9492 313.7538 314.4917 327.7399 310.7655 299.6610 329.4349 305.9095 320.7529 307.2004 337.1993 313.9759 310.5342 313.5982 296.9987 303.7907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288.8899 301.2390 316.6443 314.1186 342.3093 305.2474 308.3864 316.8455 306.3410 306.7211 304.6782 302.5490 313.2660 313.6631 

$se.fit
 [1] 0.7900740 0.7796783 1.2095243 1.4255037 0.8498136 0.8878956 0.6045932 0.6022509 0.6036660 0.6691963 0.5990721 0.7053692 0.6382907 0.6955081 1.1361123 0.6430417
[17] 0.6001537 0.6757746 0.6538689 2.0502812 0.7208775 0.5993971 0.5989059 0.8647123 0.6210265 0.9062366 0.9231075 0.7146463 0.6694802 0.6837787 1.2201431 0.5990430
[33] 0.6239585 0.5997506 1.0023683 0.7727572 1.3236075 0.8526127 0.6085967 0.5989092 1.4316499 0.7318804 0.6589602 0.6103320 0.7039117 0.6947964 0.7473906 0.8104356
[49] 0.6007956 0.5995926

$df
[1] 48

$residual.scale
[1] 4.234473




 값이 많아서 눈에 잘 들어오지 않을 수 있지만, Yhat에 해당하는 값과 표준편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303.2101와 0.7900740) 신뢰구간을 보고자 한다면 interval 인자를 주면 됩니다. lwr가 신뢰구간의 하한값, upr가 상한값이며 기본은 95%입니다. 


> predict(model, interval =  "confidence")
        fit      lwr      upr
1  303.2101 301.6216 304.7987
2  325.0589 323.4912 326.6265
3  336.9365 334.5046 339.3684
4  286.4518 283.5856 289.3179
5  327.2915 325.5829 329.0002
6  328.4238 326.6386 330.2090
7  312.5167 311.3011 313.7323
8  312.9304 311.7195 314.1413
9  312.6681 311.4543 313.8818
10 307.8761 306.5306 309.2216
11 313.9524 312.7479 315.1569
12 306.2815 304.8632 307.6997
13 309.5508 308.2674 310.8342
14 321.9244 320.5260 323.3228
15 335.0975 332.8132 337.3818
16 319.3525 318.0596 320.6454
17 313.4547 312.2480 314.6613
18 307.5647 306.2060 308.9235
19 308.6542 307.3395 309.9689
20 356.5319 352.4095 360.6543
21 322.9492 321.4998 324.3986
22 313.7538 312.5486 314.9590
23 314.4917 313.2875 315.6959
24 327.7399 326.0013 329.4785
25 310.7655 309.5169 312.0142
26 299.6610 297.8389 301.4832
27 329.4349 327.5789 331.2910
28 305.9095 304.4727 307.3464
29 320.7529 319.4068 322.0990
30 307.2004 305.8256 308.5752
31 337.1993 334.7460 339.6525
32 313.9759 312.7715 315.1804
33 310.5342 309.2796 311.7887
34 313.5982 312.3923 314.8041
35 296.9987 294.9833 299.0141
36 303.7907 302.2370 305.3444
37 288.8899 286.2286 291.5512
38 301.2390 299.5247 302.9533
39 316.6443 315.4206 317.8679
40 314.1186 312.9144 315.3228
41 342.3093 339.4308 345.1879
42 305.2474 303.7759 306.7190
43 308.3864 307.0615 309.7114
44 316.8455 315.6183 318.0726
45 306.3410 304.9257 307.7563
46 306.7211 305.3241 308.1181
47 304.6782 303.1755 306.1809
48 302.5490 300.9195 304.1785
49 313.2660 312.0580 314.4740
50 313.6631 312.4575 314.8686


 여기까지 내용은 좀 복잡할 수 있는데, 다행히 논문에 표기하는 것은 추정된 회귀계수와 표준 편차, P값 정도면 적당합니다. 그리고 모델의 예측력을 확인하기 위해 Adjusted R-squared를 추가로 기술하는 것인데, 이 내용은 나중에 예제를 통해 다시 알아보겠습니다. 


 아무튼 여기까지 보면 summary 기능이 왜 유용한지 알 수 있습니다. summary에 나오는 내용도 복잡하긴 한데, 그래도 위의 내용들을 모두 요약해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죠. 실제로 분석을 할 때는 summary를 중심으로 진행하게 되며 여기서 설명한 내용은 각각의 값을 눈으로 확인하고 싶을 때만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그래도 여기까지는 사실 난이도가 높지 않은 부분입니다. 정말 곤란한 부분은 잔차부터 시작이라고 할 시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잘 쓰지도 않을 방법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아무래도 효율

150년 만에 다시 울린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

  ( The katydid Prophalangopsis obscura has been lost since it was first collected, with new evidence suggesting cold areas of Northern India and Tibet may be the species' habitat. Credit: Charlie Woodrow, licensed under CC BY 4.0 ) ( The Museum's specimen of P. obscura is the only confirmed member of the species in existence. Image . Credit: The Trustees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London )  과학자들이 1869년 처음 보고된 후 지금까지 소식이 끊긴 오래 전 희귀 곤충의 울음 소리를 재현하는데 성공했습니다. 프로팔랑곱시스 옵스큐라 ( Prophalangopsis obscura)는 이상한 이름만큼이나 이상한 곤충으로 매우 희귀한 메뚜기목 곤충입니다. 친척인 여치나 메뚜기와는 오래전 갈라진 독자 그룹으로 매우 큰 날개를 지니고 있으며 인도와 티벳의 고산 지대에 사는 것으로 보입니다.   유일한 표본은 수컷 성체로 2005년에 암컷으로 생각되는 2마리가 추가로 발견되긴 했으나 정확히 같은 종인지는 다소 미지수인 상태입니다. 현재까지 확실한 표본은 수컷 성체 한 마리가 전부인 미스터리 곤충인 셈입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그 형태를 볼 때 이들 역시 울음 소리를 통해 짝짓기에서 암컷을 유인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높은 고산 지대에서 먼 거리를 이동하는 곤충이기 때문에 낮은 피치의 울음 소리를 냈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이런 소리는 암컷 만이 아니라 박쥐도 잘 듣는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들은 중생대 쥐라기 부터 존재했던 그룹으로 당시에는 박쥐가 없어 이런 방식이 잘 통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신생대에 박쥐가 등장하면서 플로팔랑곱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enage-girl-years-reconstructed.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