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군용 로봇의 현재와 미래 (6)




16. MULE ( Multifunction Utility/Logistics and Equipment)



 미 육군이 개발 중이 여러 UGV 중에 다목적으로 개발 중인 MULE : Multifunction Utility/Logistics and Equipment Vehicle (다목적 물류 및 기능 차량) 은 대략 2.5 톤 정도의 UGV 를 베이스로 여러가지 목적의 파생형 무인 차량을 개발하는 계획입니다. 이 중에는 전투형인 Unmanned Groud Combat Vehicle 타입도 있습니다.  


 뮬의 개발 주체는 록히드 마틴 사이며 크게 수송형과 지뢰 제거형 그리고 전투형 세가지 파생형이 연구 중에 있습니다.  



(뮬의 세가지 파생형  This work is in the public domain in the United States   )   


 그러나 이 세 파생형은 연차적으로 취소됩니다.   

 XM 1217  수송형  
 : 본래 1900 - 2400 파운드의 화물형을 탑재하려고 개발 중이었던 모델로 2009 년 12월 취소됩니다.  

 XM 1218 대지뢰형
  : 수송형 뮬에 지뢰제거 시스템을 탑재하려 했지만 역시 2009 년 12월 취소  

 XM 1219 ARV Assault Light
 :  이 파생형은 전투형 차량 시스템입니다. ARV 혹은 Armed Robotic Vehicle (무장 로봇 차량) 이라고 부르는 이 전투 차량은 C-130 이나 CH - 47 치누크, UH - 60 블랙 호크로 수송할 수 있는 2.5 무게의 무인 전투 차량으로 수색 탐사, 표적 획득등의 다양한 역활을 담당합니다. 또 컨셉 화면에서 보듯이 대전차 미사일을 탑재 대 전차전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값싸고 쉽게 수송할 수 있는 무인 전투 차량으로 적의 전차나 기타 장갑 차량을 잡을 수 있다면 아군의 인명 손실도 줄이면서 매우 효과적인 전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었습니다. 그래서인지 마지막 까지 취소되지 않다가 2011 년 7월 최종 취소됩니다.  



 (XM1219 무장 로봇 차량 the image is in the public domain.  )  




(소개 영상)  


 
(소개 영상 2.   XBOX 360 컨트롤러는 여기에도 등장)  


 이와 같은 로봇 무기들은 현재 심각한 예산 압박으로 인해 결국은 취소되는 사례가 드물지 않게 나오고 있습니다.  



 17. Protector  


 앞서 소개한 로봇들은 모두 지상형 이지만 무인 조종 무기는 하늘과 지상, 그리고 바다 모두에서 활약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 수상에서 활약하는 무인 로봇들을 USV (Unmanned Surface Vehicle) 라고 말합니다. 이런 USV 들은 여러가지 형태가 개발 중인데 그중 잘 알려진 하나를 소개한다면 이스라엘에서 도입 추진 중인 프로텍터 (Protector) 를 들 수 있습니다.  



 (1:6 모델로 전시 중인 프로텍터  CCL 에 따라 복사 허용  저자 표시  :http://aick.livejournal.com/94161.html  )  



 프로텍터는 약 9 미터 길이의 소형 보트 만한 USV 로 최대 여러 센서를 장착하여 주야간으로 작동이 가능합니다. 무장으로는 7.62 mm 기관총을 비롯 40 mm 유탄 발사기를 장착할 수 있으며 디젤 엔진과 워터젯 추진을 이용해서 최대 50 노트의 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고 제조사는 설명하고 있습니다.  


 현재 이스라엘과 싱가포르가 도입했으며 현재 미해군과 미 해안 경비대를 대상으로 판매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다큐에도 등장 가장 잘 알려진 USV 라고 할 수 있습니다.  




 18. Talisman


 탈리스만은 BAE systems 가 개발 중인 UUV (Unmanned Unterwater Vehicle) 입니다. 주 목적은 기뢰 제거 및 수색입니다. 길이 4.5 미터에 너비 2.5 미터 무게 1800 kg 정도인 무인 잠수정으로 350 미터 정도 잠수가 가능합니다. 현재 개발 중이고 아직 정식으로 도입된 국가는 없는 상태입니다.  


 UUV 는 원격으로 조종하기 힘들기 때문에 거의 자동으로 움직이는 자율형 시스템이며 만약 적의 기뢰를 발견하면 어뢰를 발사해서 파괴시키는 컨셉입니다.  














 19. 결론



 사실 여기서 소개한 것 보다 소개 못한 로봇 무기들이 많을 것입니다. 그리고 UAV 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는데 이전에 무인 공격기에 대해서 한차례 설명한 바 있고 향후에 글로벌 호크 및 X - 47, X-45 계열의 대형 UAV 들에 대해서 따로 설명할 예정이라서 일단 생략했습니다. 


 이미 UAV 의 경우 현대전에서 없어서는 안될 무기로 급성장했습니다. 그리고 향후 우리가 과거 영화나 만화에서 생각했던 것과 똑같지는 않겠지만 아무튼 비슷한 개념의 무인 무기들이 꽤 많이 등장하게 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이 전쟁의 양상을 어떻게 바꾸게 될지는 지금 속단하긴 이르지만 로봇들이 인간을 살상하는 미래라는 것은 사실 모두에게 그다지 유쾌한 일만은 아닐 것입니다. 가장 좋은 일은 이런 로봇들이 사용할 필요가 없는 미래입니다. 하지만 인류에 역사에서 그런 유쾌한 일은 좀처럼 보기 힘들었기 때문에 앞으로 점차 로봇들이나 무인화 기기 들이 더 많이 사용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도 꽤 흥미로운 무인 무기들이나 미처 소개 못한 UAV 에 대해서는 추후 소개 드리겠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세상에서 가장 큰 벌

( Wallace's giant bee, the largest known bee species in the world, is four times larger than a European honeybee(Credit: Clay Bolt) ) (Photographer Clay Bolt snaps some of the first-ever shots of Wallace's giant bee in the wild(Credit: Simon Robson)  월리스의 거대 벌 (Wallace’s giant bee)로 알려진 Megachile pluto는 매우 거대한 인도네시아 벌로 세상에서 가장 거대한 말벌과도 경쟁할 수 있는 크기를 지니고 있습니다. 암컷의 경우 몸길이 3.8cm, 날개너비 6.35cm으로 알려진 벌 가운데 가장 거대하지만 수컷의 경우 이보다 작아서 몸길이가 2.3cm 정도입니다. 아무튼 일반 꿀벌의 4배가 넘는 몸길이를 지닌 거대 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메가칠레는 1981년 몇 개의 표본이 발견된 이후 지금까지 추가 발견이 되지 않아 멸종되었다고 보는 과학자들도 있었습니다. 2018년에 eBay에 표본이 나왔지만, 언제 잡힌 것인지는 알 수 없었습니다. 사실 이 벌은 1858년 처음 발견된 이후 1981년에야 다시 발견되었을 만큼 찾기 어려운 희귀종입니다. 그런데 시드니 대학과 국제 야생 동물 보호 협회 (Global Wildlife Conservation)의 연구팀이 오랜 수색 끝에 2019년 인도네시아의 오지에서 메가칠레 암컷을 야생 상태에서 발견하는데 성공했습니다.   메가칠레 암컷은 특이하게도 살아있는 흰개미 둥지가 있는 나무에 둥지를 만들고 살아갑니다. 이들의 거대한 턱은 나무의 수지를 모아 둥지를 짓는데 유리합니다. 하지만 워낙 희귀종이라 이들의 생태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동영상)...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

몸에 철이 많으면 조기 사망 위험도가 높다?

 철분은 인체에 반드시 필요한 미량 원소입니다. 헤모글로빈에 필수적인 물질이기 때문에 철분 부족은 흔히 빈혈을 부르며 반대로 피를 자꾸 잃는 경우에는 철분 부족 현상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철분 수치가 높다는 것은 반드시 좋은 의미는 아닙니다. 모든 일에는 적당한 수준이 있게 마련이고 철 역시 너무 많으면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철 대사에 문제가 생겨 철이 과다하게 축적되는 혈색소증 ( haemochromatosis ) 같은 드문 경우가 아니라도 과도한 철분 섭취나 수혈로 인한 철분 과잉은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높은 철 농도가 수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하버드 대학의 이야스 다글라스( Iyas Daghlas )와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데펜더 길 ( Dipender Gill )은 체내 철 함유량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변이와 수명의 관계를 조사했습니다. 연구팀은 48972명의 유전 정보와 혈중 철분 농도, 그리고 기대 수명의 60/90%에서 생존 확률을 조사했습니다. 그 결과 유전자로 예측한 혈중 철분 농도가 증가할수록 오래 생존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것이 유전자 자체 때문인지 아니면 높은 혈중/체내 철 농도 때문인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높은 혈중 철 농도가 꼭 좋은 뜻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입니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를 근거로 건강한 사람이 영양제나 종합 비타민제를 통해 과도한 철분을 섭취할 이유는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어쩌면 높은 철 농도가 조기 사망 위험도를 높일지도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임산부나 빈혈 환자 등 진짜 철분이 필요한 사람들까지 철분 섭취를 꺼릴 필요가 없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연구 내용은 정상보다 높은 혈중 철농도가 오래 유지되는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본래 철분 부족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낮은 철분 농도와 빈혈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은 이미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