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ssil skull of the newly described amphibian. Credit: David Lovelace)
(Cal So and Adam Fitch using a rock saw to excavate fossil burrows. Credit: Hannah Miller)
여름이나 겨울, 혹은 건기에 상황이 나빠지면 많은 동물들이 겨울잠이나 여름잠으로 위기를 극복합니다. 이와 같은 생존 전략은 아마도 수억 년 전부터 진화했을 것으로 보이지만, 그 증거는 잘 남지 않기 때문에 구체적인 시기를 알아내기는 어렵습니다.
위스콘신 대학의 데이빗 러브레이스 박사 (David Lovelace of the University of Wisconsin Geology Museum)와 칼 소 박사 (Cal So)는 2014년 와이오밍주에서 마치 프링글리스 캔 같은 흔적 화석을 발견했습니다.
길이 30cm의 흔적 화석은 어떤 생물이 굴을 판 흔적처럼 생겼는데, 처음에 그 안에서 작고 뾰족한 이빨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악어의 흔적으로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고해상도 CT 스캔 결과 이 그 안에서 원시 양서류의 화석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연구팀은 다시 그 장소로 가서 비슷한 화석을 조사했습니다. 이번에는 지역 학교의 7학년 (중1 정도 12-13세) 학생들과 함께였습니다.
여러 사람이 힘을 합친 결과 연구팀은 여기에서 80개나 되는 흔적 화석과 여러 개체의 양서류 화석을 발견했습니다. 연대 측정상 이 화석들은 트라이아스기 초기인 2억 3천만 년 전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주변 지층을 분석한 결과 이곳은 당시 말라버린 강 바닥이었습니다. 현재도 지구 일부 지역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당시에도 심한 건기가 오면 작은 강은 말라버렸다가 비가 오면 다시 강물이 흘렀던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도 물속에 살고 있던 양서류와 어류 중 일부는 굴을 파고 들어가 다음 우기를 기다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당시에도 같은 생존 전략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어떤 이유로 (아마도 물의 흐름이 바뀐 듯) 강에 다시 물이 흐르지 않고 영원히 말라버렸고 이 양서류들은 그대로 죽어 화석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수억 년 전 여름잠을 자는 동물의 증거를 보여준 이 화석에는 현지 원주민 언어를 따 니눔베한 도코두다흐 (Ninumbeehan dookoodukah)라는 학명이 붙었습니다. 작은 사람들의 살 먹는 사람 (Little People's flesh eater)이라는 뜻입니다.
아무튼 상황은 반대지만, 소나기는 피해가라는 오래된 지혜가 수억 년 전부터 있어왔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안 좋은 시기에는 좋은 날을 기약하며 잠시 피해 있는 게 상책입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24-11-fossil-amphibians-burrows-rainy-season.html
Calvin So et al, Fossil amphibian offers insights into the interplay between monsoons and amphibian evolution in palaeoequatorial Late Triassic system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024). DOI: 10.1098/rspb.2024.1041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