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4nm 팹에 추가 투자를 하는 인텔




인텔의 임시 CEO인 밥 스완(Bob swan) CFO가 인텔이 직면한 CPU 공급 부족을 타개하기 위해 10억 달러를 추가로 투자해 14nm 팹의 생산능력을 끌어올릴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스라엘, 아일랜드, 오레건주, 애리조나주에 있는 팹에 투자가 이뤄져 CPU 공급 부족을 해소할 것이라고 합니다. 아래는 공개서한 전문입니다. 

An Open Letter from Bob Swan, Intel CFO and Interim CEO

To our customers and partners,

The first half of this year showed remarkable growth for our industry. I want to take a moment to recap where we’ve been, offer our sincere thanks and acknowledge the work underway to support you with performance-leading Intel products to help you innovate.

First, the situation … The continued explosion of data and the need to process, store, analyze and share it is driving industry innovation and incredible demand for compute performance in the cloud, the network and the enterprise. In fact, our data-centric businesses grew 25 percent through June, and cloud revenue grew a whopping 43 percent in the first six months. The performance of our PC-centric business has been even more surprising. Together as an industry, our products are convincing buyers it’s time to upgrade to a new PC. For example, second-quarter PC shipments grew globally for the first time in six years, according to Gartner. We now expect modest growth in the PC total addressable market (TAM) this year for the first time since 2011, driven by strong demand for gaming as well as commercial systems – a segment where you and your customers trust and count on Intel.

We are thrilled that in an increasingly competitive market, you keep choosing Intel. Thank you.

Now for the challenge… The surprising return to PC TAM growth has put pressure on our factory network. We’re prioritizing the production of Intel® Xeon® and Intel® Core™ processors so that collectively we can serve the high-performance segments of the market. That said, supply is undoubtedly tight, particularly at the entry-level of the PC market. We continue to believe we will have at least the supply to meet the full-year revenue outlook we announced in July, which was $4.5 billion higher than our January expectations.

To address this challenge, we’re taking the following actions:

We are investing a record $15 billion in capital expenditures in 2018, up approximately $1 bill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year. We’re putting that $1 billion into our 14nm manufacturing sites in Oregon, Arizona, Ireland and Israel. This capital along with other efficiencies is increasing our supply to respond to your increased demand.
We’re making progress with 10nm. Yields are improving and we continue to expect volume production in 2019.
We are taking a customer-first approach. We’re working with your teams to align demand with available supply. You can expect us to stay close, listen, partner and keep you informed.
The actions we are taking have put us on a path of continuous improvement. At the end of the day, we want to help you make great products and deliver strong business results. Many of you have been longtime Intel customers and partners, and you have seen us at our best when we are solving problems.

Sincerely,

Bob Swan
Intel Corporation CFO and Interim CEO


새로운 공정도 아니고 이미 오래된 14nm 공정 프로세서 공급이 부족해진 이유는 데이터 센터에서 수요가 크게 증가한 탓입니다. PC 시장의 위축에도 서버용 제온 칩의 수요는 매우 견실하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28코어 제온이 등장할 정도로 칩의 크기도 커지면서 웨이퍼 당 생산할 수 있는 CPU의 숫자가 감소했습니다. 여기에 6 코어 커피레이크를 비롯 소비자용 CPU도 AMD와 경쟁을 위해 커지면서 예상보다 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이 문제의 배경 가운데 하나는 10nm 이하 미세공정 이전이 예상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연기된 것도 있습니다. 현재 가동 중인 10nm 팹은 소량씩 제품을 생산하고 있어 제 역할을 못하고 있습니다. 만약 10nm 공정으로 이전이 예정대로 진행됐다면 CPU 다이 사이즈를 크게 줄일 수 있어 웨이퍼 부족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었습니다. 


밥 스완은 10nm 공정 이전이 내년에는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전에도 연기를 밥 먹듯이 계속해 왔기 때문에 실제 제품을 출시하지 않는 이상 이제는 누구도 믿지 않을 것 같습니다. 세계 반도체 선두 기업이었던 인텔이 왜 이렇게 됐는지 답답합니다. 



 참고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통계 공부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9000년 전 소녀의 모습을 복원하다.

( The final reconstruction. Credit: Oscar Nilsson )  그리스 아테나 대학과 스웨덴 연구자들이 1993년 발견된 선사 시대 소녀의 모습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복원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이 유골은 그리스의 테살리아 지역의 테오페트라 동굴 ( Theopetra Cave )에서 발견된 것으로 연대는 9000년 전으로 추정됩니다. 유골의 주인공은 15-18세 사이의 소녀로 정확한 사인은 알 수 없으나 괴혈병, 빈혈, 관절 질환을 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 소녀가 살았던 시기는 유럽 지역에서 수렵 채집인이 초기 농경으로 이전하는 시기였습니다. 다른 시기와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사람들도 젊은 시절에 다양한 질환에 시달렸을 것이며 평균 수명 역시 매우 짧았을 것입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죽기는 했지만, 당시에는 이런 경우가 드물지 않았을 것이라는 이야기죠.   아무튼 문명의 새벽에 해당하는 시점에 살았기 때문에 이 소녀는 Dawn (그리스어로는  Avgi)라고 이름지어졌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유골에 대한 상세한 스캔과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서 살아있을 당시의 모습을 매우 현실적으로 복원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 나타난 모습은.... 당시의 거친 환경을 보여주는 듯 합니다. 긴 턱은 당시를 살았던 사람이 대부분 그랬듯이 질긴 먹이를 오래 씹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강하고 억센 10대 소녀(?)의 모습은 당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강해야 했다는 점을 말해주는 듯 합니다. 이렇게 억세보이는 주인공이라도 당시에는 전염병이나 혹은 기아에서 자유롭지는 못했기 때문에 결국 평균 수명은 길지 못했겠죠. 외모 만으로 평가해서는 안되겠지만, 당시의 거친 시대상을 보여주는 듯 해 흥미롭습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18-01-te...

사막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온실 Ecodome

 지구 기후가 변해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비가 더 많이 내리지만 반대로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도 생기고 있습니다. 일부 아프리카 개도국에서는 이에 더해서 인구 증가로 인해 식량과 물이 모두 크게 부족한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사막 온실입니다.   사막에 온실을 건설한다는 아이디어는 이상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사막 온실이 식물재배를 위해서 시도되고 있습니다. 사막 온실의 아이디어는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사막 환경에서 작물을 재배함과 동시에 물이 증발해서 사라지는 것을 막는데 그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사막화가 진행 중인 에티오피아의 곤다르 대학( University of Gondar's Faculty of Agriculture )의 연구자들은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장치를 결합한 독특한 사막 온실을 공개했습니다. 이들은 이를 에코돔( Ecodome )이라고 명명했는데, 아직 프로토타입을 건설한 것은 아니지만 그 컨셉을 공개하고 개발에 착수했다고 합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사막에 건설된 온실안에서 작물을 키움니다. 이 작물은 광합성을 하면서 수증기를 밖으로 내보네게 되지만, 온실 때문에 이 수증기를 달아나지 못하고 갖히게 됩니다. 밤이 되면 이 수증기는 다시 응결됩니다. 그리고 동시에 에코돔의 가장 위에 있는 부분이 열리면서 여기로 찬 공기가 들어와 외부 공기에 있는 수증기가 응결되어 에코돔 내부로 들어옵니다. 그렇게 얻은 물은 식수는 물론 식물 재배 모두에 사용 가능합니다.  (에코돔의 컨셉.  출처 : Roots Up)   (동영상)   이 컨셉은 마치 사막 온실과 이슬을 모으는 담수 장치를 합쳐놓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물론 실제로도 잘 작동할지는 직접 테스트를 해봐야 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