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유류의 조상과 초기 뱀의 조상의 복원도. This is a reconstruction of the ancestral crown-group snake, based on this study. Artwork by Julius Csotonyi.
Credit: Julius Csotonyi)
현존하는 파충류 가운데서 뱀은 가장 성공한 부류에 속합니다. 남극을 제외한 전 세계 모든 대륙에서 번성하는 3400종의 뱀은 적어도 중생대 백악기 초에는 등장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대로 말하면 과학자들은 최초의 뱀의 조상이 어떤 생물이었는지 알려줄 결정적인 단서인 화석을 아직까지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현재까지 여러 가지 증거들을 조합하면 아마도 초기 뱀은 도마뱀의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듯 한데, 더 구체적인 증거는 아직 발견을 못하고 있죠.
예일 대학의 앨리슨 샹(Allison Hsiang) 및 동료 과학자들은 이 질문에 답을 얻기 위해서 간접적인 방법을 이용했습니다. 직접적인 화석은 없지만, 현종 그리고 고대의 뱀들의 구조와 형태, 그리고 유전자로부터 데이터를 얻어 이를 이용해 초기 뱀을 재구성한 것입니다. 이들이 정보를 모은 뱀과 도마뱀은 총 73종에 이른다고 합니다.
이들의 주장에 의하면 초기 뱀이 나타난 것은 포유류와 조류의 조상이 진화하던 백악기 초기인 1억 2850만년 전의 일이라고 합니다. 당시 뱀은 작기는 하지만 발목 관절도 존재하는 작은 뒷다리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당시에는 현재의 후손보다 더 진짜 같은 다리를 가졌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마도 이들이 초기에 진화된 장소는 지금의 남아메리카에 해당되는 따뜻한 기후의 지역이었다고 합니다.
초기 뱀의 조상은 야행성으로 움직이는 작은 파충류였습니다. 이들은 변온 동물이기 때문에 사실 밤에는 움직임이 느려지지만, 당시엔 몸을 지킬 수 있는 특별한 수단을 진화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낮에는 활동하지 못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몸을 칭칭 감아 죽이는 거대한 비단구렁이나 혹은 강력한 독을 가진 독사의 출현은 훨씬 뒤의 일입니다. 당시에 뱀의 조상의 주된 먹이는 작은 곤충같은 힘없고 작은 먹이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뱀의 생태적 지위가 크게 변경된 것은 4500만년에서 5000만년 전에 뱀상과(Colubroidea)에 속하는 뱀들이 진화하면서 부터입니다. 이 시기부터 뱀은 다시 주행성으로 돌아왔으며 오늘날 뱀상과에 속하는 뱀이 전체 뱀의 8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초창기 뱀이 도마뱀에서 진화했다면, 과연 도마뱀이 뱀으로 진화해서 얻은 이득은 무엇일까요? 연구팀은 뱀처럼 기어다는 것이 도마뱀처럼 네 다리로 걷는 것보다 더 다양한 지형에 적응할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뱀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은 도마뱀보다 4.5배 정도 넓다고 합니다.
언뜻 생각하기엔 다리 달린 도마뱀이 더 유리할 것 같지만, 뱀은 평지든 나무든 물속이든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구렁이가 담을 넘는 것처럼 장애물을 쉽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뭔가 유리한 게 있으나 이런 방식으로 진화된 것이겠죠.
과연 실제로 초기 뱀의 조상이 어떤 모습인지는 역시 화석이 가장 결정적인 증거를 제시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전까지는 이런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추측해보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 될 것 같습니다. 아무튼 앙증맞은 작은 다리가 재미있네요.
참고
Journal Reference:
|
사실 저도 통계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이런 주제로 글을 쓰기가 다소 애매하지만, 그래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해서 글을 올려봅니다. 통계학, 특히 수학적인 의미에서의 통계학을 공부하게 되는 계기는 사람마다 다르긴 하겠지만, 아마도 비교적 흔하고 난감한 경우는 논문을 써야 하는 경우일 것입니다. 오늘날의 학문적 연구는 집단간 혹은 방법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보여줘야 하는데, 그려면 불가피하게 통계적인 방법을 쓸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분야와 주제에 따라서는 아닌 경우도 있겠지만, 상당수 논문에서는 통계학이 들어가게 됩니다. 문제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히는 데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학과에서 통계 수업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대부분 논문 제출이 필요없거나 필요하다고 해도 그렇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지만, 대학원 이상 과정에서는 SCI/SCIE 급 논문이 필요하게 되어 처음 논문을 작성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부담되는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그리고 이후 논문을 계속해서 쓰게 될 경우 통계 문제는 항상 나를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게 될 것입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간혹 통계 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겠냐는 질문이 들어옵니다. 사실 저는 통계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실력은 모자라지만, 대신 앞서서 삽질을 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입문자를 위한 책을 추천해달라 사실 예습을 위해서 미리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습니다. 기본적인 통계는 학과별로 다르지 않더라도 주로 쓰는 분석방법은 분야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결국은 자신이 주로 하는 부분을 잘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과 커리큘럼에 들어있는 통계 수업을 듣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잘 쓰지도 않을 방법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아무래도 효율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