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우주 사업은 국가가 주도하는 사업이었습니다. 막대한 투자 비용 및 기술적 위험도를 감당하려면 사실 다른 대안이 없었죠. 하지만 최근에는 점차 민간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엘런 머스크의 스페이스 X는 신생 우주 기업으로써 이미 이 분야에 선두 주자로 인식될 정도로 성장했습니다. 스페이스 X는 민간 위성 발사 사업은 물론 나사에서 발주하는 큼직한 사업을 수주할 만큼 큰 기업으로 성장하는 중입니다.
이에 비해 우주 여행을 목표로 설립된 버진 갤러틱(Virgin Galactic)은 이렇다할 성과를 확실하게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우주 여행이라는 상품 역시 미래에는 모르지만, 현 시점에서는 큰 시장성이 있어 보이지 않는데다 작년에는 사고까지 있었죠. 물론 버진 그룹 역시 이 사실을 모르지 않기 때문에 자신들이 개발한 화이트 나이트 2 (White Knight Two)를 이용한 위성 발사 플랫폼을 개발 중에 있습니다.
런처원(LauncherOne) 이라는 명칭의 이 플랫폼은 저지구궤도(LEO)에 약 230kg, 태양 동기 궤도(Sun-synchronous orbit)에 100kg 정도의 페이로드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항공기에서 발사하는 형태의 로켓 발사 플랫폼은 나사가 지닌 페가수스가 현재 운용되는 것 가운데는 유일한데, 앞으로 버진 갤러틱의 런처원과 더불어 DARPA가 개발 중인 ALASA가 실용화되면 3가지가 됩니다.
이전 포스트
(버진 갤러틱의 런처 원. 출처 : 버진 갤러틱)
(동영상)
버진 갤러틱의 목표는 1회 발사 비용을 1000만 달러 이내로 억제하는 것으로서, 만약 이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면 훨씬 큰 페이로드를 지닌 페가수스 XL (Pegasus XL) - LEO 페이로드 기준 443kg - 이나 저렴한 재래식 로켓을 발사하는 스페이스 X와 경쟁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물론 1회당 100만 달러라는 매우 저렴한 가격을 목표로 하는 ALASA와의 경쟁 역시 마찬가지이죠.
버진 갤러틱은 현재 퀄컴과 손을 잡고 OneWeb 이라는 회사를 위해서 마이크로위성 발사 계약을 맺은 상태입니다. 다만 현재까지 한 차례의 시험 발사도 성공시키지 못했다는 점은 사업의 성공 여부를 불투명하게 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버진 갤러틱은 LA 근교에 공장을 보잉에서 매입해 여기서 런처 원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마련했습니다. 과연 런처 원이 다른 경쟁자들을 이기고 버진 갤러틱을 미래 민간 우주 시장에서 살아남게 만들 것인지 결과가 주목됩니다.
참고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