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eleton of the early dinosaur Coelophysis bauri from the Late Triassic. The protracted restructuring of Early Jurassic terrestrial ecosystems coincided with the diversification of dinosaurs. Credit: Natural History Museum of Los Angeles County)
(Graphic representation of the study concept and findings. Credit: C. Henrik Woolley/Natural History Museum of Los Angeles County)
비조류 공룡과 수많은 중생대 생명체를 멸종시킨 중생대 말 대멸종이나 모든 멸종의 어머니라고 불리는 역대 최대 대멸종인 페름기 말 대멸종은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대멸종 사건입니다. 각각 신생대와 중생대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긴 지구 역사상 이보다 약간 규모가 작지만, 대멸종이라는 말에 손색이 없을 정도로 큰 규모의 멸종 사건들이 존재합니다.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트라이아스기와 쥐라기를 구분 짓는 트라이아스기 말 대멸종 역시 꽤 큰 사건이었습니다.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 (USC)의 데이빗 봇저 (David Bottjer)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LA 카운티 국립 자연사 박물관이 과학자들과 함께 트라이아스기 말 대멸종의 특징을 분석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당시 해양 생물 속 (genera)의 71%가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해양 생태계 구조는 큰 변화 없이 유지됐습니다. 예를 들어 암모나이트 같은 연체 동물도 대부분 사라지지 않았고 어룡이나 수장룡 같이 멸종에 취약한 대형 동물들도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반면 육지 생태계 시스템은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 예를 들어 트라이아스기 말 활약하던 악어류의 경우 초식부터 육식까지 매우 다양하게 적응 방산했지만, 대부분 사라지고 이후 그 역할은 공룡류가 대신했습니다. 사실 트라이아스기 대멸종은 공룡류에게 새로운 생태학적 지위를 부여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연구팀은 트라이아스기 말 대멸종이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른 온난화와 연관이 깊다고 보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도 정확한 원인이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현재의 대멸종 위기와 연관해서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 트라이아스기 대멸종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부분이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인간에 의한 대멸종에서 지구 온난화는 한 가지 요소일 뿐이고 그 외에 인간에 의한 환경 오염과 생태계 훼손이 매우 크기 때문에 완전히 똑같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23-12-pieces-ancient-ecosystems-reveal-end-triassic.html
Alison T. Cribb et al, Contrasting terrestrial and marine ecospace dynamics after the end-Triassic mass extinction event,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023). DOI: 10.1098/rspb.2023.2232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