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Impression 2 from the palaeosurface (A) with a present-day body impression and trail of Alligator mississippiensis on the foreshore at St. Catherines Island, Georgia, United States (B). Photograph courtesy of St. Catherines Island Sea Turtle Program, Gale A. Bishop and modified with permission. C) A rhinesuchid temnospondyl such as Laccosaurus or Uranocentrodon is probably the tracemaker. Scale bar = 30 cm (A and B). Credit: Groenewald et al., 2023, PLOS ONE, CC-BY 4.0 (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
지금으로부터 2억 5500만 년 전 이전인 페름기 말에는 악어와 흡사하게 생긴 거대 양서류가 살았습니다. 지금은 사라진 멸종 그룹인 템노스폰딜 (temnospondyls)은 생태학적 지위 역시 현재의 악어와 비슷했던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비트바테르스란트 대학의 데이빗 그로엔왈드 (David P. Groenewald of the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가 이끄는 연구팀은 페름기 말 카루 해 Karoo sea라는 바다에 접한 석호와 해안가였던 크와줄루-나탈 (KwaZulu-Natal) 주의 지층에서 대형 템노스폰딜의 흔적 화석을 발견했습니다.
흔적 화석은 주로 발자국 등이 갑자기 매몰되어 남은 흔적으로 멸종 동물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움직였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이번에 발견된 화석은 발자국이 아니라 몸과 꼬리를 움직인 흔적이지만, 역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흔적 화석은 몸길에 2m 정도되는 리인슈치드 템노스폰딜 (rhinesuchid temnospondyl)의 흔적 화석입니다. 7개의 몸통 흔적과 꼬리가 이동한 흔적민 있고 발자국은 없는데 오히려 이것 덕분에 악어와 매우 유사하게 움직이고 생활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이들은 얕은 석호나 해안에 악어처럼 엎드리고 누워서 쉬거나 햇빛을 받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얕은 물이나 부드러운 진흙 위에서는 다리는 보조적 역할을 하거나 아예 접어서 옆으로 붙이고 꼬리를 좌우로 흔들며 전진했을 것입니다. 이는 현생 악어나 도롱뇽과 유사합니다.
생각해보면 물속에서 숨는데 휠씬 유리한 양서류였으나 물 위의 사냥감을 공격하는데는 불리했는지 결국 템노스폰딜은 트라이아스기 이후 대부분 자취를 감추고 악어의 조상에 그 자리를 넘겨주게 됩니다. 일부 템노스폰딜은 백악기까지 살아남았으나 이들도 백악기 중에 사라집니다.
아무튼 이 자국을 남긴 주인공은 진흙 속에서 꽤 좋은 휴식 시간을 보내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참고
https://phys.org/news/2023-03-ancient-giant-amphibians-swam-crocodiles.html
Unique trackway on Permian Karoo shoreline provides evidence of temnospondyl locomotory behaviour, PLOS ONE (2023). DOI: 10.1371/journal.pone.0282354
댓글
댓글 쓰기